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도현심-
dc.contributor.author서유진-
dc.creator서유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4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9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3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97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아동의 수줍음과 자녀의 또래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개입행동,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의 수줍음과 자녀의 또래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개입행동이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자녀의 또래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개입행동이 아동의 수줍음과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에서 중재적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 위치한 10개의 유치원과 3개의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3세 아동을 자녀로 둔 195명의 어머니들과 교사 1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질문지법을 통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도구는 아동의 수줍음, 아동의 사회적 능력, 그리고 자녀의 또래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개입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아동의 수줍음은 교사에 의해, 아동의 사회적 능력은 어머니와 교사에 의해 평가되었고, 자녀의 또래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개입은 어머니에 의해 평가되었다. 아동의 수줍음은 Buss와 Plomin(1984)이 개발한 EAS의 교사 보고용(The EAS Temperament Survey for Children: Teacher Ratings) 가운데 수줍음 요인을 번안하여 측정하였다. 자녀의 또래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개입행동은 Cohen(1990)이 제작한 부모의 개입 행동 질문지(Parental Involvement Checklist; PIC)를 번안, 수정한 송정(1999)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아동의 사회적 능력은 Doh와 Falbo(1994)가 개발한 ‘사회적 능력 척도: 유치원용(Social Competence: Kindergarten)'을 통해 측정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변인들 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고 위계적 회귀분석과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수줍음과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대체적으로 수줍음이 높을 때, 아동은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인 인기도/지도력이 낮고, 사회적 참여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녀의 또래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개입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대체적으로 자녀의 또래관계에 대해 조정 및 중재, 조언 및 지지 등의 부모의 개입행동이 많을수록 자녀의 대인적응성 등의 사회적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부모가 자녀에게 조언과 상담을 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아동은 또래관계에서 유능하고 사회적 참여가 많은 경향이 있었다. 셋째, 자녀의 또래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개입행동이 아동의 수줍음과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에서 차지하는 중재적 역할을 살펴본 결과, 여아의 경우에만 자녀의 또래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개입행동이 아동의 수줍음과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를 중재하는 경향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자녀의 또래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개입행동은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부분적인 주효과와 함께, 아동의 수줍음과 부분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수줍음의 부정적 영향을 중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수줍은 아동에 대한 어머니의 개입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관련되는 변인들로서 아동 자신의 특성과 부모관련 변인을 함께 고찰하여, 중재를 필요로 하는 수줍은 아동을 도울 수 있는 보다 구체적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shyness, maternal involvement behaviors regarding children's peer relation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95 mothers of 3 year-old kindergarteners and their 13 teachers in Seoul and the Province of Gyeonggi.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ree kinds of questionnaires such as Buss & Plomin's(1984) The EAS Temperament Survey for Children: Teacher Ratings, Cohen's(1990) Parental Involvement Checklist; PIC, and Doh & Falbo's(1994) Social Competence Scale: Kindergarteners. Th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regressions, t test, and Cronbach's α.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ildren's shyn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ndicating that the more shyness children have, the less popularity/leadership, social participation they have. Second, the maternal involvement behaviors regarding children's peer relations were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at is, the more orchestration mothers do, the more social participation and popularity/leadership boys have. And the more advise and support mothers do, the more interpersonal adjustment children have. Third, only in girls, the maternal involvement behaviors regarding children's peer relations played a moderating role between children's shyness and social competence. Social participation didn't vary as a function of shyness when mothers do more orchestration. In conclusion, the study implies that the maternal involvement behaviors regarding children's peer relations have main effects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they intervene the negativ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shyness and social compete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6 A. 수줍음과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 6 B. 자녀의 또래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개입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 11 C. 아동의 수줍음과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에서 자녀의 또래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개입행동의 중재적 역할 = 17 Ⅲ. 연구문제 및 용어 정의 = 20 A. 연구문제 = 20 B. 용어 정의 = 21 Ⅳ. 연구방법 = 23 A. 연구대상 = 23 B. 조사도구 = 24 C. 조사 절차 및 자료 분석 = 28 Ⅴ. 연구결과 = 30 A. 예비 분석 = 30 B. 아동의 수줍음과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 33 C. 자녀의 또래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개입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 34 D. 아동의 수줍음과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에서 자녀의 또래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개입행동의 중재적 역할 = 36 Ⅵ. 논의 및 결론 = 40 참고 문헌 = 49 부록 = 62 ABSTRACT = 73 감사의글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133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아동의 수줍음, 자녀의 또래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개입행동 및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Shyness, Maternal Involvement Behaviors Regarding Children's Peer Relation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dc.creator.othernameSeo, Yu-Jin-
dc.format.pageix,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