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5 Download: 0

문제중심학습 과정에서 나타난 아동의 창의적·비판적 사고유형과 교사의 역할 분석

Title
문제중심학습 과정에서 나타난 아동의 창의적·비판적 사고유형과 교사의 역할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Students' Creative Thinking and Critical Thinking illuminated and Teachers' Role in Problem-Based Learning(PBL) Environment :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rooms
Authors
백은주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Keywords
문제중심학습창의적·비판적 사고유형초등 과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과학 문제중심학습 수업과정에서 나타나는 아동의 창의적·비판적 사고유형과 이를 촉진하는 교사의 역할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문제중심학습 수업과정에서는 창의적 사고·비판적 사고의 하위 유형들이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가· 2. 문제중심학습 수업과정에서 아동의 창의적·비판적 사고를 촉진하기 위해 교사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이를 위해 실제 문제중심학습이 이루어지는 수업을 관찰하고 분석하는 질적 방법으로 연구를 설계하고 서울시 소재 사립 E초등학교 4학년 2학기 '에너지'에 관련된 단원의 수업 사례를 24차시, H초등학교 3학년 1학기 '흐르는 물'에 관련된 단원의 수업 사례를 17차시 참여 관찰하고 교사 및 학생들과의 면담, 학생의 성찰일지 그리고 학습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수업 단계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만나기』단계에서는 하위 단계인 「동기유발」에서는 '생성하기'와 '전환하기'의 창의적 사고유형과 「문제파악」에서는 '이해하기'와 '해석하기'의 비판적 사고유형이 나타났다. 교사는 학생들이 보다 쉽게, 그리고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문제에 실제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확산적 발문을 하였고, 실생활 관련 자료와 학생들이 개별적으로 문제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활용하였다. 둘째, 『문제해결 계획세우기』단계에서는 학생들이 모든 하위단계에서 반복적으로 '생성하기와 전환하기'의 창의적 사고유형을 나타냈으며, '추론하기', '분석하기와 평가하기'의 비판적 사고유형을 나타냈다. 교사는 활동별로 다양한 발문으로 학생이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였으며, 학생중심적인 물리적 환경을 조성하였다. 『탐색하기』 단계에서는 '생성하기와 전환하기', '비유하기'와 같은 창의적 사고유형과 '이해하기와 해석하기', '추론하기', '분석하기와 평가하기'와 같은 비판적 사고유형이 나타났으며, 교사는 학생들이 수업에 몰입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수업을 안내하였다. 넷째, 『재탐색 및 해결책 고안하기』단계에서는 창의적·비판적 사고유형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나타나거나 동시에 나타났고, 교사는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수업에 직접적인 개입을 삼가고 환경조성에 중점을 두었다. 다섯째, 『발표 및 평가하기』단계의 발표 과정에서는 창의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가 서로 상호작용하며 나타났으며, 평가과정에서는 두 사고가 동시에 나타났다. 또한 교사는 물리적·심리적 환경 조성에 중점을 두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문제중심학습의 각 단계에서는 다양한 창의적·비판적 사고유형이 나타며, 교수학습 과정의 전반부인『문제만나기』부터 『탐색하기』단계까지는 '생성하기'와 '전환하기'의 창의적 사고가 주를 이루었으나, 후반부『재탐색 및 해결책 고안하기』단계로 진행 될수록 '분석하기'와 '평가하기' 등의 비판적 사고가 활성화된다. 둘째, 문제중심학습의 전체적인 과정에서 『문제만나기』부터 『탐색하기』단계까지는 창의적 사고유형과 비판적 사고유형이 분리되어 나타났으나, 후반부인『해결책 고안하기』와 『발표 및 평가하기』에서는 창의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 유형이 상호작용하여 나타거나 동시에 나타난다. 셋째, '생성하기와 전환하기', '이해하기와 해석하기', '분석하기와 평가하기' 등과 같은 사고유형은 한 사고유형을 토대로 다른 사고유형이 나타난다. 넷째, 문제중심학습에서 교사는 학생의 창의적·비판적 사고를 촉진시키기 위해 확산적, 추론적, 평가적, 맥락적과 같은 다양한 발문을 한다. 다섯째, 학생중심적 환경인 모둠학습 형태나 수용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분위기에서 창의적·비판적 사고가 나타난다. 여섯째, 실제적인 발표환경에서 학생들은 예상치 못한 문제를 발견하고 다시 이를 해결하기위해 노력하여 또 다른 사고 촉진의 장이 된다. 일곱째, 문제중심학습에서는 과정이 진행되면서 교사의 역할이 변화한다. 『문제만나기』에서 『탐색하기』단계까지는 교사가 학생들이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몰입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발문과 자원을 준비하는 수업 안내자의 역할을 수행하나 『재탐색 및 해결책 고안하기』단계로 과정이 진행되면서 심리적 환경과 실제적인 물리적 환경 조성과 같은 과정 안내자의 역할을 수행한다.;The purpose of study is to analyze what skills of creative?critical thinking students reveal and how teacher utilizes teaching strategies and materials in PBL(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The research ques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kinds of creative?critical thinking's types are revealed in each step of problem-based learning? Second, How teacher utilizes teaching strategies and materials to promote creative?critical thinking of students in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The study adopt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4 students in 3rd grade students, 30 students in 4th grade participate and 2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based on science PBL units. The data gathered by the participant observation, the interview method, included semi-structured teacher and students, reflective journal from students and other learning materials, such as students' worksheets, classroom artifacts and school document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uring the PBL step of 'meeting a problem', the teachers utilized questioning and whole group discussion as well as a specific material, such as PPT and book, students' worksheet to help students to get motivated and clearly understanding 'the problem'. Students revealed creative thinking such as generating and transforming, and critical thinking such as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Second, during the PBL step of 'setting solution plans', the teacher utilized questioning, monitering, plan. Students revealed creative thinking such as generating and transforming, and critical thinking such analyzing, assessing and inferring. Third, during the PBL step of 'exploring knowledge and skills', teachers provided diverse resources and leaning materials, including science books, a guest instructor, equipments for students' open and active inquiry. Students revealed creative thinking such as generating, transforming and creating metaphor, and critical thinking such as understanding, expressing, analyzing, assessing and inferring. Forth, during the PBL step of 'producing products', teachers encouraged cooperative small group learning, and constructed open classroom environments. Students revealed creative thinking such as generating, transforming, elaborating and problem finding and, critical thinking such as analyzing, assessing and inferring. Fifth, during the PBL step of 'presentation and evaluating the product', teacher constructed a semi-energy exhibition setting to give students authentic environment and gave students time to assess their products and learning for the entire PBL process. Students revealed creative thinking such as generating, transforming, creating metaphor and problem finding, and critical thinking such as analyzing and assess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conclusion are made in the following: First, variously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types are revealed in the each step of PBL. During the first, second, third steps of PBL, creative thinking skills are founded more than critical thinking skills. But during the forth and fifth steps of PBL, it is switched each other. Second, In the PBL environment,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types are interaction . Third, Teacher can be more effective to promote students thinking skills by utilizing diverse questioning skills. Forth, Teacher need to construct psychological and physical classroom environment as providing sufficient time, diverse leaning materials and authentic environments to encourage students to think creatively and critically. Fifth, Teacher need to encourage cooperative small group learning to provide student-centered learning approach. Sixth, Teacher's role in PBL can be changed from facilitator for learning to helper in processing of problem solving. As helper, teacher's role can be focused on constructing open and receptive environ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