View : 906 Download: 0

한국 교육과정 형성기(1945-1962)의 교육과정 변화요인 분석

Title
한국 교육과정 형성기(1945-1962)의 교육과정 변화요인 분석
Authors
정영주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An investigation on the past curriculum can provide a comprehensive view to the present curriculum issues. It also can lead to better alternatives.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make a cornerstone to understand the curriculum problems today by looking into the crucial factors of the curricular reform from 1945 to 1963, those years, ‘modern’ curriculum began to take its shape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wo-folded: first,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had influence on curriculum change, second, to find the persistent influencing factor and overlooked ones in curricular reform. The concrete questions of the study can be specified as follows: 1. How were the ‘teacher’ and ‘student’ factors as the internal ones reflected to the curricular reform? 2. How were the ‘social-political’ factor, ‘decision-making process’ factor and the ‘curriculum theory’ factor as the external ones reflected to the curricular reform? 3. Which were the more persistent influencing factors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ones? And what was the neglected factors, if any? The discussions of these question are summarised as follows: The reflection of ‘student’ factor as internal one was very limited. During the syllabus period, there were some attempts to change curriculum for integrated experience of students. It was largely influenced by child-centered curriculum theory. In course of study period, Students’ extra curriculum ativities were strengthened. The textbooks in that period were constituted by living oriented unit which was based on children’s interests. The ‘teacher’ factor was not considerded seriously during the initiation period of modern curriculum. It was mainly caused by centralized curriculum reform system. The teacher isolated in curriculum reform process. The ‘curriculum theory’ factor as an external one has persistent influenced on curricular reform. During the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the idea of child-centered became as important trends. The American Education Mission which visited right after Korean War, was much influenced to estabilsh the modern curriculum system. Making a subject of social studies, taking strengthen on health education and textbook revision after 1948, reflected influence of the change of curriculum theories in America. After the Korean War, ‘social-political’ factors gave rise to the moral, anti-communism and vocational education. These were caused by universal pacificism and anti-communism ideology. The political structure of Korea which was dependent on America, was persistent influencing factor in Korea. This was the causing factor on influence American experience-centered educational theory. Lastly, the ‘decision-making process’ factor in respect to reform committee members and concurrence style, was the weak points. The curriculum development members were not involved specialists in diverse areas. Due to the lack of proper conception on curriculum development and practical experience, the curriculum development was not progressed systematically. In conclusion, the more persistent influential factors were social-political needs and curriculum theory factor. These external factors were also affect on decision-making process. In the most of curriculum process, the educational edministrator and school principals involved primarily. As a result, the teachers’ and students’ needs were not reflected to the curriculum change. In the initiating period of modern curriculum system in Korea, the more important factor in curriculum change was the external one’s. The internal factor of education such as teachers and students were not considered properly and excluded from the curriculum development research. The neglegence of the actual educational pratice leads to the apparent revision which has no real effect. ; 현재의 교육과정의 쟁점을 이해하고 문제의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는 과거의 교육과정을 분석해 봄으로서 그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본 논문은 한국의 현대적 의미의 교육과정 형성기라 할 수 있는 1945년부터 1962년까지의 교육과정 변천을 변화요인별로 분석하여, 현재의 교육과정 문제점을 해결하는 출발점으로 삼고자 하는 의도에서 탐색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한국 교육과정 형성기의 교육과정에 있어서 변화에 영향을 준 요인은 무엇이며, 그 변화요인 중 교육과정 변화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준 요인과 교육과정 변화에서 간과되었던 요인이 무엇인가를 밝히는데 있다. 이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체적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형성기에 교육 내적요인으로서의 학습자, 교사의 요인은 교육과정 변화에 어떠한 양향을 주었는가? 둘째, 교육 외적요인으로서의 교육과정이론의 변화, 사회x정치적 요구, 의사결정 과정 요인은 교육과정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 셋째, 한국 교육과정 형성기에 지속적인 변화요인은 무엇인가? 넷째, 교육과정 변화에서 간과되었던 요인은 무엇인가? 한국 교육과정 형성기의 변화를 교육과정 변화 요인별로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목적 요인으로서 학습자 요인은 학습방법적 측면에서 부분적으로 고려되었다. 교수요목기의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통합된 경험을 위한 변화가 시도 되었으며, 이러한 학습자의 고려는 경험중심 교육과정 이론에 의한 것이었다. 교과과정기의 교육과정에서는 특별활동이 중시되었으며, 교과서 편찬에 있어서 아동의 흥미를 고려한 생활중심의 단원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학습자 요인은 교육과정 변화를 일으킨 요인이 아니라, 교육과정 변화의 결과 고려된 요인일 뿐이었다. 한국의 교육과정 형성기에 교사는 교육과정 변화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였다. 교사는 변화된 교육과정을 전달하는 피동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을 뿐이며, 교사 수준에서의 교육과정을 전달하는 피동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을 분이며, 교사수준에서의 교육과정 변화에 대한 시도는 거의 없었다. 다만 1952년부터 문교부 지정 연구학교가 그 주제를 교육과정 개조로 설정함으로 서 교사중심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관련자료의 부족과 문교부의 연구학교의 성격이 도의, 반공교육으로 전환됨으로써 퇴조 되었다. 교육외적요인으로서 교육과정이론 요인은 한국 교육과정 변화에 계속적인 영향을 준 용인이다. 해방후 미군정기에 미국의 경험 단원론의 영향으로 통합적 수업운영, 사회생활과 신설, 보건교육의 강조, 교과서 편찬방식 등이 변화되었다. 사회x정치적 요인도 미국 교육사절단에 의해 생활중심 교육과정 이론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게 하였으며, 도의교육, 반공교육, 실업교육의 강화를 초래하였다. 한국 교육과정의 개발은 결정방식과 결정에 참여한 구성원에 있어서 부족한 점이 많다. 교육과정 구성에 대한 경험이 부족과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말미암아 체계적으로 진행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1945년 부터 1963년까지의 교육과정 변화에 계속적으로 영향을 주었던 용인은 교육과정이론의 변화요인, 사회x정치적 요인, 의사결정 과정 요인이다. 교육과정의 개발위원회의 참여자가 합리적으로 조직되지 못하고, 교육 행정가와 학교장을 중심으로 조직됨으로서 학습자와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가 거의 반영되지 않았다. 교육과정 개발의 경험과 개발에 대한 이론적, 실제적 지식의 부족으로 말미암아 교육과정 결정과정에서 일관성 있는 교육과정이 구성되지 못한것이다. 이렇게볼 때, 한국의 교육과정 형성기의 교육과정은 주로 교육외적 요인의 영향을 받아 변화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의 교육내적 요인인 학습자와 교사 요인은 교육과정 변화에서 고려되지 못하였으며, 교육과정 개발과정에도 거의 제외되어, 교실의 교육과정 변화로 이끌지 못하였다. 이러한 교육 현실의 외면은, 실효성 없는 교육과정이 명분상의 개정이유에 의해 계속적으로 개정되게 하는 악순환을 거듭하게한다. 교육과정 변화는 한국의 교육현실에 기반을 두어야 하며 학습자와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의견 수렴으로 교육실제를 교육과정에 반영시켜야 할 것이다. 한국 교육과정을 변화요인별로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앞으로의 교육과정 이론의 도입은 그 이론의 맥락적 비판과 그 이론 자체가 가지는 장단점을 잘 파악하여 도입되어야 하며, 외국의 이론이 한국의 교육현실에 적합한 것인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한국의 중앙집중적 결정체제 내에서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내적 요구가 반영되도록 하기위해, 교사의 교육과정 연구를 위한 다각도의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과정 변화는 학급에까지 변화될 수 있도록 점진적이고 단계적으로 시도되어야 하며, 변화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도록 교사, 학습자, 학교관계자들에게 적극적인 역할을 부여하여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