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경자-
dc.contributor.author박지연-
dc.creator박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1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4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9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44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충실도 관점에서 7차 수준별 교육과정의 목적, 국어과 심화 ·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 지침 그리고 ‘한 걸음 더’ 의 ‘되돌아보기’, ‘더 나아가기’의 활동 특징과 학습형태에 대해 교사가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교사의 지식과 ‘한 걸음 더’의 실제 실행형태를 비교하여 실행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한 걸음 더’ 과정은 교과서에 구현된 심화 · 보충 수준별 학습 과정으로, ‘되돌아보기’ 와 ‘더 나아가기’로 구성되어 있다. ‘되돌아보기’는 소단원 1, 2에 관한 아동의 학습 성취도를 파악하는 ‘평가’의 과정이며, ‘더 나아가기’는 ‘되돌아보기’의 평가 결과에 따라 아동의 수준에 맞는 활동을 선택하여 학습하는 심화 · 보충 학습 과정이다. 이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1. 교사는 7차 수준별교육과정의 목적과 국어과 심화 ·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지침 그리고 교과서 활동으로 구현된 평가 및 심화 · 보충 학습활동인 ‘한 걸음 더’ 의 실행에 관해 어느 정도의 지식을 가지고 있는가? 2. 현재 교사들의 ‘한 걸음 더’의 실행형태는 어떠한가? 3. 교사들의 실행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1차 연구로 설문지를 제작하였는데, 설문지의 문항은 다음의 다섯 가지를 알아보기 위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교사의 7차 초등 국어과 심화 ·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지침에 대한 이해도 둘째, 교사의 교과서 ‘한 걸음 더’ 과정의 활동 특징과 학습형태에 대한 이해도 셋째, 국어 수업에서의 교과서 의존도 넷째, ‘한 걸음 더’의 ‘되돌아보기’와 ‘더 나아가기’의 실제 실행형태와 실행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그리고 7차 초등 국어과 심화 ·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실행에 관한 교사의 제안이 그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지역 5개 공립학교와 4개 사립학교 교과 전담을 제외한 담임교사이다. ‘한 걸음 더’ 과정의 실제 실행형태는 여러 가지 변형이 있을 수 있지만, 교육과정 지침을 바탕으로 교사와 협의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이상적 실행형태와 변형된 실행형태를 선정하였다. 첫째 ‘되돌아보기’ 활동을 ‘더 나아가기’ 활동의 심화 · 보충 수준을 결정하기 위한 평가로 실행하는지 혹은 다른 목적으로 평가하는 지이다. 둘째, 심화 · 보충 수준을 결정하기 위한 평가활동으로 실행할 경우, 다시 교과서의 ‘더 나아가기’ 활동을 활용하는지, 아닌지이다. 셋째, 심화 · 보충 수준을 결정하기 위한 평가활동이 아닌 경우, 평가 결과를 어디에 사용하는가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A, B, C, D의 네 가지 실행형태가 결정되었다. A유형은 교육과정의 의도에 따른 이상적 실행형태로서 소단원 1, 2을 학습한 후 ‘되돌아보기’ 활동으로 평가를 하여 성취 수준을 파악하고 그 결과에 따라 수준별 소집단 혹은 개인별로 ‘더 나아가기’ 활동 중 하나를 선택해 심화 · 보충 수준별 학습을 실행하는 형태이다. B 유형은 ‘되돌아보기’를 소단원 1, 2의 성취 수준 평가 활동으로 실행하나, 심화 · 보충 수준별 학습은 자체 제작한 학습지나 외부 교재 등으로 실시한다. 이 유형에서 이상적 실행형태와 다른 점은 ‘더 나아가기’ 활동이 소단원 1, 2 와 같은 기본학습의 연장으로 변형되어 실행된다는 것이다. C 유형은 ‘되돌아보기’ 의 평가 목적이 성적표 기재 혹은 학력 평가 대비 등으로 변형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평가 결과에 따른 심화 · 보충 수준별 학습은 이루어지지 않으며 ‘더 나아가기’ 활동은 기본학습의 연장으로 실행된다. D 유형은 이상적 실행형태에서 가장 많이 변형된 것으로, ‘되돌아보기’ 도 ‘더 나아가기’ 도 모두 기본학습의 연장으로, 소단원 1, 2학습 활동의 반복 학습으로 실행된다. 그리고 평가는 ‘더 나아가기’ 활동까지 다 마친 후 주로 외부 제작 평가지로 일제식 단원평가를 실시한다. 설문지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7차 초등 국어과 심화 ·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지침 및 교과서 ‘한 걸음 더’ 과정의 활동 특징과 학습형태에 대한 교사의 지식은 교육과정의 의도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실행에 있어서 95.6%의 교사가 주로 교과서에 의존하며, 91.2%의 교사가 교육과정의 의도에서 벗어난 ‘변형된 실행형태’를 나타내었다. 그 중 실행형태 D가 49.7%, C가 24%, B가 17. 5%를 차지하였다. 결론적으로 교사들은 ‘되돌아보기’ 와 ‘더 나아가기’의 운영에 관한 자신의 지식과는 다르게 변형된 형태로 실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설문지 분석 후 실행형태 D에 속한 교사 1명과 가장 독특한 실행형태를 보인 교사 1명을 선정하여 응답의 배경과, 무엇 때문에 그러한 실행형태를 보이게 되었는지의 원인에 관해 자유롭게 묻고 답하는 면담을 2차 연구로 실시하였다. 설문지와 면담을 통해서 교사의 실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 Fullan이 제시하는 변화의 특질, 지역적 특질, 외부요인의 3가지 범주에 맞추어 분석하였다. 변화의 특질에 해당하는 변형요인으로는 교육과정의 명료성, 교과서의 질과 실용성을, 지역적 특질에 해당하는 변형요인으로는 동료교사와의 상호작용과 아동의 수준별 학습 경험과 아동 및 학부모의 교과서에 대한 편견 그리고 외부요인으로는 시간 부족 및 과인수 학급 실태와 국가와 교육청의 지원을 하위 변형요인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변형요인으로는 ‘한 걸음 더’ 활동의 비실용성, 교육과정 지침의 모호함, 교과서에 대한 아동과 학부모의 편견, 아동의 수준별 학습 경험 부족, 시간 부족과 과인 수 학급 실태, 동료 교사간의 피상적인 상호작용, 비효율적인 외부 지원이 지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7차 초등 국어과 심화 ·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을 위한 교사의 제안은 다음의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명료한 교육과정 지침과 성취 수준을 정립한다. 둘째, 교과서에서 심화·보충형 수준별 학습 과정을 분리하여 교사용 지도서에 싣거나 양질의 자료집(워크시트북)으로 제작한다. 셋째, 현재 분화된 교과서를 꼭 가르쳐야 할 내용만을 담은 한권의 국어 교과서로 재편성 한다. 넷째,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효과적인 홍보와 학부모 교육을 실시한다. 다섯째, 국가와 교육청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연수와 지원이 필요하다. 이는 교사가 필요로 하는 교육과정 혁신과 지원, 그리고 효과적인 교육과정 전달 방법과 실용적인 교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새로운 교육과정의 제정과 실행에 앞서 이를 현실화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교사가 교육과정 목적과 지침을 알고 있지만, 그대로 실행하지 않는 결과가 나타났다. 교육과정이 실재인 교과서 활동이 교육과정 의도에 달리 질이 낮아 실용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 결과는 교사에게 더 명료하고 실제적인 교육과정 지침을 제시해야 할 뿐 아니라 교사의 지식이 실천으로 곧바로 실행될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연수기회 및 지원이 주어져야함을 알게 해준다. 교사들의 제안처럼, 세 권으로 분화된 교과서를 꼭 가르쳐야 할 내용만을 담은 한권의 교과서로 재편성하고 수준별 학습을 위한 양질의 자료집(워크시트북)을 제공하여 교사가 많은 시간을 들이지 않고, 쉽고 편리하게 수업 준비를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둘째, 7차 수준별 교육과정이 시행된 지 6년이나 되었지만, 교사들은 이상적 실행형태와 가장 거리가 먼 실행형태 D에 가장 많은 응답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가수준 및 시 · 도 교육청 지침만으로는 교사가 변화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와 같이 교사의 실행형태와 변형요인에 대한 연구를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교사에게 그때그때 필요한 지원과 자원 그리고 연수기회를 마련해 주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교사가 수준별 교육과정의 목적과 이상적인 실행형태를 알아도, 교과서에 포함된 내용은 빈 칸 없이, 모든 아동이 똑같이 해야 한다는 아동과 학부모의 인식으로 인하여 실행의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교사 뿐 아니라 교수-학습의 주체 모두가 교과서를 수준별 교육을 위한 교재로 보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넷째, 이 연구에서는 ‘되돌아보기’와 ‘더 나아가기’를 하는지 안 하는지를 기준으로, ‘한 걸음 더’의 전체적인 실행형태를 구별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따라서 실행형태 C, D 내에서도 각 교사마다 구체적으로 ‘되돌아보기’와 ‘더 나아가기’를 어떻게 실행하는 지에 관한 설문결과는 부록2에 제시하는 데 그쳤다. 그러나 이 결과를 바탕으로 A, B, C, D의 실행형태를 더 세분화하고 그 차이를 면밀히 관찰하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더 효과적이고 다양한 수준별 학습 방법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다섯째, A를 기준으로 B, C, D를 이상적 실행형태에서 벗어난 것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네 가지 실행형태 나름의 의미와 실효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교사들이 변형된 실행형태를 보이는 것은 교육과정 의도대로 하지 못하는 이유가 있어서이기도 하지만, 변형된 실행형태 나름대로의 방법적 효과나 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B, C, D의 실행형태도 국어과 전 마당에 걸쳐서 혹은 학년 간 연계를 통해서 보았을 때, 또 다른 심화 · 보충 학습의 방법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후속 연구는 교사의 실행이 가지는 가치를 보여주어, 실용적인 개선 방법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수준별 교육과정의 실행을 연구하는 데 관점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충실도 관점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한 걸음 더’ 학습활동이 정말 효과적인 국어과 심화 · 보충형 수준별 교육 학습활동인지에 관한 논의는 제외한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왜 국어과 각 마당(대단원)마다 꼭 보충 · 심화 과정이 있어야 하는지, 그것이 장르적 특성, 아동수준, 국어과의 성격 등에 적합한 효과적인 교육과정 구성인지에 관한 문제제기를 해 볼 필요가 있다. 국어과의 모든 학습 주제에 보충 · 심화 내용을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그것이 또 학년별로 계속적으로 반복되어져야 하는지, 또한 수준별 학습을 위한 평가가 기본 학습 후에 제시되는 형식에 문제점은 없는지, 국어과의 내용적 측면에서 ‘한 걸음 더’ 과정 자체의 가치에 대한 새로운 문제제기의 시도가 필요하다.;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influencing factors on teachers' implementation teachers' knowledge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in the 7th advanced national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and their implementation style of the textbook 'One More Step' in the view of fidelity. For this, the following three tasks were selected. 1. How well do the teachers know about the purpose and intension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in the 7th advanced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and complementing of the textbook 'One More Step', the realized text activity? 2. How do the teachers practice 'One More Step' at present? 3. What are the elements influencing on the teachers' implementing style? A questionnaire made for the first research to solve the tasks consisted of questions to examine the following five items;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purpose and intension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by level,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style of the textbook 'One More Step', reliance on the text of in Korean class, actual practice of 'reviewing' and 'going further forward ' in the textbook 'One More Step', and teacher's suggestions regarding practice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subject by level for deepening and complementing. For the second research, an interview asking and answering freely the reason for their answer with selecting two teachers who showed the most common practicing style and the most unique practicing style in the questionnaire. In order to examine the actual implementation form of ''One More Step'', the current study selected 4 types of A, B, C and D by classifying ideal implementation forms and other implementation forms which can occur in classroom lesson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to the curriculum guidance and discuss with incumbent teachers. Each implementation form is classified by whether it implements or not as differentiated instruction for deepening and complementation according to accomplishment level assessment activity and assessment result of each sub-chapter of 'reviewing' and 'going further forward '. A type, as an ideal implementation form, is to analyze the accomplishment level by 'reviewing' activity after learning sub-chapter 1 and 2, and to implement differentiated instruction for deepening and complementation with choosing one of 'going further forward' activities by small group or individual according to the result. B type implements 'reviewing' as accomplishment level assessment activity for sub-chapter 1 and 2, but it uses self-made work sheet or outside textbook for differentiated instruction for deepening and complementation. What is different from the ideal implementation form in this type is that 'going further forward' activity is implemented transforming to the extension of basic study like sub-chapter 1 and 2. In C type, assessment aims of 'reviewing' are presented as transformations such as report card or academic assessment. Therefore, differentiated instruction for deepening and complementation by assessment result is not conducted, and 'going further forward' is implemented as extension of basic instruction. D type, transformed the most from the ideal implementation form, implements both of 'reviewing' and 'going further forward' as extension of basic instruction or as repetitive learning of sub-chapter 1 and 2. Moreover, for assessment, uniformed chapter assessment is usually implemented with outside assessment paper after completing 'going further forward'. From the survey result with 183 class teachers in 5 public schools and 4 private schools in Seoul, the research results presented that the teachers' knowledge regarding the purpose and intension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by level and practicing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style of the text book 'One More Step' accorded with the intension of the curriculum. However, in terms of practice, 95.6% of teachers rely on the textbook and 91.5% of teachers showed 'transformed practice' being apart from ideal practice. 49.7% of them said that they used type D while 24% used C type and 17.5% used B type. In conclusion, it is observed that the teachers are implementing greatly transformed form, apart from their knowledge on operation of 'reviewing' and 'going further forward'. The interview results of a teacher implementing type D and another teacher implementing self-made curriculum are as following. Several elements influencing the teachers' practice were pointed ; vagueness of the curriculum guidance, the unpractical learning activities of each chapter in 'One More Step', superficial interaction among peer teachers, prejudice of children and parents toward the textbook, and inefficient outside support. The current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five resolutions in order to reduce transforming elements. Firstly, clear curriculum guidance and accomplishment level should be established, secondly, a good data book(worksheet book) should be published with dividing the text by level for deepening and complementing, thirdly, one Korean textbook should be reedited with essential contents to be definitely taught from divided textbooks, fourthly, effective promotion and education of parents about the curriculum by level should be performed, and lastly, systematic and efficient training and support by the nation and educational office are necessar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vii Ⅰ. 서론 =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교육과정 실행 = 6 1. 교육과정 실행이론의 비교 = 6 가. 충실도 관점(fidelity approach) = 6 나. 상호작용 이론(mutual adaptation) = 7 다. 교육과정 생성이론(curriculum enactment) = 8 2. 관심에 기초한 교육과정 실행 모형(CBAM: Concerns Based Adoption Model) = 8 가. 교사의 관심과 실행수준 = 9 나. 교육과정의 실행 수준 = 9 다. 변화지원책 = 11 B. 교육과정의 이상적 실행모형 및 변형요인 = 14 1.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이상적 실행모형 = 14 2. 교육과정 실행의 변형 요인 = 15 가. 변화의 특질 = 16 나. 지역적 특질 = 17 다. 외부 요인 = 18 3. 변형요인으로서의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지식 = 18 C. 7차 초등 국어과 심화 ·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이상적 실행 모형 = 20 1. 7차 교육과정에 나타난 심화 ·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의미 = 21 가. 심화 ·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 도입의 목적 = 21 나. 심화 ·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편성 · 운영 지침 = 22 2.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제7차 초등 국어과 심화 ·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이상적 실행형태 = 34 가. 교과서 심화 · 보충 수준별 교육과정의 이상적 실행에 관한 안내 = 34 나. ‘한 걸음 더’의 이상적 실행형태와 교사 역할 = 37 Ⅲ. 연구 방법 = 42 A. 연구 대상 = 42 B. 연구 도구 = 43 1. 7차 초등 국어과 심화 ·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 지침에 대한 교사의 지식 = 44 2. ‘한 걸음 더’의 실행형태와 교사의 실행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 46 C. 연구 절차 및 자료 분석 = 50 Ⅳ. 연구의 결과 및 해석 = 53 A. ‘한 걸음 더’의 실행에 대한 교사의 지식 = 53 B. ‘한 걸음 더’의 실행형태 = 56 C. 실행형태에 영향을 끼치는 변형 요인 = 57 D. 7차 초등 국어과 심화 ·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이상적 실행을 위한 교사의 제안 = 64 Ⅴ. 결론 및 제언 = 66 참고문헌 = 71 부록 1 설문지 = 76 부록 2 실행형태 C, D에 속한 교사들의 ‘되돌아보기’ 및 ‘더 나아가기’의 구체적인 실행형태 설문 결과 = 83 Abstract =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232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7차 초등 국어과 심화 ·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실행형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eacher's Knowledge and His/Her Configuration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in the 7th Advanced National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dc.creator.othernamePark, Ji Yeon-
dc.format.pagexi, 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초등교육학과-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