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5 Download: 0

Relationship between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carbohydrate, and fruit intake and obesity risk in Korean population

Title
Relationship between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carbohydrate, and fruit intake and obesity risk in Korean population
Authors
윤세영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수
Abstract
본 연구는 식이 섭취된 탄수화물 양, 그리고 섭취된glycemic index (GI) 와 glycemic load (GL)의 수준이 한국인의 비만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이러한 영향을 식이인자를 통해 확인해보기 위해 비교적 낮은 GI값과 높은 탄수화물 양을 가지는 과일의 섭취가 비만의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도 부가적으로 알아보았다. 2007년 3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국립암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30세 이상 70세 이하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118명이 참여하였다. 식이 섭취된 탄수화물 및 과일의 섭취는 식품섭취빈도조사 (FFQ)를 이용하여 조사되었으며 이를 통해 GI와 GL값이 계산되었다. 이 연구에서 이용된 FFQ의 타당성을 알아보고자 피어슨의 상관분석법을 이용하여 208명의FFQ와 3일 식사기록지의 섭취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GI와 GL의 de-attenuated correlation coefficient 값이 각각 0.33과 0.5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의 인구통계 자료, 생활 습관자료 및 신체 계측치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참여자들 중 165명의 남성과 138명의 여성의 BMI 수치가 25를 넘어 비만 군으로 처리되었고 나머지를 정상군으로 포함되었다. 성별로 나누어서 분석하였을 때, 여성에서GI의 섭취가 가장 높은 군과 낮은 군을 비교하자 높은 군에서 유의하게 비만 위험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OR [95% CI]: 1.48 [1.03 to 2.13], p for trend = 0.033). 남자 대상자들에서는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GL값과 탄수화물양도 비만위험과의 관련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총 과일 섭취량에 따른 분석에서도 여성 군에서는 유의하게 과일 섭취가 높은 대상자들이 낮은 대상자보다 유의하게 낮은 비만 위험을 보였다. 각각의 과일 섭취에 따른 분석 시, 귤과 사과의 섭취가 남자 (귤, 0.59 [0.40 to 0.88], p for trend = 0.001; 사과, 0.42 [0.27 to 0.63], p for trend < 0.001)와 여자 (귤, 0.55 [0.37 to 0.84], p for trend = 0.002; 사과, 0.42 [0.27 to 0.63], p for trend < 0.001) 모두에서 유의하게 비만 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만의 요인에 있어서 최근 많은 집중을 받고 있는 인자 중 하나인 탄수화물의 섭취에서, 개인의 일일 탄수화물 섭취 총량보다 섭취된GI의 수준이 더욱 비만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결과를 내놓았다. 또한 낮은GI값과 높은 탄수화물 량을 가지는 식품 중 하나인 과일의 섭취가 비만 위험을 크게 줄인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현 연구 결과는 한국인의 비만예방과 식이조절 방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나 이를 뒷받침하는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할 수 있다.;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dietary glycemic index (GI), glycemic load (GL), and carbohydrate intake were associated with obesity risk in Korean population. Also dietary fruit intake, which represents food with low-GI and high-carbohydrate, and obesity risk was examined. A total of 1,118 participants, aged 30 years to 70, underwent health screening examinations at National Cancer Center in South Korea from March 2007 to December 2008. Dietary carbohydrate and fruit intake were assessed by food frequency questionnaires and GI and GL values were calculated on the basis of dietary intake of subjects. To confirm the validity of FFQ, GI and GL values were compared between 3day diet records and FFQ and de-attenuated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se values were calculated (GI: 0.33 and GL: 0.51). Anthropometric data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collect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and adjustment was made for confounding factors. Among those subjects, 303(165 men and 138 women) were identified as obese cases, with body mass index over 25.0 (kg/m2).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GI and obesity risk was observed in female subjects when comparing the highest tertile with the lowest (OR [95% CI]: 1.48 [1.03 to 2.13], p for trend = 0.033) after adjusting all the covariates. For GL and carbohydrate intake, however, showed no associations. When comparing the highest quartile of total fruit intake with the lowest, more than half of obesity risk decrease was shown in female subjects. In addition, mandarin and apple intakes were inversely associated with the obesity risk in both of male (Mandarin, 0.59 [0.40 to 0.88], p for trend = 0.001; Apple, 0.42 [0.27 to 0.63], p for trend < 0.001) and female subjects (Mandarin, 0.55 [0.37 to 0.84], p for trend = 0.002; Apple, 0.42 [0.27 to 0.63], p for trend < 0.001). Our findings indicates individuals’ high- GI, rather than GL or total carbohydrate intake, may explain the increase of obesity risk, especially in female subjects. Also intake of fruits showed significant advantage on obesity prevention.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is finding given the small effect observed in this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