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혜선-
dc.contributor.author박지원-
dc.creator박지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4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8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5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840-
dc.description.abstract좋은 디자인은 오래 지속된다. 유행을 쫓지 않으며, 쉽게 싫증나거나 구식이 되지 않는다. 사람들이 갖고 싶어 하고, 아끼는 물건, 100년, 200년, 시간이 지날수록 그 가치가 높아지는 것은 디자인 조형의 속성에서 나오는 것이다. 현대사회가 쉽게 사고 버리는 마케팅 전략이 지배적일지라도 디자이너 각자는 제품 자체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디자인에 대한 철학과 책임을 갖도록 해야 한다. 국내 산업디자인의 시작은 과거 미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회적 이념이 사라진 상업적 가치, 스타일로서의 모더니즘이었다. 유럽 사회처럼 수공예 전통이 공업화의 물결에 편승하면서 자연스럽게 출발되지 못하였으며, 정부의 정책 주도와 대기업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는 조형의 본질 탐구와 디자인 철학의 부재를 낳았으며 조형성에 있어 ‘심플하고 모던한 스타일이 최고‘라는 무의식이 작용하게 되었다. 무의식은 디자이너 스스로 사고를 개념에 가두고 창의적인 상상력을 발휘하는데 장애 요소로 작용되기도 하였다. 본 논문에서 디자인의 가장 본질적 가치가 ‘조형’이란 것을 상기하고, 디자인 개념이 시작된 19-20세기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역사적 배경과 디자인의 조형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디자인 본질의 속성인 조형의 중요성을 재검토하고 우리 미래 조형가치의 방향성을 고찰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배경 및 목적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2장 문화와 디자인 조형의 이론적 고찰에서는 디자인과 문화의 관계, 디자인과 조형, 조형의 본질적 개념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보기 좋은 디자인의 조형 원리를 이해하였다. 제3장에서는 역사적 배경에 따른 문화현상과 디자인의 관계를 19-20세기까지 체계적으로 살펴보았다. 산업혁명 이후부터 본격적인 디자인 개념이 시작 된 이후의 역사적 배경과 그에 따른 문화현상, 디자인의 흐름을 시대별 카테고리에서 디자인적으로 특징적인 움직임이 있는 나라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제4장에서는 역사적 대표성을 갖는 디자인 조형가치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3장에서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20세기 디자인 중 역사적 대표성을 갖는 디자인을 3가지 분류로 나누어 선정 한 후 이를 연구A, B, C의 분석표를 통해 디자인 조형가치의 흐름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제5장에서는 앞서 3,4장을 통해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디자인의 미래 조형가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연구 분석을 통하여 당시 사회적 분위기와 역사적 배경 같더라도 나라마다 받아들여지고 발전되는 개념이 달랐음을 구체적으로 파악 할 수 있었다. 당시의 사회적 배경으로 형성된 문화가 디자인 조형에 자연스럽게 반영되어 있었으며 100년이 지난 지금에도 당시 조형철학의 맥락이 현재까지도 꾸준히 이어져 오고 있었다. 나라별로 각기 다른 고유의 조형철학을 바탕으로 다양한 시도와 꾸준한 연구를 통해 디자인 역사를 이끌어 가고 있는 점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디자인의 미래 조형가치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첫째, 문화와 디자인의 순환구조를 이해해야 한다. 이는 문화와 시대정신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과 같다. 둘째, 주체적 본질이 바탕이 된 조형철학 구축이 중요하다. 주체성이 바탕이 된 후 새로운 것을 받아들였을 때, 더욱 창조적인 상상력을 발휘하게 된다. 디자인의 주체성은 곧 문화의 주체성이며 이는 깊이 연구되어야 할 미래과제이다. 셋째, 물리적 가치와 관념적 가치의 조화가 필요하다. 이는 어느 것에 치우침이 없이 조화를 이루는 중용의 자세가 필요하며, 디자인 조형의 본질을 찾으려하는 노력과 관념적 가치들이 조화를 이루어 발전되어야 한다. 곧 통합의 자세이며, 나아가 디자인 경영의 지향해야 할 방향이라고 전망하였다.;A good design lasts for a long time. It does not chase after a trend. Hence, it does not get boring or outmoded easily. An object that everyone wants to possess and values. The value of an object that is not diminished even after 100 or 200 years later can be ascribed to the plastic value of its design. Even though modern society is dominated by a marketing strategy of businesses that is oriented toward easy purchasing and easy discarding, each designer should have his or her own philosophy and feel responsibility towards it. Modernism of Korean design is one that is shorn of a social ideology and is dictated instead by commercial value and style just like modernism in the U. S. some time ago. Korean design did not start as a natural development of handicraft tradition as it underwent industrialization as was the case in European society. Rather, it was developed by the initiative of a governmental policy and was centered around major conglomerates. This resulted in the failure in searching for the intrinsic nature of plasticity and the absence of a design philosophy, giving birth to a state of unconsciousness which led to a mistaken belief that 'simple and modern style is the best' in design plasticity. This kind of unconsciousness tended to confine thinking of a designer to a concept and worked as a hindrance to the play of creative imagination. Hence, in this thesis, an attempt is made to remind ourselves that the most fundamental value is the 'plasticity' and analyze its historical background with emphasis o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when the design concept began as well as the plastic changes in design. The aim is to reexamine the significance of plasticity as the essence of a design and consider the directionality of our future plastic values. In Chapter 1, Introduction, background for the research, objective, and research methods are presented. In Chapter 2,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Culture and Design Plasticity, an attempt is made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and culture, design and plasticity, and essential concepts of plasticity, and to understand plastic principles of a good design. In Chapter 3,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phenomenon and design has been systematically considered against historical background focusing on the 19th and the 20th centuries. Discussions were focused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since the concept of design began in earnest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cultural phenomena that ensued. and the design trends by period based on a number of countries where characteristic movements were noticeable in terms of design. In Chapter 4, a concrete analysis was carried out regarding plastic values of design that have historical representativeness. Based on discussions of Chapter 3, 20th century designs that have historical representativeness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nd a concrete analysis was attempted regarding the flow of design plastic values using Analytical Tables of A, B and C for research. In Chapter 5, a proposal was made regarding directionality of the future plastic values of design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es that have been carried out in Chapters 3 and 4. As a result of these analyses, we have discovered that concepts that were received and developed varied depending on the country even when the historical background or social atmosphere involved was similar. The culture that has developed as a result of specific social background was reflected on design plasticity naturally, and the plastic philosophy so created is still viable even now, after 100 years have passed. We were able to discern concretely that each country is making design history through diverse attempts and on-going research based on its unique plastic philosophy. On the basis of these analyses, directionality of the future plastic values of design can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 circulation structure of culture and design should be understood. That is to say, culture and spirit of the time should be understood properly. Second, it is important to construct a plastic philosophy on the basis of an established identity. When something new is received after an identity was established, one can exercise greater creative imagination. Identity of design is the same thing as the identity of culture, which is the future task to be studied further. Third, harmony between physical value and conceptual value is required. One should strike a right balance without going over to one side. Efforts to find essentials of design plasticity should strike a right balance with conceptual values for desirable development. This is the stand for a grand union, a direction that one should aim for in design manage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연구의 의의 및 목적 1 1.2.연구 방법 및 내용 4 2.문화와 디자인 조형의 이론적 고찰 5 2.1. 역사적 배경에 따른 문화현상과 디자인 5 2.1.1.디자인의 정의 5 2.1.2.문화현상과 디자인 7 2.2.디자인과 조형성 10 2.2.1.디자인의 조형적 의미 10 A. 시각의 인지 과정으로 보는 관계성 11 B. 디자인 조형의 중요성 14 2.2.2.조형의 기본 개념 16 2.3.보기 좋은 디자인 조형의 고찰 22 3. 역사적 배경에 따른 문화현상과 디자인의 관계 24 3.1.근대 철학과 사회적 기초 24 3.2. 19세기, 산업사회의 시작과 모던디자인 27 3.2.1. 산업혁명과 현대 디자인의 시작 (영국) 27 3.2.2. 19세기 말, 문화현상과 디자인 (프랑스) 31 3.3. 20세기 전기, 문화현상과 디자인 34 3.3.1. 20세기 초, 유럽의 문화현상과 디자인 34 A. 1차 세계대전대전과 사회현상 37 B. 20세기 초 유럽의 예술의 동향 38 C. 2 차 세계대전이 디자인에 미친 영향 47 3.3.2.독일의 합리적 기능주의 48 3.3.3. 미국의 산업발달과 모던디자인 57 3.4. 20세기 후기, 포스트모더니즘 62 3.4.1. 모더니즘의 비판 62 3.4.2. 포스트모더니즘의 대두 64 3.4.3. 이탈리아 반디자인운동 68 3.4.4. 미국의 포스트모더니즘 디자인 73 3.5. 첨단과학의 발달과 디자인 76 4. 역사적 대표성을 갖는 디자인 조형가치 연구 78 4.1. 연구배경 및 목적 78 4.2. 연구범위 및 방법 79 4.2.1. 연구 제품군 선정 79 4.2.2.연구 방법 88 4.3.연구 결과 93 4.3.1. 연대별 분석표 19,20 세기 : 93 4.3.2. 연구A. 문화 VS 디자인조형 96 A-1. 나라별 분석 96 A-2.연대별 분석 109 4.3.3. B. 연구 프래그넌츠 원리 116 4.3.4. C. TTSS 연구 형태분석환 123 4.4. 연구 결과의 고찰 129 5. 디자인의 미래 조형가치 133 5.1. 21세기 산업디자인의 현재 133 5.2. 한국 산업디자인의 과제 136 5.3.디자인의 미래 조형가치의 방향성 140 5.3.1. 문화와 디자인의 순환구조 이해 140 5.3.2.주체적 본질이 바탕이 된 조형철학 구축 142 5.3.3.물리적 가치와 관념적 가치의 조화 144 6. 결론 및 제언 147 참고문헌 151 ABSTRACT 1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2044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문화의 역사적 대표성을 통한 디자인 조형가치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산업디자인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Plastic Values of Design through Historical Representativeness of Culture-
dc.creator.othernamePark, Ji Won-
dc.format.pagexii, 15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