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0 Download: 0

William Wordsworth의 목가시 연구

Title
William Wordsworth의 목가시 연구
Authors
오정금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워즈워스(William Wordsworth)의 목가시는 상실감을 겪는 자아에서 통합된 자아로의 이행을 내포하는 목가정 과정(Pastoral process)을 형상화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목가적 과정을 밝히면서 워즈워스적인 목가시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알아본다. 그의 목가시는 관행 (convention)이라는 문학 전통을 토대로 하여 쓰여진 것이 아니다. 그것은 자신의 정신적 위기의 극복 과정을 풀어내는 가운데 형성된 내적 투쟁의 산물이다. 이렇게 형성된 그의 시는 목가란 단순한 “이상향”의 개념으로 일반화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분열된 자아와의 상관관계 속에서 진정한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것임을 우리에게 시사해 준다. 19세기라는 특정한 사회적, 역사적 맥락 안에서 자아 상실을 경험한 워즈워스가 자신의 경험 세계를 어떻게 재구성하고 있는지를 논의해 보면서 우리는 비로소 그가 제시하는 목가라는 개념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목가 세계의 구성에서 이상적 자아의 무상에 이르는 경로를 살피면서 워즈워스적인 목가시의 특징들을 고찰해 보도록 한다. 텍스트로는 「틴턴사원」(Tintern Abbey), 「마이클」(Michael), 「형제들」(The Brothers), 「숫사슴이 뛰어간 우물」(Hart-Leap Well), 「애완 양 (The Pet Lamb), 「참나무와 금작화」(The Oak and the Broom) 등의 목가시들을 살펴본다. ∥장에서는 워즈워스의 목가적 과정의 구체적 양상을 두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도록 한다. 첫째 워즈워스가 구성하는 목가 세계의 특징을 알아본다. 프랑스 혁명과 산업 혁명의 여파가 사회 구석구석에 감돌던 당시, 이러한 질풍노도의 시대적 징후 속에서 상실, 소외, 당절을 첨예하게 인식하게 되면서 워즈워스는 지나간 경험 세계, 특히 자연과의 교감을 목가적 체험으로 재해석하였고, 산업화 이전의 목동들의 삶을 통합적 삶의 유형으로 재구성하였다. 둘째, 워즈워스가 목동들로부터 전해들은 당시의 비화(episode)를 해석하는 양상을 파악한다. 그는 목동에게서 전해들은 일화와 우화를 목가가 내재된 이야기로 수용함으로써 자아 합일을 향한 의지를 표출시킨다. 목가적 합일 세계가 사후 구성된 허구세계이기 때문에 자아가 욕망하는 통합 상태는 다른 것으로 대체해서 성취될 수 밖에 없다. 신화와 전통이라는 공동체적 기반이 와해되고 있는 시저에서 워즈워스는 창조적 의미 변화 과정을 기조로 하는 기억 행위를 자아 합일의 과정으로 포착하게 되었다. Ⅲ장에서는 상실된 자아를 치유하고 새로운 자아를 재구성하는데 있어서 기억 행위가 어떻게 작용되고 있는지를 세 부분으로 나누어 파악한다. 첫째 기억의 과정은 창조적 변화 과정을 내포한다. 기억의 작용은 상실된 그의 자아를 치유해 주면서 자아를 통일감 있게 재구성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기억은 단순한 ‘사건 떠올리기’가 아닌, 마음의 능동적 활동을 중요시하는 창조적 구성 행위이기 때문에 그것은 기억 주체의 자아 변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둘째, 당시 시골 목동들과 촌부들은 자아 통합을 위한 창조 행위에 몰두한다. 그들은 새로운 대상을 만들거나, 자연 풍경 중에 특정한 지점을 의미있게 포착해 낸다. 이 경우 그들은 그들이 창조적으로 구성한 대상을 ‘시간의 지점’으로 인식한다. 셋째, 워즈워스는 회상에 의해 이상적 자아를 구축해 간다. 그는 회상을 통해 시골 목동들과 촌부들의 비극적 삶을 시에 다시 구조화하면서 그들의 역사를 자신의 역사로 탈바꿈한다. 그는 특히 자신들이 창조적으로 재구성한 대상을 영속화하지 못하는 시골 목동들의 실패를 시적인 상상력으로 복원함으로써 창조적인 자아를 성취한다. 이렇듯. 워즈워스가 궁극적으로 구축하는 창조적인 자아는 처음에 그가 목가적 과정을 구성할 때 이상적으로 그려 본 자아와 합치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러한 자아 합일에 도달하기 위한 열망에서 비롯된 것이다.;This thesis argues that William Wordsworth's pastoral poetry embodies the pastoral process meaning the transition from the split self into the integrated self. The process of split self toward the integrated, which I call the "pastoral process", makes Wordsworth's pastoral poems depart from the long inherited pastoral conventions of the Western literary history. In his pastoral poetry, pastoral landscape is closely associated with his psychological disequilibrium in the Nineteenth-century European social and historical environment. His pastoral process begins when the self caught up in the sense of loss, alienation, and disruption yearns for the blissful past, and regards it the sense of loss, alienation, and disruption yearns for the blissful past, and regards it as the world of his true self. To recover pastoral self-identification, Wordsworth recognizes remembering process as his pastoral proces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Wordsworth's pastoral process by analyzing his pastoral poetry such as "Tintern Abbey", "Michael","The Brothers","Hart-Leap Well","The Oak and the Broom". Chapter ∥demonstrates the two stages of Wordsworth's pastoral process. In the first stage, the poet reconstructs his past experience into the pastoral world. Right after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Industrial Revolution, young Wordsworth was seized with loss, alienation, and disruption, and he came to idealize his past world as an integrated pastoral world. He considered the nature, with which he had deeply sympathized, and the unsophisticated shepherd's life as the unified world. In his stage of the pastoral process, the poet reinterprets the fables and tales told by shepherds as pastoral stories. Such a reading represents Wordsworth's desire to reach the ideal self. Chapter Ⅲ analyzes Wordsworth's "remembering activity", an act of recovering the present self in conflict and suffering through three stages. The poet maintains that such "remembering process" is the essence of the pastoral process leading to the reconstruction of the new integrated self. Firstly, understanding remembering activity as the process of creative transformation, he stresses the importance of recalling work to turn the present self into the ideal poetic self. Secondly, Wordsworth makes the recalling activity even more specific by showing the poetic protagonists who regard the certain spot in the natural world as "spots of time". Thirdly, Wordsworth demonstrates that his remembering of the shepherds' tragic life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formation of his ideal poetic self. Especially Wordsworth is engaged in the imaginative recollection of the objects which shepherds of other classed rural men fail to eternalize; here, he achieves his creative self.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