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희-
dc.contributor.author박미숙-
dc.creator박미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55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55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68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2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684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직업위탁교육’을 주제로 경기도 내 특수학급이 설치된 89개 고등학교(2008년 기준)에서 실시된 직업위탁교육의 실태(계획, 실행, 평가)와 직업위탁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지원요구에 대해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내 고등학교 특수학급 89개 전수를 대상으로 조사되었으며 최종적으로 70부가 분석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두 독립표본 t검정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직업위탁교육 실태는 72.86%의 외부 강사와 18.57%의 특수학급 교사가 기초적인 작업 기능 숙달과 기초 직업 기능 및 태도 습득을 목적으로 직업위탁교육을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학급 교사가 직업위탁교육기관을 선택할 때 교육내용, 특수학급 학생 및 학부모의 요구와 희망사항을 우선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학급 교사가 가장 많이 지원받은 직업위탁교육 서비스는 작업훈련이고, 직업위탁교육이 실시된 장소로 가장 많이 활용된 곳은 직업전환교육지원센터와 교내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위탁교육 프로그램으로 제과·제빵, 도자기 공예, 직무태도 및 작업 활동과 같은 직업과 생활의 전반적인 내용이 실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위탁교육이 운영된 방법은 1, 2, 3학년 모두 동일하게 운영된 경우가 가장 많았고, 직업위탁교육 프로그램 중 제과·제빵과 공예는 한 달에 4회, 1회당 2~3시간, 6개월 이상 실시된 경우가 많았다. 둘째, 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 이루어진 직업위탁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평가는 ‘보통’으로 나타났고, 특히 직업위탁교육과 특수학급 학생의 진로·취업 관련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위탁교육 평가에 대한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특수학급 교육경력이 3년 이하인 교사와 3년 초과인 교사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위탁교육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에서 전반적인 만족도가 ‘보통’으로 나타났다. 직업위탁교육의 장점은 직업위탁교육을 통해 학교에 없거나 부족한 시설과 장비 및 기자재를 활용할 수 있고, 직업기술 교육과 다양한 지역사회 경험을 확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단점은 지역사회 자원과 연계한 체계적인 현장실습이 부족하고 특수학급 학생의 개인 특성에 맞는 맞춤형 수준별 직업위탁교육을 실시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넷째, 직업위탁교육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지원요구에서 직업위탁교육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21가지 사항에 대한 지원요구가 평균 4.32로 높게 나타났다. 직업위탁교육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지원요구에 대한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특수학급 교육경력이 3년 이하인 교사와 3년 초과인 교사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직업위탁교육의 실태를 살펴보고 직업위탁교육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평가와 직업위탁교육의 장점 및 단점을 검토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지원이 요구되는 사항을 살펴봄으로써 직업위탁교육 정책과 제도 마련이나 관련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되는데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practices of the consigned vocational programs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t high schools in Kyongki province and to examine teachers' awareness and their request for support. This study interrogated 89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at high schools and finally analyzed 79 copies among them. The analysis is shown to frequency, percentages,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independent t-tes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art-time teachers(72.86%) and special class teachers(18.57%) focus on teaching students basic vocational skills and help them to acquire appropriate attitude. It also shows that teachers give priorities to the contents of the program, students and their parents' need and expectation. The most supported service is shown to vocational training and its places are mostly Vocational Transition Education Support Center and classes at schools. Most programs offer three vocational skills about baking, ceramic craft, working attitude. These programs generally offer classes four times a month, two to three hours a day and most of them last over six months. In most cases, vocational programs are offered the same to high school students regardless of their grades. Second, the evaluation from the special class teachers toward vocational programs practiced at schools is indicated ‘average’, but their relationship with actual job market is indicated ‘low.’ Among the questions, there doesn't appear intergroup difference in the special class work experience of the special class teachers about ‘the evaluation of the consigned vocational education.‘ Third, the satisfaction of special class teachers with the consigned vocational education is marked ‘average.’ The benefits of this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are that students can take advantage of facilities and equipment that can be absent or insufficient in schools. Further, they can have hands-on experience in various local communities. However, this education can neither offer systematic training in relation to the specific community resources, nor provide customized programs based on each student's availability. Fourth, special class teachers' request for support in order to enhance the success of vocational education is marked high at average 4.32. Among the needs they claimed for the better vocational education, there doesn't show intergroup difference in the special class work experience of the special class teachers about ‘request for support in order to enhance the success of vocational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at addressing the practices of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its teachers' evaluation on the program, and suggesting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it. Further, this study can be provided as the basic research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policies or regulations concerning vocational education in the near future through looking into the support request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특수교육대상자의 진로 및 직업교육 = 6 B. 특수교육기관의 진로 및 직업교육 실태와 지원요구 = 14 C.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직업위탁교육 = 16 Ⅲ. 연구 방법 = 19 A. 연구 대상 = 19 B. 연구 도구 = 21 C. 자료 수집 = 23 D. 자료 처리 = 23 Ⅳ. 연구 결과 = 25 A.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직업위탁교육 실태 = 25 B.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직업위탁교육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평가 = 36 C.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직업위탁교육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 = 38 D.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직업위탁교육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지원요구 = 41 Ⅴ. 논의 및 제언 = 44 A. 논의 = 44 B. 제한점 = 50 C. 제언 = 51 참고문헌 = 52 부록 = 59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266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직업위탁교육 실태와 교사의 인식 및 지원요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onsigned Vocational Education of Special Class in High School and Teacher's Awareness and Support Needs-
dc.creator.othernamePark, Mi Sook-
dc.format.pageⅷ,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