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7 Download: 0

주부의 가사노동 가치인식과 직업의식 비교연구

Title
주부의 가사노동 가치인식과 직업의식 비교연구
Authors
남순환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is to observe housewives' attitude to and their value recognition of housekeep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of them; working housewives' attitude to employment and the reason they have jobs; any difference in housewives and working housewives' thought of a job. Then, it is to find a factor influencing housewives' attitude to and their value recognition of housekeeping, and their professionalism so that it will be helpful for housewives to select either housekeeping or a job. To accomplish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sent to 150 housewives and 137 working housewives who lived in Yong-in, from September 30 to October 15, 2001. Of the total 400 pieces, those with bad response and those uncollected were excluded, only 28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data analysis. SPSSWIN 9.0 package program was used for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One way Anova, t-test, and multiple-regression analysi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or individual variables, it shows relation between the attitude to and the value recognition of housekeeping by whether she has a job or not, by age, by marriage duration, and by monthly average income. Second, for home environmental variables, it shows relation between their attitude to and their value recognition of housekeeping by family number except the youngest's age, by housewives' jobs, by whether it has home assistant or not. Third, it is found that working housewives are satisfied with the current jobs and want to keep their jobs, even if they have a chance to quit the jobs or if they have not financial difficulties at all. It can be seen as if working housewives understand jobs positively rather than housewives. Fourth, for working housewives, it appears 'home assistant' as a variable influencing their attitude to housekeeping, 'marriage duration' influencing their recognition of social value, and 'jobs' influencing their recognition of financial value. Whereas for housewives, it appears 'age' as a variable influencing their attitude to housekeeping, nothing influencing their recognition of social value, and monthly income influencing their recognition of financial value. Fifth, it shows that 'age', jobs' and 'home assistant' are factors having influence on working housewives' professionalism, while housewives' professionalism is influenced by 'home assista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implication is largely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ousewives' attitude, who dedicated to housekeeping, is one of human resources and it is highly understood the importance and contribution. Although the objectivity of marks seems to be unreliable because the measurement scale of attitude, such as like or dislike, can vary depending on the respondents' situation, this researcher think there is nothing concerned because the attitude of preference·satisfaction belongs to definition element and it is natural that their attitude result from their psychological feeling about individual·environmental variables their house faced. Second, in light of the fact that the variables of 'age' and 'home assistant' have direct influence on housewives' professionalism, family forms are expected to increase using merchandised goods because children decrease due to the drop of birth rate.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goods reflecting customers' taste fully and this can be a social condition that help housewives escape from the burden of housekeeping and further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in market works. Today, whether married women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or not influence the quality and welfare of home and society as well as individual, making difference in social and economic utility value. So it is important to choose when and how they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or not. But if we have housewives control housekeeping and participate in market works by highlighting the value of work in market, it will make difficult to create specific home life culture because the spread of standardized·materialized goods violates the identity of homes' own. It need to continue further studies around housewives' housekeeping and their value recognition of market work, together with all the effort in home and society to improve their attitude to housekeeping and market work.;본 연구는 주부의 개인 및 환경적 특성을 살펴보고, 취업주부의 취업태도와 취업동기를 살펴본 후 개인적·환경적 요인에 따른 가사노동의 태도와 가치인식·직업 의식의 차이는 어떠한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전업주부와 취업주부로 나누어 가사노동의 가치인식과 직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규명하여 주부의 가사노동과 직업노동의 선택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용인시에 거주하는 전업주부 150명, 취업주부 137명을 연구대상으로 2001년 9월 30일부터 10월 15일까지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총 400부의 설문지 중에서 무성의한 반응을 보인 응답자와 회수하지 못한 설문지를 제외한 287부만 통계에서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WIN 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t-test,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변인에 따라 살펴보면 직업유무별, 연령별, 결혼 지속년수, 월평균 소득별로 가사노동의 태도와 가사노동에 대한 가치인식과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가정환경적 변인에 따라서는 막내자녀의 연령을 제외한 가족수, 주부의 직업, 가사조력자 유무별로 가사노동의 태도와 가사노동에 대한 가치인식과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취업주부들은 대체로 현재 직업에 만족을 하고 있으며 직장을 그만둘 기회가 주어지거나 경제적 어려움이 없더라도 직장을 계속 다니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업주부보다는 취업주부가 직업에 대하여 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하는 것과 같이 이해할 수 있다. 넷째, 취업주부의 가사노동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조력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업주부의 경우는 '연령'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취업주부의 직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력자'와 '연령'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업주부의 직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력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결과가 갖는 의미는 크게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가사노동에 참여하는 주부의 태도는 이미 인적 자원의 하나로 그 중요도와 기여도가 높이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비록 좋아한다, 싫어한다라는 태도측정 척도가 응답자의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음으로 주관적 의견이 많이 개입될 수 있으나 가정이 처한 개인적·환경적 변인에 대한 심리적 감정에서 기인됨이 당연하다고 볼 때 크게 우려할 만한 점은 아니라 생각된다. 둘째, 주부의 직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연령', '조력자'가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며 전업주부보다 취업주부의 경우 조력자가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더구나 요즘은 출산율이 점차로 감소하고 있어 가정내 조력자가 줄어들고 있어 가정에서 주부의 역할을 대처할만한 상품화된 재화를 활용하는 경우가 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기호를 명확히 반영한 상품들을 개발하여 주부들로 하여금 가사노동의 부담으로부터 벗어나 시장노동에 참여할 수 있는 사회적 여건을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오늘날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여부는 개인적 차원뿐만 아니라 가정과 사회의 생활의 질 및 복지를 좌우할 수 있는 여부에 따라 사회적, 경제적 효용가치가 달라지므로 언제, 어떠한 형태로 경제활동 참가를 할 것인가 혹은 하지 않을 것인가는 중요한 선택의 문제가 된 것이다. 그러나 무조건적으로 가사노동의 가치보다 시장노동의 가치를 더 높게 부각시키는 것은 주부의 역할을 대신할 규격화·유형화된 상품이 필요하게 되어 가정고유의 독자성을 침해함으로써 고유한 가정생활문화의 창조를 어렵게 할 우려가 있다. 이를 위해 앞으로 주부의 가사노동과 시장노동의 가치인식을 중심으로 한 후속연구와 가사노동과 시장노동에 대한 태도를 신장시킬 수 있도록 가정 및 사회적 노력이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