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7 Download: 0

교육과정 수준에 따른 초등영어 교육과정 고찰

Title
교육과정 수준에 따른 초등영어 교육과정 고찰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fferences in the primary English education in Korea followed by each level of curriculum
Authors
유솔아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Keywords
교육과정초등영어English education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English curriculum as a second language in the primary school followed by each level of curriculum. The specific ques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following: 1. What is the formal curriculum of English education for the primary school represented by educational board and what difference exists in the formal curriculum when it is compared with ideal curriculum? 2. What is the perceived curriculum formed by teachers who teach English in the primary schools and what difference exists in the perceived curriculum when it is compared with the ideal curriculum? 3. What is the operational curriculum beeing practiced by teachers who teach English in the primary schools and what difference exists in the operational curriculum when it is compared with the ideal curriculum? The methodology for such questions can be summarized like this. First, the ideal curriculum for the primary English education was defined through the educational specialists' opinions written in references related to primary English education. And then a criteria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language instructional theories which can make ideal curriculum come true to analysis each level of English curriculum Second, for the formal curriculum investigation, "Orientations for English Teaching in Primary School" was selected and analyzed how much it reflects the ideal curriculum. Third, for the perceived curriculum investigation, answers from 102 returned questionnaires which have been distributed to 140 primary English teachrs in Seoul were analyzed how much it reflects the ideal curriculum. Forth, for the operational curriculum investigation, 10 teachers of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 were sampled randomely and their classrooms were observed and checked on the checklist have prepared according to the criteria. The resuluts deduced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formal curriculum of English education in the primary school has little consistency to the ideal curriculum, development of commmunicative competence, by including several principles based on audio-lingual approach. Second, the perceived curriculum of English education in the primary school hardly reflects the ideal curriculum with a high fidelity, especially fidelity which have been come out in aspect of purpose, content and method decreases moving to the content and method. Futhermore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a big gap between even the same categories because English teachers in the primary schools didn't accept every principle for the ideal curriculum with consistency Third, the operational curriculum of English education in the primary school hardly reflects the ideal curriculum, either. Of course, it is proved that teachers focus on listning and speaking more than writing or reading and teach language organigation in a way of induction in their class. However most teachers value on form more than function or discourse. In addition types of teaming activity participation and ways of correcting mistake go against the ideal curriculum. Finally this study reached to the conclusion that all of three levels of English curriculum in the primary schools in Korea doesn't reflect the ideal curriculum, development of communicative conpetence, totally and efficiently. Especially the gap between each other is getting wider and wider moving to the content and method. Therefore to make intention of the ideal curriculum influence consistently keeping a high fidelity, more detailed information and support should be prepared to all of the curriculum designers, teachers, parents and even students through all the way of curriculum development, practice and evaluation.;본 연구는 현재 특별활동 과목으로 행해지고 있는 초등영어를 중심으로 공식적 교육과정(formal curriculum), 인지된 교육과정(perceived curriculum), 실행된 교육과정(operational curriculum)을 이상적 교육과정(ideal curriculum)과 비교함으로써 교육과정 수준에 따른 초등영어 교육과정 형태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특활영어를 위해 교육부에서 제시한 공식적 교육과정은 무엇이며, 이상적 교육과정을 얼마나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가? 2. 초등학교 특활영어 교사가 초등영어 교육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교육과정은 무엇이며, 이상적 교육과정을 얼마나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가? 3. 초등학교 특활영어 교사가 교실에서 실행하고 있는 교육과정은 무엇이며, 이상적 교육과정을 얼마나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들을 위해 우선 우리 나라 초등영어 교육이 기본적으로 지향하고 있는 이상적 교육과정이 무엇인지 밝혀낸 후, 이상적 교육과정에 관련된 언어 교수법에 대해 고찰한 이론을 바탕으로 각 수준의 교육과정을 이상적 교육과정에 비추어 분석하기 위한 준거를 마련하였다. 연구방법은 연구문제에 따라 문헌분석, 설문조사, 관찰을 병행하였으며, 연구과정은 다음의 세단계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교육부가 제시한 초등영어 교육의 공식적 교육과정인 「초등학교 특활영어 지도방안」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이상적 교육과정과 비교함으로써 공식적 교육과정이 이상적 교육과정을 얼마나 충실히 반영하는가를 살펴보았다. 둘째, 무선 표집된 서울시 공립 초등학교 특활영어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회수된 102명의 응답 결과를 각 항목에 따라 이상적 교육과정과 비교함으로써 인지된 교육과정이 이상적 교육과정을 얼마나 충실히 반영하는가를 살펴보았다. 셋째, 설문지 응답자 중 10명을 무선표집하여 수업참관을 한 후, 참관 기록 결과를 각 항목에 따라 이상적 교육과정과 비교함으로써 실행된 교육과정이 이상적 교육과정을 얼마나 충실히 반영하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 나라 초등영어의 이상적 교육과정은 의사소통 능력을 계발시키는 것이다. 이를 준거로 하여 공식적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목표에서는 이상적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있었으나 내용과 방법면에서 이상적 교육과정에 일치하지 않는 청화식 접근법에 근거한 요소가 발견되었다. 반면, 문법 번역식 접근법에 근거한 요소는 발견되지 않았다. 즉, 우리 나라 초등영어의 공식적 교육과정은 의사소통 접근법과 청화식 접근법을 혼동하여 제시함으로써 이상적 교육과정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리 나라 초등영어 담당 교사들의 인지된 교육과정을 조사하여 이상적 교육과정에의 충실도를 산출한 결과, 목표면에서는 56.7, 내용에서는 51.8, 방법에서는 34.7의 충실도를 나타내어 목표, 내용, 방법 쪽으로 갈수록 이상적 교육과정과 일치하지 않는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용과 방법의 하위항목에서도 언어의 촛점, 학습내용 선정시 고려사항, 언어체계 지도방법, 교사 역할에서는 64.8 이상의 높은 충실도를 보인 반면, 학습활동 형태, 오류 수정, 발음지도, 학습방법, 학습내용 선정 주체에서는 30.8 이하의 낮은 충실도를 나타내어 교사들이 이상적 교육과정을 일관성없이 수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째, 수업 참관을 통해 우리 나라 초등영어의 실행되는 교육과정을 관찰, 기록하여 각 항목별로 분석한 결과, 언어의 4기능 중 말하기, 듣기에 86.4%의 큰 비중을 두고 있고, 언어체계 지도에서는 82.9%가 귀납적으로 행해져 이상적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언어의 촛점에서는 형식, 기능, 담화 가운데 형식에 가장 큰 비중을 두고, 학습활동의 91.7%가 동일한 과제를 수행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오류 수정의 78.4%가 즉각적인 방법으로 행해져, 실행된 교육과정 역시 이상적 교육과정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우리 나라 초등영어 교육이 이상적 교육과정으로써 궁극적으로 지향하고 있는 것은 의사소통 능력 계발이지만, 공식적 교육과정, 인지된 교육과정, 실행된 교육과정 모두 이상적 교육과정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목표, 내용, 방법면으로 갈수록 이상적 교육과정과의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이상적 교육과정이 학습자 수준에 까지 실현되도록 하는데 요구되는 구체적 정보와 지원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국가 수준, 교사 수준, 학습자 수준의 교육과정이 원래 의도에 따라 변형없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발자, 교사, 학부모, 학습자 등의 교육과정 관련자들에 대해 교육과정 개발에서 부터, 실행, 평가에 이르기 까지 이상적 교육과정을 실현을 위한 구체적 정보와 지원이 끊임없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