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9 Download: 0

전통수공업과 장인사회의 변천에 관한 연구

Title
전통수공업과 장인사회의 변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raditional Handicraft and Transformation of the Artisan Society
Authors
김영애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재경
Abstract
Future generations of Jangin 匠人 (artisans) who would create quality traditional Korean products and the spirit of craftsmanship are in danger of becoming extinct these days.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artistic skills of artisans are disappearing today in the face of commercialization, mechanization, and mass production, whereas in the past, an artisan would put all his/her energy and skills into creating a masterpiece from its conception to putting the final touches on it, thereby revealing the artisan’s artistic skills to the fullest. Therefore, the goal of this paper lies in rethinking a new awareness of artisans today through the revival of an almost forgotten tradition and declining craftsmanship. To do so, this paper investigates our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the status composition of artisans, the social role they play, social position, and treatment in the context of Joseon society according to each period; the following topics are chosen from various documents and reference materials on artisan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Joseon period. 1. Concept and Definition of "Artisan" When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the term "artisan" is interpreted from a terminological aspect in its lexical meaning, "Gong 工 (artisan)" refers to the value of artisans. In other words, the term refers to a person who makes things through agile mind and laborious hands, someone whose job it is to make products through the usage of tools. 2. Artisan's Social Role according to His/Her Status Position The Joseon status system was created through adding a new Confucian idea to the traditional social structure of Goryeo period. Moreover, artisans belonged to the lowly class, which was one of the four social classes: yangban, middle, merchant, and low. Artisans played the social role of making things for use in the worships of kings such as offerings to gods or monuments of the royal family, and rather than their skills, their labor was in demand. 3. Artisans’ Compulsory Labor and the Handicraft Tax System When Joseon dynasty was established, artisans received inhumane treatment as members of the lowly class in accordance with the Confucian ideology. Artisans’ productivity dropped because they had to provide compulsory labor, which resulted in artisans’ avoidance of compulsory labor. The number of people who farmed decreased daily because those who enjoyed idleness worked in handicrafts and commerce, which was affected by lack of regulations on handicrafts and commerce in Korea at the time. And thus, a tax system was gradually established to tax artisans. 4. Level of an Artisan’s Skills Artisans, whose status was that of the lowly class, often received gifts and were scouted in the Three Kingdoms and Unified Silla periods as society gradually acknowledged artisans’ skills. In particular, weapons makers and weavers were treated well by the government, and their livelihood was secured to a certain extent; but they did not have any power due to their lowly status. 5. Causes of the Decline of the Artistic Era and Loss of Artisan’s Role The decline in the craftsmanship among modern artisans was the obvious result of an inevitable reality of artisans who had to eke out a living from small-scale crafts while shouldering the burden of handicraft tax and miscellaneous compulsory labor on top of institutional disdain and inhumane treatment of artisans. Thus, nobody desired to become an artisan in Joseon according to the Confucian ideology. 6. The Spirit of Craftsmanship and Its Influence Today The Ideological aspect of the spirit of craftsmanship can be said to be different, but the fundamental disposition of artisans is the same―a combination of devotion to mankind and stoic effort―and the great cultural heritage and the spirit of craftsmanship played a leading role in connecting the past to the present. This research began as a curiousness toward re-illuminating the artisan society of Korea, but there aren't enough materials to do justice to the somewhat broadness of topics and scope as outlined in this research. Through this research, however, we should realize the necessity for reflecting on the power and skills of our tradition that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path to futuristic creation and also reflect on the lives of the artisans of old.;최근 우리나라의 장인(匠人)정신과 전통명품을 만드는 장인들의 대(代)가 끊길 위기에 놓여 있다. 과거의 우리나라 장인들은 하나의 작품을 제작할 때 처음부터 작품을 완성하여 마무리까지 기예(技藝)를 발휘하여 자신의 예술성을 마음껏 선보였으나 현대에 와서는 상품의 대량화의 기계생산으로 인해 전통적인 장인의 기술이 사라져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잊혀져 가는 우리의 전통과 쇠퇴해가는 장인정신을 일깨우고 현대사회에 맞는 새로운 장인의식을 생각해 보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이를 위해 조선사회를 배경으로 장인의 신분구성과 사회적 역할, 그리고 장인들의 사회적 위상과 처우(處遇)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시대별로 조사하고,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장인에 관한 다양한 연구문헌과 참고자료들을 통해 다음과 같은 주제를 정했다. 1. 장인이란? 무엇인가를 만드는 일에서 남달리 특별하고 뛰어난 솜씨를 발휘하는 것을 하나의 업(業)으로 삼는 사람을 흔히 “장이”또는“ 쟁 이”라고 부른다. “장이”와“쟁 이”라는 말은 본디 우리말에 해당되지만 그 근원은 한자(漢子)의 “장(匠)”자에서 유래된 것으로 본다. 2. 장인정신 정신이란 그 사회를 지배하였던 사상이나 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사실이며, 장인(匠人)의 정신을 언급함에 있어서도 동서양의 차이는 분명히 있게 마련이다. 동서양의 사상적 배경이 비록 다르다고 할 수는 있지만 우리장인들의 본질적인 기질은 인간을 위한 정성과 인고의 노력이 함께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으며 그들이 남긴 찬란한 문화유산과 정신은 오늘을 이어준 주역이었다는 사실 또한 알 수 있다. 3. 장인의 신분 및 지위와 사회적 역할 조선의 신분제도는 고려시대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전통적인 사회구조에 조선 초 새로운 유교적 이념이 추가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신분계급은 양반, 중인, 상민, 천민으로 구별되었으며, 장인의 신분은 천민으로 속하였다. 장인의 사회적 역할은 주로 신들에게 바쳐지는 물건이나 왕족의 기념비, 즉 왕들의 숭배에 쓰여지는 물품을 만드는 일에 강요 당하였으며, 장인들은 솜씨보다는 노동의 수요를 필요로 하였다. 3. 장인의 부역(賦役) 및 장 세(匠稅)제도 조선왕조가 성립됨에 따라 유교적 이념에 의해 장인은 상공(商工)천 례(賤隷)로써 비인도적 대우를 받았으며, 부역노동을 강제로 하였기에 그 생산성은 더욱 떨어졌다. 또한 조선시대에 와서는 공․상(工․商)에 관한 제도가 없어서 백성들 가운데 놀기 좋아하는 자들은 모두 공(工)과 상(商)에 종사하였기 때문에 농사를 짓는 백성들이 날로 줄어든다는 인식에 의해 점차 장인에 부여되는 세제(稅制)가 확립되기에 이르렀다 4. 전통수공업의 기술수준 장인들의 기술이 사회적으로 인정받음에 따라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에는 장인들의 기술이 높은 평가를 받아 예물을 받고 초빙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무기 공과 수직 공은 가장 높은 대우를 나라로부터 받았으므로 어느 정도 생활은 보장되었지만 노비와 천인의 신분인 그들은 아무런 권력을 가질 수가 없었다. 5. 장인기술의 쇠퇴 근대 장인의 기술 쇠퇴는 장인에 대한 제도적 천대와 비인도적 대우, 영세한 수공업으로 끼니를 이어가던 그들에게 부과된 장 세(匠稅)와 잡다한 부역노동까지 져야 했던 어쩔 수 없는 척박한 현실의 당연한 결과였다. 그러므로 조선왕조 시대에는 유교적 이념에 의하여 아무도 자발적으로는 장인이 되기를 원하지는 않았다. 한국의 장인사회를 재조명한다는 호기심으로 출발한 연구였으나 본 논문의 주제와 연구 범위가 다소 광범위한데 반해 자료가 충분하지 않아 연구를 하는 과정에서 아쉬움이 많았지만 본고를 통하여 우리는 미래 지향을 위한 창작의 길을 뒷받침 해줄 수 있는 전통의 힘과 기술을 뒤돌아보고 옛 장인들의 삶을 깊이 되새겨보아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