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2 Download: 0

학습관여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초등학교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Title
학습관여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초등학교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Other Titles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s and its Effectiveness
Authors
정인숙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정효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s to cope with learning involvement through stress group counseling using reading activitie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o find how parents change their coping types to the learning involvement stress and their cause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raised as follows: 1. W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s to cope with learning involvement through stress group counseling using reading activities? 2. What were the stress sources of the participant parents who attended the developed parents education program involving their children's learning involvement? 3. How did the coping types to the learning involvement had been changed through the developed parents education program involving their children's learning involvement? And, what were the causes of change? Exploratory design of the mixed methods research was used for this study. Eight parents of the Library volunteers in E Elementary School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32 parents of the volunteers participated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to verify the internal validity of the scale of the stress of their coping types. The research was performed from March of 2010 to February of 2011 and data was collected from October to December of 2010. Data for the qualitative research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documents and interviews. Documents included journals prepared the researcher and participants in the programs, records of the group counseling, and activity notes during the program execution. Interviews included semi-structured and unstructured interviews of parents and children.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all transcribed and the transcriptions were analyzed, coded and summarized.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nine of the 66 questionnaires for stress coping types were eliminated after the internal validity test. The stress coping type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Paired Sample T-test was performed using SPSS 12.0,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extent of stress coping between the pre- and post- test measurement owing to the small size of the sample(N=8).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rehensive change in the parents' themselves and their family relationship had changed owing to their cognitive changes through th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s. Second, as the parents' view of education had changed to the child-centered view of education from the parent-centered, their stress coping types for learning involvement were changed as well. Third, the changes in stress coping types were achieved as a result of group counseling using reading activities and the role of reading activities was identified.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rovides academic background of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s. The comprehensive improvements of relationship is achieved through the cognitive change of view of education and the changes of learning involvement style and environmental changes as well. Second, this study specifies the process of book selection in the program and the way to graft the reading activities to group counseling for th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s. To activate th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 the researcher propose the followings: First, the education program shall be implemented with focusing the parents' view of education. The transfer of knowledge and techniques of parent education in the past has been done with focusing the change in activities. It would be much more effective to seek the growth of parent through parent education focusing to their cognitive change. Second, group counseling with reading activities shall be adopted i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 can be greatly grown by the cognitive change through reading activities and by the dynamic interactive impacts through group counseling. Third, as an active support from changed parents as partners of education is highly needed in the effective school education, parent education program performed at school shall be recognized as a vital element of school education. The change of parents will chang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nd child and consequently promote the effectiveness of school education. Therefore, the parent education shall be performed at school. Forth, follow-up quantitative studies with a bigger sample are recommended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effect of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Through the execution of the parents education program, the researcher found that several participants had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including the spouse and child. This tells us that the parents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s, who have difficulties in ordinary but developmental problems, to cope with learning involvement through stress group counseling using reading activities.;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부모들이 합리적인 교육관으로 학습관여 스트레스를 잘 대처하여 부모의 역할을 성숙하게 감당하도록 학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기존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실증적인 자료로 입증한 프로그램을 찾기 어려웠는데 본 연구는 학술적으로 제시된 부모 교육관의 변화에 대한 실증적인 효과를 검증한 것에 프로그램 개발의 의의를 둘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초등학교 학부모의 학습관여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독서활동 집단상담의 부모 교육 프로그램은 어떠해야 하는가? 2. 초등학교 학부모의 학습관여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독서활동 집단상담의 부모 교육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학습관여 스트레스 요인은 어떠한가? 3. 초등학교 학부모의 학습관여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독서활동 집단상담의 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학습관여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어떻게 변화되었으며 변화된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검증은 혼합 연구방법 중 탐색설계에 가까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의 E초등학교 도서관 봉사모임 학부모 8명으로 본 연구의 질적·양적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의 내적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양적연구에는 도서관 봉사모임 학부모 32명이 참여하였다. 연구기간은 2010년 3월부터 2011년 2월까지이며 집중적인 자료 수집은 2010년 10월에서 12월 사이에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 사용된 질적 자료는 프로그램에 연구자가 완전한 참여자로 참여한 참여관찰과 동시에 프로그램을 중재하면서 기록한 연구자 저널, 학부모 집단상담 저널, 프로그램 평가 자료, 집단상담 진행 기록지, 프로그램에서 매주 사용한 활동지 등 문서자료에서 수집하였으며 학부모와 아동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비구조화된 면담 방법으로 심층면담을 하여 자료수집의 다각화를 기하였다. 질적 자료 분석은 전사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검토하여 연구 참여자의 의미 있는 반응을 묶어 분류하여 큰 개념을 파악하고, 연구자가 질적 자료를 직접 검토하며 전사 자료 중 필요한 부분을 발췌하여 부호화하면서 비슷한 개념으로 분류하고 통합하였다. 통합한 개념을 메모하며 자료 요약 표에 정리하고 핵심 조사결과를 요약하여 최종 조사결과를 분석하였다. 양적 자료 수집을 위해서 도서관 봉사 모임 학부모를 대상으로 스트레스 대처 방식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검사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내적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스트레스 대처 방식 척도는 요인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당초 66개 문항에서 57개의 문항으로 축소하여 최종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수정한 검사도구로 프로그램에 참여한 연구 참여자에게 프로그램 중재 전·후에 실시해 회수된 검사지 각 8부는 SPSS 12.0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사전-사후 t검정 및 대응 2-표본 비모수검정의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나 표본 크기가 작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학습관여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있어서 사전-사후 차이값이 현저한 학부모를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를 함께 분석하여 학습관여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변화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학부모 교육관의 변화로 인해 학부모 자신과 가족관계에 포괄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학부모 교육관의 변화에 따른 학습관여 방식과 학습관련 환경에 변화가 일어났으며, 프로그램에서 의도하지 않았던 다양한 변화로 말미암아 학습관여 스트레스 대처에 책 읽어주기, 학부모의 자발적인 독서활동 자조그룹 결성하기 등의 새로운 적용을 하게 되었다. 둘째, 학부모의 교육관이 부모 중심 교육관에서 자녀 중심 교육관으로 변화되어 학습관여 스트레스 대처 방식이 바뀌었다. 학부모 교육관의 변화로 자녀교육에 대한 합리적인 사고와 민주적인 자녀양육 방식으로 변화되었다. 셋째, 독서활동을 활용한 집단상담의 통합적인 효과로 학습관여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변화를 가져왔다. 인지적인 접근이 강한 독서활동과 행동과 태도의 적응과 성장으로 접근한 집단상담으로 학부모 교육관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학습관여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 결과가 학부모교육 프로그램에 기여한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학부모 교육관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관의 변화와 더불어 학습관여 방식과 학습 관련 환경의 변화로 연결된 포괄적인 관계 개선에 대한 학술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 둘째, 학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독서활동을 활용한 집단상담을 적용하면서 프로그램의 진행과정에서 요구되는 책 선정 과정 및 집단상담 과정에 독서활동을 접목하는 방법 등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검증을 실시한 결과 학부모 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필요가 절실함을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학부모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학부모 교육관에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으로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기존 부모교육의 지식과 기술의 전달은 행동 변화에 초점을 두어서 행동 변화에 머무르는 한계를 벗어날 수 없다. 따라서, 학부모의 교육관 변화에 초점을 둔 부모교육을 시행하여야 효과적으로 학부모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 둘째, 학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독서활동을 활용한 집단상담 방식으로 실시하기를 제안한다. 독서활동을 통한 인지적인 변화와 집단상담을 통한 학부모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의 영향으로 학부모의 행동과 태도에 변화를 가져 오는 효과적인 부모교육을 할 수 있다. 셋째, 효과적인 학교 교육에 변화된 학부모를 교육 파트너로 하는 적극적 지원이 절실하므로 학교 차원에서 실시되는 학부모 교육을 학교교육의 중요한 요소로 인식할 것을 제안한다. 학부모의 변화는 부모-자녀 관계를 변화시키고 학교 교육의 효율성을 증진시키는 간접적인 성과가 탁월하므로 학부모교육은 학교 현장에서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가 적어 양적 자료 분석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따라서 보다 더 큰 표본을 대상으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양적 연구를 통해서도 입증하기를 제안한다. 학습관여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마치고 난 후 새로운 변화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여러 가지 측면에서 변화를 경험한 학부모들이 자녀 및 배우자와의 관계 등 가족관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된 것이다. 실제로 학교현장에서 프로그램을 실시하면서 학부모들이 일상적이면서도 발달적인 문제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을 보게 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학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이와 같은 학부모들을 적극적으로 돕는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