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9 Download: 0

후기성인의 사회교육적 학습참여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탐구

Title
후기성인의 사회교육적 학습참여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탐구
Authors
김재인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It is the assumption of this study that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participating in social educational activities may be promoted greatly if they ar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social educational activities. In order to test this assumption the main theme of the study was classified into two groups: older adults’ participating in social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ose not participating. Then the difference of life satisfaction of these two groups were tested. The aims of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1) change of educational concepts, (2) objectives and activity contents of those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programs for older adults, and (3)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ir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programs and their satisfactions of life from a perspective of activity theory. Problems of older adults have been important topics of discussion in industrial societies because industrialization of a society is apt to make them alienated or dehumanized. In fact, the change of social structure gives great influence on how to treat older adults. It is necessary that older adults b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educational programs voluntarily in order to make their lives meaningful and get full life satisfaction. Educational institutes for them may function as an alternative to cope with their problems for needs of life caused due to contradicious of social structures. Educational programs for older edults should be made so that they may obtain knowledge which promote capacity to cope with social changes and to live in friendship with other age-groups as well as with their peers. The methods employed for this study were: (1) an approach through research and reference materials, and (2) an empirical approach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Literature and reference materials on gerontology and education for older adul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establish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study. Interviews and surveys through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to test the hypothesis formulated. Most study findings were treated statistically. The Index of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was made in the beginning of the study and it was used as a tool to investigate their developmental taks. The number of older adults selected for interviewing by the random sampling method were 883: among these 513 participated in educational activities and 370 had no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such programs. Those who were selected for research interviews were all above 60 years old and throughout South Korea. The survey throug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 was made between November, 1985 and February, 1986.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ere analyzed by various statistical treatments such as frequency and percentage, cross-tabs, t-test,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alysis of covariance, stepwise analysis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hypotheses of the study formulated to compare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programs and those not partcipating in them. Variables of older adults’ backgrounds formulated for the survey were age, marital status, socio-economic status, education, health, and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general social activities. Older adults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programs and those not participating were classified to compare the degree of their life satisfaction in reference to urban-rural and man-woma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mong variables of older adults’ background on age level, older adults of 60 and 79 years old were sampled mostly; on community level, older adults in urban areas were mostly sampled; on sex level, male older adults were sampled much more than females. As to educational backgrounds older adults not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programs were more in number than those participating. Regardless of older adults participating and not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programs they had felling that they are in good health; however older adults not participating tended to respond that they felt bad health. Most of older adults felt they belonged to middle strata; however, those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programs tended to feel themselves they belonged to upper-middle strata while those not participating tended to feel themselves they belonged to lower-middle stratum. 2. Traditionally it was thought that education meant only schooling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however, nowadays such concept of education has been changing and a new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which includes continuing education regardless of age and sex is being is being emphasized. The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has made education for older adults much more important and meaningful. As to contents of education, older adult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programs wanted to receive education more about life enrichment, health and sanitation. Generally older adults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programs wanted to receive longer periods of education (3 years or more) than those not participating (6 month or 1 year). Those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programs got more life satisfaction through personal interactions with lectures, persons working for institutes and their classmates. 3. The difference of life satisfaction of two groups was great; in particular, its difference was greater in rural areas and female. Even in the case of having controlled such background variables as ages, marital status, souci-economic status, education, health and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the difference of life satisfaction between two groups was great. The decisive factor for having made older adults participate in educational program as well as for promoting their life satisfaction was “condition of health”.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was “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programs.”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be concluded as follows: 1. It was tended that male older adults participated more actively in rural areas than femals, while female older adults participated more actively in urban areas than males. Older adults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programs tended to be more affirmative about their health and socio-economic status than those not-participating. Their participations in educational programs seemed to help them develop their affirmative self-concepts The affirmative self-concept they develop through learning must be the essential criteria in which to measure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2. The concept of education for older adults is being changed from traditional views of education which is identified with schooling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to that of life-long education which emphasizes “there is no age limit in education.” The philosophy of life-long education has made grea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for older adults, however the life-long education must not remain just a slogan. It should be put into effect fully through developing education for older adults effectively. From this perspective, it is important that learning opportunities for them and good motivation to learn be given in order to promote effective education for older adults. It is important that curriculum planning for that kind of education and facilities for education be improved in order to achieve essential aims of education for older adults. They tended to expect more personal interaction with lectures, adult educational workers and older adults learning together in the same educational institutes. It is recommended that education of older adults be studied in the light of life-long education. In order to promote education for older adults based on principles of life-long education, the following are recommended: (1) Education for older adults should b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educational programs more positively. (2) Mor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older adults should be established to enlarge their learning opportunities. (3)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aims, contents and methods of learning corresponding to older adults should be developed. (4) Mass media should be made use of to put educational programs of older adults into full effect. 3. The difference of life satisfaction between two groups (participating and not participating) was great.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programs was greater than those not participating. Therefore, it may be concluded that active participation of older adults in educational programs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creating their life satisfaction. If educational programs be planned so as to form self-concepts and humanistic attitudes, participation of older adults in them will be evaluated very highly. It is really important to know that participation of older adults in educational programs was the decisive factor for giving life satisfaction to them.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for older adults should be achieved not only for creating their life satisfaction, but also for promoting humanization of all national citizens in the light of establishing democratic and welfare society. ; 본 연구는 사회교육적 학습에 참여하고 있는 후기성인의 생활만족도는 높을 것이라는 가정하에 진행되었다. 이러한 기본가정을 검증하기 위해 조사대상자를 학습참여 후기성인과 학습비참여 후기성인으로 구분, 조사하여 두집단의 생활만족도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의 목적은 후기성인의 교육에 대한 개념변화, 후기성인의 학습참여활동의 목적과 내용영역을 살펴보고, 후기성인의 사회교육적 학습참여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활동이론적 시각에서 분석하는데 있다. 산업사회의 도래로 점차 후기성인의 문제가 사회적 관심사로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후기성인의 개인적 상황은 변함이 없으나 사회구조의 변화는 후기성인을 존경받게도하고 소외되게 하기도하였다.이러한 구조적 조건에서 벗어나 삶을 개척하고 만족감을 얻기 위해서 후기성인자신들의 능동적 활동이 요구된다. 후기성인교육기관은 이러한 요구에 응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의 구실을 할 수 있다. 후기성인의 학습참여활동은 사회변화에 대응하기위한 지식을 부여해주고 출생동시집단과 이해와 우정을 나룰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주기 때문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조사에 의한 실증적 연구가 병행되었다. 문헌 연구를 통해 이론적 배경을 논하고 조사에 의한 실증적 결과는 통계적 분석을 하였다. 조사는 주로 면접을 실시하였고 경우에 따라 질문지조사도 겸하였다. 조사도구는 노년기의 발달과업을 중심으로 과거와 현재의 생활에 대한 만족감을 알아보기위해 생활만족도 척도를 개발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전국에 걸쳐 883명을 대상으로하였고 학습참여 후기성인은 513명, 학습비참여 후기성인은 370명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학습참여 후기성인은 후기성인교육기관에 다니고 있지 않은 후기성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습비참여 후기성인은 후기성인 교육기관에 다니고 있지않은 후기성인을 대상으로 일반가정, 노인정, 각종 사회활동 단체를 방문하여 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특성상 학습참여 후기성인은 학습이 끝난후의 응답이 의미가 있기 때문에 1985년 11월이후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는 단순빈도와 백분율, 유관분석(cross-tabs), t-검증(t-test), 피어슨 적률상관관계(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일원변량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공변량분석(analysis of covariance),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후기성인의 배경변인과 사회교육적 학습참여활동상황은 실태를 알아보았고 사회교육적 학습참여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는 가설을 설정하여 검토하였다. 주가설은 ‘사회교육적학습에 참여하는 후기 성인과 비참여 후기성인간에는 생활만족도에 차이가 있다.’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주가설에 배경변인인 연령, 배우자유무, 생활수준, 교육수준, 건강상태, 후기성인교육기관외의 사회참여기관수를 각각 통제하여 두 집단간의 생활만족도 차이를 검증하였다. 후기성인의 배경변인, 사회교육적 학습참여여부, 생활만족도에 대한 상황을 각각 비교해보기 위해 학습참여 후기성인(교육)과 학습비참여 후기성인(일반)으로 분류한 외에 도농별, 성별로 비교준거를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 분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배경특성 후기성인의 연령을 보면 60세에서 79세의 후기성인들이 가장 많이 표집되었고, 농촌지역 보다 도시지역에서 많은 수가 표집되었다. 도시의 교육후기성인은 여자가 많으며 지역에 관계없이 일반후기성인은 남자가 많았다. 배우자유무는 여자의 경우에는 배우자없는 후기성인이 남자는 배우자있는 후기성인이 다수를 차자하고 있었다. 생활수준은 대다수의 후기성인들이 자산은 중충이라고 느끼고 있었다. 교육후기성인은 일반후기성인보다 중상층이상으로, 일반후기성인은 교육후기성인보다 중하층이하로 자신의 생활수준을 지각하고 있었다. 교육수준은 교육후기성인보다 일반후기성인이 다소높았다. 도시거주 일반후기성인은 도시거주 교육후기성인이나 농촌거주 일반후기성인보다 교육수준이 높았다. 건강상태는 건강하다고 지각하는 경우 교육후기성인과 일반후기성인의 거의 동일했으나 아프다고 지각하는 경우는 일반후기성인이 다소많았다. 후기성인교육기관의 사회참여 기관수는 1개에서 2개가 가장 많았다. 2. 후기 성인의 사회교육적 학습참여활동상황 후기성인의 교육에 대한 견해는 아동 및 청소년을 학습대상자로 보던 학교교육개념에서 교육은 어느 연령기에나 받을 수 있다는 평생교육개념으로 변화되었다. 교육후기성인의 학습참여의 목적은 여가를 선용하고 친구를 사귀며 유익한 지식을 얻기 위해서이다. 일반 후기 성인의 학습참여희망 이유도 교육후기성인과 마찬가지로 여가선용과 친구사귐 그리고 유익한 지식을 얻는 것에 두고 있었다. 현재 가장 많이 다루어지고있는 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은 취미생활교육과 건강 및 보건교육이었으며 그것은 후기성인들이 가장 원하는 것이기도 했다. 교육방법은 강사에 의한 강의학습이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었으나 후기성인들은 경험사례발표등 친구들과의 토의학습과 관찰, 견학, 실험, 실습을 통한 학습을 원하고 있었다. 교육기관은 교육후기성인은 3년이상을, 일반후기성인은 6개월에서 1년의 기간을 원하고 있다. 교육요원(강사) 및 학교책임자 그리고 동료와의 상호작용은 후기성인이 원하는 상태보다는 다소 낮으나 만족한 상태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3. 후기성인의 사회교육적 학습참여와 생활만족도 교육후기성인과 일반후기성인의 생활만족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특히 농촌지역의 경우와 여자후기성인의 경우에는 교육후기성인과 일반후기성인의 생활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차이가 있었다. 더욱이 교육후기성인은 일반후기성인 보다 높은 생활만족도를 가지고 있었다. 후기성인의 배경변인은 연령, 배우자유무, 생활수준, 교육수준,후기성인교육기관외의 사회참여기관수, 매우건겅하다고 지각하는 경우를 제외한 후기성인의 건강상태를 각각 통제시켰을때에도 교육후기성인과 일반후기성인의 생활만족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건강하다고 지각할수록 교육후기성인이, 아프다고 지각할 수록 일반후기성인이 생활만족도의 평균점수가 높았다. 후기성인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사회교육적 학습참여여부와 배경변인의 결정요인은 건강이 가장 높은 예언치로 나타났다. 다음은 사회교육적 학습참여와 후기 성인교육기관외의 사회참여기관수가 후기성인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중요한 결정요인이었다. 후기성인의 사회교육적 학습참여여부에 대한 생활만족도와 배경변인의 결정요인은 후기성인 교육기관외의 사회참여기관수, 건강상태, 생활만족도의 순으로 결정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에 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린다. 첫째, 후기성인세대는 대다수의 후기성인들이 활동은 남자가 하는 것이라고 생각해 왔으나 도시지역에서는 그러한 사고에서 탈피해가고 있다. 건강과 생활수준은 후기성인의 지각정도로 측정한 것이다. 교육후기성인들이 일반후기성인들보다 건강과 생활수준에 대해 긍정적인 측면으로 지각하고 있다. 이는 활동이 후기성인의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성향을 부여하여 결국 높은 생활만족의 예언치로서의 역할을 하게됨을 지적해주는 것이다. 둘째, 후기성인의 교육에 대한 견해는 아동 및 청소년을 학습대상자로 보던 학교교육적 견해에서 교육은 어느 연령기에나 받을 수 있다는 평생교육적 견해로 변화되고 있다. 그러므로 후기성인을 위한 학습기회와 학습동기부여하고 교육시설을 개선하여 학습의욕을 고취시키고 후기성인학습이 긍정적인 삶을 위한 전제가 되도록 유도해야 한다. 후기성인들은 교육프로그램과 함께 강사 및 학교 책임자나 동료와의 상호작용을 기대하고 있다. 후기성인을 위한 교육은 평생교육적 차원에서 모색되어야 한다. 즉 1. 현재의 후기성인교육기관에서 행해지는 후기성인을 위한 교육을 보완하고, 2 노인정 등의 각종 후기성인교육기관이나 단체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며, 3 일반가정이나 시설(양노원 등), 병원에 입원해 있는 후기성인을 위해서는 대중매체를 이용하여 교육프로그램을 적용시킨다. 즉 어느 장소에서나 후기성인들에게 학습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도록 유도하여 희망적인 삶의 전제가 되도록 해야한다. 셋째, 사회교육적 학습참여 후기성인과 비참여 후기성인간에는 생활만족도에 차이가 있으며 학습참여 후기성인이 비참여 후기성인보다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된 결과에 의해 후기성인이 비참여 후기성인보다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된 결과에 의해 후기성인의 학습참여활동이 생활만족도에 중요한 용인이 됨을 알게 되었다. 그러므로 후기성인의 사회교육적 학습참여는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인간답고 자유롭고 현명하고 동정적이며 사람\d을 아는 인류가 되어야 한다는 인간주의적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후기성인이 활동한다는 것은 건강이 유지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도 한다. 본연구결과에서도 후기성인이 건강을 잘 유지할 수 있고 학습참여활동을 계속할 수 있다면 노년기에 생활만족을 느낄 수 있다고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후기성인의 학습참여가 노년기의 생활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한다는 점을 반영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정부, 대학 및 연구기관, 각종 사회단체와 기업에서의 복지적 차원에서 후기성인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발전시켜 인간의 삶을 보람되게하고 초월적인 인간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할 수 잇도록 여건을 마련해주어야 하리라고 본다. 그것이 인류의 미래를 밝게하는 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