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3 Download: 0

사이버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내재적가치, 시험불안, 교수설계수준, 몰입 및 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Title
사이버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내재적가치, 시험불안, 교수설계수준, 몰입 및 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Other Titl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Intrinsic Value, Test Anxiety, Instructional Design, Flow and Achievement
Authors
김수미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주영주
Abstract
정보통신의 발달과 인터넷의 보급이라는 시대적․환경적 배경을 바탕으로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한 사이버교육은 급속히 확산되고 있으나, 이러한 급속한 확산에도 불구하고, 사이버교육의 질적 우수성이나 운영에 있어서는 만족할 만한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는 논의가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 사이버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해서는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이 규명되어야 하며, 다양한 변인들을 탐색하고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생의 학습성과를 설명하기 위해 자기효능감, 내재적가치, 시험불안, 몰입 및 성취도 간의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려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요인으로 자기효능감, 내재적가치, 시험불안을 선정하였으며 환경변수로 교수설계수준을 선정하였다. 학습성과 변수로는 몰입과 성취도를 선정하였다. 또한 몰입은 학습성과인 동시에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도 언급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 내재적가치, 교수설계수준과 성취도를 매개하는 매개변인으로 가정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사이버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내재적가치, 교수설계수준은 몰입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사이버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내재적가치, 시험불안, 교수설계수준, 몰입은 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사이버대학생의 몰입은 자기효능감, 내재적가치, 교수설계수준과 성취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2009학년도 2학기 H 사이버대학 "컴퓨터 활용" 과정을 수강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각 변수를 측정하기 위해 2차례에 걸쳐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959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먼저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통해 다변량정규분포성을 검증하고 각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측정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후, 변인 간 직/간접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초기구조모형에 대한 구조방정식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초기구조모형 결과를 바탕으로 유의하지 않은 경로를 제거하여 수정모형을 도출하였으며, 변수들 간의 직/간접 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Sobel의 검증방법을 통해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효능감, 내재적가치, 교수설계수준이 몰입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자기효능감과 교수설계수준의 직접효과만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재적가치의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내재적가치, 시험불안, 교수설계수준, 몰입이 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가를 검증한 결과, 자기효능감, 내재적가치와 교수설계수준, 몰입이 성취도에 직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몰입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변수는 몰입은 교수설계수준, 성취도는 자기효능감이었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자기효능감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다는 연구 결과는 학습자가 자신이 학습과정에서 주어진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고 믿을수록 학습과정에 더 활발하게 참여하게 되고, 더 몰입하게 됨을 의미하며, 따라서 학습자가 학습에 더 몰입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에게 성공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간단한 과제나 단기 목표를 제공하거나, 학습자에게 도전적이면서도 너무 어렵지 않은 적절한 수준의 목표를 설정하는 등의 교수-학습 전략을 활용해야 함을 시사한다. 교수설계수준이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는 사이버 환경에서 학습자의 몰입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학습 목표 및 학습내용을 선정하고, 학습에 편안함을 주는 화면구성 및 디자인의 구성을 고안하며, 학습자에게 적절한 학습 자료를 제공하는 등의 전략이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다는 결과는 사이버대학 환경에서 학습자의 성취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전략들이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내재적가치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다는 결과는 학습자의 성취도 향상을 위해서는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이나, 과제 자체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과제 자체가 학습자의 실제 상황에서 어떤 중요성을 갖는가를 언급하는 등의 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몰입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는 결과는 학습자의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학습자의 몰입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을 조성하고 학습자-학습자 간, 혹은 학습자-교수자 간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등의 전략이 고려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몰입이 자기효능감, 교수설계수준과 성취도의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의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전략들도 반드시 고려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첫째, 향후 연구에서는 시험불안과 성취도와의 관계를 일차원적이 아닌 다각적인 차원에서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후속연구에서는 교수설계수준과 성취도와의 관계에서 몰입이 갖는 매개효과를 다양한 대상 및 환경에서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후속연구에서는 내재적가치와 몰입 및 성취도와의 관계를 다양한 대상 및 환경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E-learning has been around for more than ten years, and now it is widely regarded as a viable option for a variety of educational contexts. E-learning provides a new set of tools that can add value to traditional leaning mode, such as accessibility to content, efficient management of courseware and learners, and enhanced delivery channels. Despite the rapid growth of e-learning, this quantitative growth has not always guaranteed the quality of learning. Especially, learners participating in cyber university are most likely to have their own job tasks to perform,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learners to concentrate on learning itself. To improve learning outcomes, there has to be an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s of learning outcome variables and variables which affect learning outcomes. Thus,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intrinsic value, test anxiety, instructional design, flow and achievement.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self-efficacy, intrinsic value, test anxiety have been chosen as a motivation variables, instructional design as a learning environment variable, and flow and achievement have been chosen as a outcome variabl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1. Do motivation variables(self-efficacy, intrinsic value) and instructional design have direct effects on learners’flow? 2. Do motivation variables(self-efficacy, intrinsic value, test anxiety), instructional design, and flow have direct effects on learners’achievement? 3. Do flow have mediator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variables(self-efficacy, intrinsic value), instructional design and learners’achievement? Two online surveys were administered in H cyber university who enrolled "computer application". 963 Participants went through this course and answered the survey but, 4 respondents who did not complete their surveys were excluded. A total of 959 cases were analyzed for this research. For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nd Sobel’s test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efficacy, instructional desig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learning flow. That is, learners are likely to experience flow during learning, when they have higher self-efficacy when they perceive the e-learning courseware well-designed and easy to use. Second, self-efficacy, intrinsic value, flow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achievement. That is, when learner's try to learn for their own sakes' with belief what they can accomplish their learning task successfully, and when they experience flow during learning, learners' achievement will be improved. Third, the result indicated that learning flow was a meaningful mediator between self-efficacy, instructional design and achievement. That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from the prior research reporting learning flow as an influential factor for learning outcom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direct effect of test anxiety to achievement was not significant, which is still controversial in previous research. Thus, the role of test anxiety to achievement has to be analyzed in multidimensional aspects. Second, results of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ional design and flow can be applied only to the Korean cyber university setting. In order to generalize the model, sample for the future study could be selected from other countries or various learning contexts. Lastly, the effect of intrinsic value to flow and achievement should be examined in various contex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