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7 Download: 0

노인소비자를 고려한 사용성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Title
노인소비자를 고려한 사용성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Other Titles
A Preliminary Study on the new usability prototype considering the elderly consumers
Authors
오은혜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혜경
Abstract
고령화로 인해 노인소비자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는 상황에서 노인소비자들이 좀 더 이해하기 쉽고, 배우기 쉬우며, 조작하기 편리하고, 사용하기에 즐거운 제품을 개발하는 것은 시대적인 요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노인소비자의 사용성을 증대시키면 결국 개선된 사용성을 향유하는 소비자의 범위가 확대되어 전반적인 소비자의 삶의 질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노인소비자의 제품, 서비스, 생활환경에 대한 사용성을 탐구하려는 연구는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어, 대부분 고령친화산업 제품에 한정하여 살펴보고 있거나 사용성 보다는 안전 문제로 접근하는 차원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노인소비자와 사용성을 보다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고찰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사용성의 방향을 제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의 목적을 가지고 논의를 진행하였다. 첫째, 고령화로 인해 주체적인 소비자로 급부상하고 있는 노인소비자들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제품, 서비스 및 생활환경을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참고가 될 수 있는 기존의 사용성 관련 개념 및 원칙과 노인소비자 관련 사용성 표준규격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둘째, 기존 연구를 통해 노화로 인한 기능적 변화를 알아봄으로써 노인소비자들이 지니는 특수성과 사용성을 접목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셋째, 한국의 노인소비자들이 지니는 독특한 생활실태 및 라이프스타일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노인소비자를 위한 새로운 사용성 적용 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사용성은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구를 사용할 때 그 도구를 얼마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가의 개념으로서, 단순한 안전이나 견고성에서 더 나아가 사용자 및 소비자의 관점을 포괄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노인소비자를 고려할 때 매우 유용한 개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용성은 학습용이성·기억용이성·사용상의 효율성·오류의 최소화·주관적 만족도를 통해 측정할 수 있으며, 각각의 원칙에 노인소비자의 특성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사용성의 개념 및 원칙을 반영할 분야를 기존의 노인소비자 관련 사용성 연구들에서 이루어졌던 고령친화상품, 복지용구와 같이 특수화된 분야에 한정짓기 보다는 일반 공용품의 범위로 확대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공용품에 노인소비자를 고려한 사용성 개념을 적용시키면 일반인에게 제공하던 효용을 유지 또는 증진시키는 조건 하에서, 제품 및 환경을 사용하는 데 요구되는 능력 수준을 낮추어 노인소비자들도 사용 가능케 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사용성 개념 및 원칙, 적용 프로세스에 노인소비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고령화로 인해 주체적인 소비자로 급부상하고 있는 노인소비자들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제품, 서비스 및 생활환경을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참고가 될 수 있는 기존의 사용성 관련 개념 및 원칙과 노인소비자 관련 사용성 표준규격 등을 바탕으로 한국 노인소비자를 고려한 새로운 사용성의 모형을 구성한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모형을 실제 사례에 적용하는 데 까지는 연구가 미치지 못한 한계가 있다. 또한 기초 연구로서 전반적인 사용성에 대한 논의 및 노인소비자의 노화에 따른 특성 등을 살펴보는 데 초점을 맞춤으로써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것도 연구의 제한점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실증 연구를 통해 모형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한국 노인소비자의 특성을 반영하고자 노력하였으나 외국 노인소비자와 다른 보다 세부적인 특성에 대한 논의는 다소 부족하므로 이에 대한 보완이 이루어진다면 보다 완성도 높은 모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Under the circumstances of that elderly consumers are beginning to represent an increasing share due to aging, it must be the needs of the times to develop products for the aged consumers being a bit easier to understand and learn, more convenient to operate, more pleasant to use. Also if the usability for the aged consumers can be increased, then the scope of consumers to enjoy the improved usability can be extended so that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a lot to the general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consumers' life, too. However, since the study to investigate the usability of products, services and life environment for the aged consumers still remains at the initial stage so far, it is making just at the level to examine limited only to the products of senior-friendly industry or to approach as an issue of safety rather than of the usability. Hence, it needs to link the aged consumers and the usability together more directly for the consideration and to make effort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a new usability through it. Therefore, this study proceeded discussions focusing on following purposes: First, it purposed to understand the existing concepts and principles related to the usability and standard specification for the usability related to the aged consumers, which can be referred for the presentation of plans to increase the usability, so that the aged consumers who are fast emerging as subjective consumers due to aging can use products, services and life environment much more safely and conveniently; Second, it purposed to seek the plans which are able to combine the specialty with the usability possessed by the aged consumers through the examination of functional changes caused by aging; Third, it purposed to seek how to apply the new usability for the aged consumers in Korea through examination of the unique living condition and the lifestyle possessed by the aged consumers in Korea;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able to confirm that the usability, as the concept of how easily the tool can be used when a tool is used for achievement of a certain purpose, is a very useful concept, especially in consideration of the aged consumers in the aspects of that it can reflect the viewpoint of users and consumers comprehensively further from simple safety or firmness. Such usability can be measured through learnability, memorability, efficiency in use, error minimization and subjectively satisfaction, and it needs to apply the characteristic of the aged consumers to each principle. Also it needs to apply the fields being reflected by such concept and principle of the usability not only to the limited fields such as senior-friendly products, assistive products which had been made for the existing usability studies related to the aged consumers but also to the extended range of general common goods. When the concept of usability in consideration of the aged consumers is reflected to common goods, then it will be able to bring the effect being able to be used by the aged consumers as well as it lowers the level of proficiency required to use the products, environment under the condition to maintain or improve the utility provided to general people. For this, it needs to arrange guideline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aged consumers in addition to the concept and principle, application process of the usability.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hat it constructed a model of new usability in consideration of the aged consumers in Korea based on the existing concept and principles related to the usability and standard specifications for the usability related to the aged consumers, which can be referred for the presentation of plans to improve the usability being usable to use products, services and life environment more safely and conveniently for the aged consumers who are fast emerging as the subjective consumers due to aging. However, this model has the limitation which the study could not reach the practical application to actual cases. Also it can be another limitation of this study that more in-dept study could not make since it focused on discussions about general usability and exa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 caused by aging of the aged consumers as a basic study. Therefore, it needs to complement the insufficient matters of this study through empirical examination in the follow up study. Also, this study tri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 of the aged consumers in Korea but it is rather insufficient in discussions about more detailed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the one of the aged consumers in other countries so that it expects to develop a model much closer to the perfection if this can be complemen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