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67 Download: 0

조직이론의 인간관과 교육적 적용에 관한 연구

Title
조직이론의 인간관과 교육적 적용에 관한 연구
Authors
박영자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how human beings are viewed in the light of organization theories, by focusing on human beings in the context of an organization. The secondary objective was to seek a new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to investigate how educational goals can be influenced by applying the various organization theories, and their views of human beings, to educational organizations. An organization is established in the historical and structural environment of the time upon which imposes on people a particular point of view on human beings. Researchers who study educational phenomena have made major efforts to examine not only the behavior of the organization but also the person working for the organization. This is because the organization s actual strategy of operation, and views of all the other component attributes of the organizational scheme are determined by the way in which the human essence of an organization-participant is understood. Therefore the views of human beings in the organization can be considered to provide us with a sort of basic assumption for comprehensively explaining organizational phenomena. Likewise the distinctive views regarding human beings lead to the distinctive educational views regarding education, upon which the direction of education is dependent. In order to ser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tents are specified as follows: First, how were the organization theories established, and how have they developed to accommodate the changing times, and the changing historical and structural environments? What are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organization theories as projected through the respective paradigms of organization theories? Second, how do they define human beings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organization? Third, what educational implications do we observe in the divergent views on human beings which are premised in various organization theories?; When they are applied to education organizations, what educational phenomena appear?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In Classical Organization Theories, an individual is compelled to agree with or obey the organization authorities; he or she is defined as a“machine model,” the“home economicus”who is supposed to satisfy economic motivations, and who is hypothesized as a person of function complying with the rationale in order to enhance the legitimacy and efficiency of the organization. Consequently, in Classical Organization Theories, a person-who is emotional, irrational, and socio-psychic-appears to be a non-individualized impersonality which is treated simply as an inhuman, and reasonable mechanic tool; and by minimizing an individual’s freedom and spontaneity, the human alienation of inhumanity has been invited. The Classical Organization Theories are represented by the Scientific Management Theory and the Theory of Bureaucracy. What the Scientific Management Theory suggests is considered significant in that productivity is enhanced through scientific management, and educational innovations are made possible by scientifically carrying out the educational tasks; yet its applicability in a school organization could arouse quite a few controversies due to the view of human beings it has premised. In terms of the Theory of Bureaucracy a person of idiosyncrasy cannot be nurtured, and the achievement of educational purpose is likely to be impeded; therefore its enforcement of inhumanity is opposed to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organizations. This is because the ideal of a bureaucratic scheme may be attributable to the results of both pro and anti-functions, regarding efficiency or rationality. In terms of the Organization Theory of Human Relations, people have more interests in an informal organization, complying with the“logic of affection -”rather than with the“logic of efficiency”, and puts emphasis on individual socialization or group dynamism, base on the socio-psychological human relationships induced by socio-psychological motivation. In this theory, a person’s human value is regarded as more important. In an educational organization, the educational administrator ignited the teachers and the staffs’ motivations by perceiving human essences; and by underlining human relationships, he or she provides principles of educational management, and triggers an efficient education organization management. Many Modern Organization Theories are still in the process of evolving. A lot of concepts still remain undefined, and it is not an easy task to explain an organizational structure or the view of human beings in a word. Yet, in Modern Organization Theories, a person and his/her work are properly harmonized, and the 『work』and 『person』 are both regarded as important; by comprehensively understanding the ambivalence of pursing rationality by reason, and irrationality by emotion, the researchers attempt to integrated a rational formal organization with an irrational informal organization. In Modern Organization Theories, a person is hypothesized as an independent being of distinctive personality who makes decisions, and who is an open and autonomous system. Furthermore, he/she is perceived as a future-oriented integrated personality complex, yet dynamic and active in adapting him/herself favorably to his/her inexperienced environments. The three representatives of the Modern Organization Theories are Behavio ral-Science Theory, System Theory and Contingency theory. The researchers of Behavioral-Science Theory attempt to integrate a person with organization, concentrating on human behavioral or functional aspects, while the System Theory researchers attempt the same, placing the focus on the rational or structural aspects. The Behavioral-Science Theroy researchers have systematized education theories, and added an ideal antecedent which facilitate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education. In dealing with the problems of all organizations including those in education, the System Theory researchers perceive every question form the standpoint of the entire organization; for them a systematic account has been made possible by openly attempting to work out the problems in the interactions of the divergent factors concerned; thus the creative characteristic of System Theory made it possible to understand accurately the structural organization of a school as a social system. Contingency Theory is a dynamic one which deals with the organizational problem of adaptability in the interactions between organization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its educational application represents the openness of a school system, defines the effective leadership of a teacher or a school administrator, and alters or extends the conceptions of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s. As mentioned above, the organization theories appear to have been continuously evolving, and expanding their scope; likewise, the view of human beings rendered in the theories is observed to have undergone a complex and divergent transition beyond our expectations. Although none of the aforementioned theories is sufficient in itself for our understanding of every viewpoint of human beings, none of them should be completely rejected, because each particular explanation is persuasive. Thus we eventually reach this conclusion: while all the theories keep on independently growing, it is till required that they complement each other. Many organizations including the educational ones have incessantly been changing along with the scientific developments of high technology in this pluralistic environment; and with the organizations, individuals are also growing and changing; hence, it is inevitable to deal comprehensively with the problems of harmony and conflict between individual and organization, between individual and environment, and between one individual and another, That is, the problems need to be projected from a theoretical standpoint which enables us to perceive and understand a person as a dynamic integrated whole instead of a part. For the teachers and the educational administrators or theorists who are committed to education, such a view or standpoint is even more urgent, for the direct impact of the view or standpoint in the actual practice of education is not only significant, but in fact determines the direction of education. ; 본 연구는 조직 속의 인간에 주목하여 조직이론을 통해서 인간관을 구명해 보고자하는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다양한 조직이론과 그 속에 전제되어 잇는 인간에 대한 견해들을 교육조직에 적용했을 때 나타나는 현상과 문제점들을 검토하여 새로운 인간이해 방법을 모색해 보고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바를 탐구하는 것이 이차적인 목적이다. 조직이론은 시대적 · 역사적 · 구조적 배경 속에서 성립되며 그러한 배경을 토대로 인간에 대한 일정한 관점을 가진다. 조직 현상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조직의 행위뿐만 아니라 그 속에서 활동하는 인간에 관삼을 가지고 인간의 본질을 파악하는데 주력해 왔다. 그 이유는 조직 속의 인간이 지니는 본질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조직을 구성하는 다른 모든 속성들에 대한 관점과 조직 운영의 실천적 전략이 좌우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조직 속의 인간에 대한 견해들은 전반적인 조직 현상을 설명하는데 일종의 기본가정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같은 맥락에서 교육의 대상인 인간을 어떻게 보느냐 하는 인간관의 차이는 곧 교육을 어떻게 보느냐 하는 교육관의 차이를 가져오게 되고 교육관의 차이에 따라 교육의 방향도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선정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이론이 시대적인 변천과 역사적, 구조적 상황 속에서 어떻게 정립되고 발달되어 왔는가? 또한 각 조직 이론이 갖는 패러다임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조직이론의 발달에 따라 각 시대별 조직 이론에서 이간은 어떻게 규정되고 있는가? 셋째, 다양한 조직이론과 그 속에 전제되어 있는 각기 다른 인간에 대한 견해가 교육에 시사하는 바는 무엇이며, 또는 이들을 교육조직에 적용했을 때 어떠한 현상들로 나타나는가? 이상과 같은 내용에 따라 본 연구를 통해서 논의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고전적 조직이론에서 개인은 조직의 권위에 동조하고 복종하도록 강요되며 인간은 경제적 동기를 충족하기 위한‘기계적 모델’(machine model)로서의‘경제인’으로 규정되며, 조직의 합법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합리적 조직체계에 따르는 기능인의 가설로 대변된다. 따라서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감정적, 비합리적, 사회 · 심리적 성격을 가진 인간을 단순히 기계적, 합리적, 비인간적 도구로 취급하는 비개인성, 비 인격성을 드러내고 있으며 개인의 자유와 자발성을 극도로 제한함으로써 인간의 소외와 인간성 상실을 초래하였다. 고전적 고직이론을 대표하는 이론으로는 과학적 관리론과 관료제 이론을 들 수 있다. 과학적 관리를 통해여 생산성을 높이고 과학적 직무수행으로 교육혁신을 꾀한다는 점에서 과학적 관리론이 주는 시사점은 크다고 하겠으나 이 이론이 전제하는 인간관 때문에 과학적 관리론을 학교조직에 적용할 때 많은 논쟁점을 일으킬 수 있다. 관료제 이론에서는 개성 있는 인간을 육성할 수 없으며 교육의 본질적 목적달성을 저해하고 관료제의 비정성의 강요는 학교조직의 특성과 정면으로 대치된다고 할 수 있는데, 아는 관료제의 이상형의 각 속성은 효율성 및 합리성에 관한 순기능적 결과는 물론 역기능적 결과도 마찬가지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인간 관계론적 조직이론에서는‘능률의 논리’보다는‘감정의 논리’의 체계에 따른 비공식조직에 과심을 가지며 구성원 사회 심리적 인간관계를 고려하여 인간의 사회성 내지 집단성이 강조되고 사회 · 심리적 동기에 의하여 유인되는 사회 · 심리적 인간관에 입각하고 있다. 인간 관계론에서는 인간의 인간적이 가치에 비중을 둔다. 교육조직에 있어서 교육 행정가의 인간요인에 대한 지각은 교사와 직원들의 동기를 부여하고 인간관례를 강조함으로써 민주적인 교육행정의 원리를 제시하며, 또한 교육조직관리의 시발점이 된다. 현대 조직 이론에는 아직도 많은 이론들이 전개중에 있거나 그 개념 정립이 불확실하기 때문에 조직이나 인간관을 하나로 요약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현대 조직이론에서 조직과 인간은 적절한 조화를 이루며 『일』 과 『사람』 이 다 같이 중시되고 인간의 이성에 의한 합리성 추구와 감정에 의한 비합리성 추구의 양면성을 종합적으로 이해함으로써 합리적인 공식구조와 비합리적 비공식적 양자의 적절한 통합을 꾀하고 있다. 현대조직이론에서 인간은 주체적, 개성적 존재로 행동하며 의사결정의 주체자이고 개방적인 존재로서 자율인의 가설에 따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인간은 새로운 환경과 상황을 감안하여 적절히 적응하는 동태적이고 역동적이며 복잡하지만 통일된 전체를 이루는 미래 지향적인 이격의 통합체로 인식된다. 현대조직이론을 대표하는 이론으로는 행동과학적 조직이론, 체제이론, 상황이론을 들 수 있다. 행동과학적 조직이론은 인간의 행동적 내지 기능적 측면을 중심으로, 체제이론은 조직의 합리적 내지 구조적 측면을 중심으로 인간과 조직의 통합을 꾀하고 있다. 현대조직이론을 교육에 적용할 때, 행동과학적 조직이론은 교육에 이론의 체계화를 가져왔으며 다학문적 접근의 이념과 전제를 첨가 시켰다. 체제이론은 교육조직을 포함한 모든 조직의 문제를 다룸에 있어서 하나의 문제를 조직의 전체적인 입장에서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여러 요인들과의 상호 관련하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개방적 노력을 기울이는 체계적 사고를 하게 하며, 체제 이론의 창조적 특성은 사회체제로서의 학교의 조직구조와 기능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상황이론은 조직과 외부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조직의 적응문제를 다루는 조직의 동태론으로써 이러한 이론의 교육에의 적용은 학교체제의 개방성을 표현하여 학교 행정가와 교가의 효과적 지도성을 규명해주고 교육과 교육행정의 개념을 확장, 변화 시켜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고찰해볼 때 시대적 변화를 통하여 조직이론은 끊임없이 새로운 영역을 향해 확대 발전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론에 나타난 인간관 또한 예측할 수 없을 만큼 다양하고 복잡하게 변화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각 이론에 따른 인간관은 인간의 모든 면을 충분히 다 설명해 주지는 못하나 각 이론의 인간이해의 관점은 그 특유의 설명력을 갖고 있어 어느 하나의 관점을 전적으로 부정할 수도 없다. 결국 조직에 대한 제 이론들이 독립적으로 성장할 수는 있겠지만 이들 이론들의 통합을 위한 상호보완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즉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간을 왜곡하지 않는, 부분으로서가 아닌 역동적이고 통합된 전체로서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는 이론의 관점이 필요하다. 더욱이 인간교육의 사명을 띄고 있는 교육자나 교육 행정가, 교육 이론가들은 위와 같은 인간을 바라보는 시각내지 관점을 절실히 요청 받게 되는데, 이는 교육현장에서 그러한 시각내지 관점들이 주는 직접적인 영향은 매우 클 뿐 아니라 그로 인해 교육의 방향까지도 결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