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6 Download: 0

Postpartum maternal iodine intake and the relationship to breast-fed neonatal thyroid hormone in Korea

Title
Postpartum maternal iodine intake and the relationship to breast-fed neonatal thyroid hormone in Korea
Other Titles
모유 수유 산모의 요오드 섭취량과 신생아 갑상선 호르몬과의 관계
Authors
김소정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수
Abstract
본 연구는 모유 수유 산모의 식이 섭취와 유즙의 요오드 함량과의 관계 그리고 신생아의 갑상선 호르몬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08년 12월부터 2009년 4월 사이에 K의대 C병원에서 분만하고, 약 2주 동안 동 병원 산후조리원에서 생활했던 산모와 신생아 40명이었다. 갑상선 기능에 이상이 있는 산모와 조산아, 재태연령 37주 미만 조산아는 대상자 모집에서 제외되었다. 산모로부터 출산 후 2-5일과 2주일 두 차례에 거쳐 모유와 소변 샘플을 수집하였다. 식이섭취 조사는 자가 기록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모유샘플 추출일과 동일한 날에 식이섭취 조사를 실시하여 모유 샘플 추출 전날에 해당하는 식이를 조사하였고,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첫 번째 식이 조사 이틀 후에 추가로 식이섭취조사를 실시하여 총 4회 식이조사로 보다 정확한 일일 식이 섭취량을 파악하도록 하였다. 출산형태, 재태연령, 출생체중 등의 출산결과는 병원의 전자의무기록을 통해 수집하였다. 모유와 소변의 요오드 함량은 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기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er; ICP-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식이 섭취(미역으로부터 요오드)는 소변의 요오드 배설량, 유즙의 요오드 함량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유즙의 요오드 함량과 관련 있는 인자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다중 회귀분석 결과, 유즙의 요오드 함량은 산모의 식이 섭취(미역으로부터 요오드, 해조류군), T₃ 호르몬과 유의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신생아의 갑상선 호르몬과 관련 있는 인자를 알아보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신생아의 TSH는 유즙의 요오드 함량 및 산모의 T₃ 호르몬과는 유의적인 음의 관련성을 보였지만, 산모의 식이섭취와는 유의적인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식이섭취와 소변의 요오드 배설량, 유즙의 요오드 함량과의 관련성, 유즙의 요오드 함량과 산모의 식이섭취, T₃ 호르몬과의 관련성, 신생아의 TSH와 유즙의 요오드 함량 및 산모의 T₃호르몬과의 관련성은 모두 출산 후 2주 기간에서만 나타났고, 2-5일 기간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산모의 식이섭취는 소변의 요오드 배설량과 유즙의 요오드 함량과 양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즙의 요오드 함량은 산모의 식이섭취 및 산모의 T₃ 호르몬과 유의적인 양의 관련성이 있으며, 신생아의 TSH 호르몬은 유즙의 요오드 함량, 산모의 T₃ 호르몬과는 유의적인 음의 관련성이 있었으나 산모의 식이섭취와는 유의적인 관련성이 없었다. 추후 유즙의 요오드 함량과 신생아 TSH 호르몬의 음의 관련성을 규명할 수 있는 좀 더 큰 규모의 연구가 필요하겠다.;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first,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iodine concentrations in the urine and breast milk and the dietary iodine consumption, and secon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neonatal thyroid hormones and maternal iodine intake and breast milk iodine concentrations in Korean lactating women. A total of 40 lactating women delivered in the C Hospital of K University between December 2008 to April 2009 and their neonates were objects in this study. Dietary intake data were collected twice by the food record method at 2-5 days and 2 weeks after delivery. Food record on two non-consecutive days, urine, breast milk an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each postpartum period.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regnancy outcomes were collected from the medical records. Iodine measurements in urine and breast milk were performed with an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er; ICP-MS (Elan 6100 DRC plus, Perkin Elmer, USA). Maternal serum TSH, fT₄ and T₃ were analyzed by immunodiagnostic system of VITROS 3600 (Ortho Clinical Diagnostics a Johnson & Johnson, USA) and neonatal TSH and T₄ were analyzed from filter-paper blood spots by fluoroimmunoassay performed on a Wallac VITOR^(2D) (PerkinElmer, Mustionkatu Turku, Finland). Dietary iodine from sea mustard was shown to be positively related with iodine concentrations in urine (r = 0.368, P < 0.05) and breast milk (r = 0.327, P < 0.05) at 2 weeks postpartum.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breast milk iodine concentration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Iodine intake from sea mustard (β = 0.671, P = 0.026) and maternal T₃(β = 1.084, P = 0.005)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breast milk iodine concentrations only at 2 weeks postpartum (R² = 28.1 %). Similar result was observed in the association of breast milk iodine concentration with total seaweeds intake (β = 0.603, P = 0.035) and maternal T₃ (β = 1.101, P = 0.005, R² = 27.1 %).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intakes and iodine concentrations in biological samples at 2-5 days postpartu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neonatal thyroid hormones showed that, maternal T₃ (β = -1.202, P = 0.040) and breast milk iodine concentrations (β = -0.559, P = 0.018)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neonatal TSH except for iodine intake at 2 weeks postpartum (R² = 35.1 %). Similarly, maternal T₃ and breast milk iodine concentrations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neonatal TSH except for total seaweeds intake or iodine intake from sea mustard. In conclusion, dietary iodine from sea mustard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iodine concentrations in urine and breast milk. Iodine concentrations were positively related to dietary iodine intake from sea mustard, and total seaweeds intake and maternal T₃ at 2 weeks postpartum. Neonatal TSH at 2 weeks postpartum was negatively related with breast milk iodine concentrations and maternal T₃ but not with maternal dietary iodine intake. Thus, to clarify a relationship between neonatal TSH and breast milk iodine concentrations, we suggest a large scale study in Korea, it is customary during lactation to eat certain iodine-rich foo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