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5 Download: 0

기업의 디자인 경영 역량 강화를 위한 사내 디자인교육 실태조사 연구

Title
기업의 디자인 경영 역량 강화를 위한 사내 디자인교육 실태조사 연구
Other Titles
Study of Design Education Research for Company's Design Management Capability Strengthen : A case study of Sales Representative
Authors
김연진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재경
Abstract
기업경영에 있어서 과거 어느 때 보다 디자인 경영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세계적인 일류 기업들이 어려운 시장 환경에서 지속적인 성공을 거두고 있는 이유 중에 하나는 디자인을 적극적인 경영 전략의 도구로 활용하여 기업의 이미지를 발전시켜 왔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디자인 경영 활동이 기업의 전략적 자원의 하나라는데 대한 인식이 커지면서 그에 합당한 역할에 대한 요구가 달라지고 있다. 특히나 오늘날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감과 감각수준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는 디자인 경영 활동이 기업과 소비자사이에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작용을 이뤄야 한다. 디자인 활동의 차원을 넘어선 디자인 경영은 기업의 디자인을 더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는 아이디어와 방법들을 선택하기 위해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를 실현시킬 수 있는 디자인 경영 역량을 가진 인재를 통한 디자인은 제품, 브랜드, 아이덴티티, 혁신경영 등의 주요 개념들과 연결되는 과정을 거친다. 디자인 경영 역량을 갖춘 인재, 즉 디자인 마인드를 갖춘 인재는 창의적으로 문제해결을 하고, 새로운 프로세스로 일의 효율성을 증대 시킨다. 디자인 인력을 다른 업무에도 활용하여 디자인적 사고방식을 활용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디자인적 사고 능력을 갖춘 인력들은 기업의 혁신을 이루고 사업을 발전시켜 나간다. 디자인 경영 능력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디자인 경영과 연계하여 실무에서 문제해결과 의사결정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의 체계를 구축해야 하고, 그것들은 교육을 통해 확산되고 전수 될 수 있다. 디자인 경영의 마인드는 기업의 경영진이나 특정 부서만의 몫이 아니라 전 조직 구성원이 함께 공유해야 할 마인드이다. 그리고 이러한 마인드 제고를 위한 디자인교육은 조직 내부의 상하를 구분하지 않고 그 직책과 업무에 맞게 효율적으로 실시되는 시스템을 갖춰야 할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국내 기업 대부분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조사한 국내 제조업 분야 500개 기업의 직원에 대한 교육훈련 실태조사 보고서에 의하면 교육훈련 중점사항을 대부분 리더십교육에 치중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 외에도 전문기술훈련 교육, 정보화 교육, 어학 교육 등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으나 어디에서도 디자인과 관련된 교육은 찾아 볼 수 없다. 또한 국내 대기업 L사는 디자인 경영을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기업으로 대내외 홍보를 통하여 알리고 있지만 디자인 경영센터나 담당부서에서 마련한 결과물이 사내 전 조직원의 업무처리에 영향력을 주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L사의 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은 매우 우수하고 다른 기업의 조직운영 체계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기도 하지만, 교육 프로그램 내용을 살펴보면 어디에서도 디자인 경영의 중요성은 강조되고 있지 않다. 디자인 경영이 21세기 기업의 화두로 급부상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디자인 경영능력 확대에 이렇듯 한계가 있는 것은 디자인 경영 인식의 부족과 교육 프로그램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아직 많은 기업에서 디자인과 디자인 경영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디자인이 실제 경영 시스템의 중심밖에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직원들의 실무에 있어서도 디자인 경영에 대한 인식부족은 아직 남아있어 기업차원 보다는 부서나 프로젝트 차원의 전략 추진 단위로 생각하고 일시적인 전략적 활동에 머무르고 있다. 이렇듯 아직 많은 기업에서 디자인 경영의 인식이 부족하다보니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경우도 매우 미미하다. 국내 기업에서는 디자인 교육의 대표적인 사례를 찾아보기 매우 힘들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대부분의 대기업 직장인들은 디자인 마인드나 창의력은 어떤 특별한 계층의 전유물이거나 유아기 또는 청소년기에 성장이 멈춰진 자신의 키와 마찬가지의 개념으로 치부하기도 한다. 이제는 디자인 경영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디자인 마인드를 전사적으로 공유하고 이를 위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기업의 임직원 개인 역량 뿐 아니라 기업의 디자인 경영 역량도 강화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기업의 디자인 교육 현황을 살피고 직원들을 상대로 디자인 교육의 필요성과 그들이 기대하는 디자인 교육의 방향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설문조사는 기업하위조직의 판매직원들을 대상으로 이뤄졌는데, 이는 실제로 사내 디자인 경영교육이 경영진이나 관리부서 위주의 편향적인 교육으로 치우친 반면, 소비자와 머천다이징의 접점에서 근무하고 있는 기업 하위조직원 들에게도 디자인 경영과 연계된 교육이나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또한 판매직원들은 고객접점현장에서 직접 소비자들을 상대하기 때문에 디자인 경영을 중요시 하는 기업에서는 이들에 대한 마인드 확립을 위해 체계적인 교육이나 프로그램은 필수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판매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이 이루어졌으며 기업은 국내 디자인 경영 기업의 선두이자 세계적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는 S사로 선정하였다. 설문대상자들은 S사 국내 유통 구조 중 전략유통에 속하는 수도권 백화점 내 판매상담사들이며 총 설문 참여자 수는 60명이다. 설문의 구성은 크게 네 부분으로 진행되었는데 첫째, 사내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디자인 교육의 비중을 확인하였다. 둘째, 응답자들의 업무와 관련된 분야의 디자인 관심도 및 마인드를 조사하였고 셋째, 오늘날 응답자들이 생각할 때 시장의 변화에 따라 소비자들의 디자인 감각이 향상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디자인 교육의 필요성을 업무능력 향상과 디자인 경영측면과 연결하여 설문하였다. 설문 결과, 응답자들의 대부분은 일 년에 5회 이상의 사내교육을 받고 있으나 주된 교육내용은 제품기술에 치우쳐 있었다. 디자인 교육 내용은 매우 미미했으며, 있다 해도 제품 디스플레이와 같은 매장관리 측면이 많았다. 하지만 자사의 디자인 전략 정보의 경우 비교적 매장 판매상담사들에게도 원활히 공유되고 있어 많은 응답자가 자사의 디자인 전략이나 경쟁사와의 차이점, 작사 디자인 문제점 등에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었다. 판매직원들은 오늘날 소비자들의 디자인 감각 수준이 향상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고, 때문에 변화된 시장의 상황에 적절히 대응하고 판매능력 향상을 위해 디자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흥미를 느끼는 디자인 교육 분야로 실무에 적용이 용이한 디자인 트렌드 분석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디자인 교육을 통한 소비자와의 소통강화를 가장 큰 효과로 꼽았다. 그리고 이 외에도 자사의 이미지 강화와 디자인 경영능력 강화의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기업은 디자인경영의 성공을 위해 디자인과 경영의 지식체계와 전략이 기업의 전 구성원 간 충분히 공유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야 할 것이다. 또한 변동적인 시장 환경과 고객의 욕구변화에 탄력적인 대응을 위해서도 판매 현장에서 고객과 직접 접촉하는 판매직원에 대한 디자인 교육이 시스템적으로 갖춰지는 것이 필요하다. 디자인 교육의 내용은 지금의 단순한 전시 디자인적 측면을 넘어 보다 다각적이고 창의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디자인 경영 마인드의 전사적 공유를 위해 디자인 전략이나 이와 관련된 정보의 교육은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디자인 교육의 필요성을 깨닫고 이를 적극적으로 시행할 때 디자인 경영전략의 핵심인 고객과의 소통강화를 가져올 것이고 기업의 디자인 경영능력 향상의 성과를 이룰 수 있다.;Now days, the Importance of Design Management emphasizes more than ever in the business. One of the reasons of success to global company is that they have been developing their company image through design as a tool of strategy of business management. Design management is changing to choose ideas and methods those can make corporation utilize design effectively. Design management capability can fulfill that changing. People who have Design Management capability mak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and product, brand identity, and innovation. The people who have Design Management Capability, in other words, the people who have Design Management Mind are able to solve the problem creatively and increase work efficiency with new process. For cultivating people who have design management capability should build the system of design knowledge and it is possible with design education to spread and hand design knowledge down to all employees. Design management mind needs to not only board of directors or specific department, but also to all members of organization. And Design education for design management mind needs to set up the system condignly for implement without distinction of position level. However, the reality in the most local corporations does not. According to research of Korea Chamber Commerce and Industry, the most of corporations in domestic manufacturing company focus their educations on developing leadership, skill training, teaching information or language teaching. There is no education for design anywhere. This is the same situation to major company in Korea, Although design management rapidly rise as a strategy of business management, there is its limit to expand of it in substance due to the lack of design education program and recognition of design importance. Now, its time to recognize of design importance and it should be shared to all employees with the system of design education. In this report, I surveyed questions to study of design education present condition in local major company about the employee;'s necessity of design education and its proper direction. Especially, it surveyed to sales representative in authorized retail sores. Because it is to find out that how well design education trains to all employees, especially sales representative in store who meets customers in person and can feel the change of market, not the board of directions or management department. Also I suggested that the directions of design education for the company's design management capability strengthen with both integrated and detailed way on the basis of survey result. It may be fairly said the corporation success is depend on the design management capability. Though CEO has a awareness design importance, it is not possible to have a outcome if the working-level employees do not do the role. For company-wide sharing of design management mind, design education should reinforce more actively. Then, it could lead communication strengthen with customer and improving company's design management capabi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