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4 Download: 0

영어 어휘 학습에서 피드백이 성취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영어 어휘 학습에서 피드백이 성취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Feedback Types o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English Vocabulary Learning
Authors
한세희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ducational basic background of feedback and effects of types of feedbacks (confirmative feedback and explanatory feedback) o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English Vocabular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self-efficacy between Confirmative feedback and Explanatory Feedback?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of English Vocabulary between Confirmative feedback and Explanatory Feedback?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self-efficacy of English subject? 4. Is there any difference in self-efficacy of English Vocabulary? 5. Is there any difference in self-efficacy of Synonyms problems? 6. Is there any difference in self-efficacy of Analogies problems? Eighth and Ninth grader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were selected. Each group has 35 students. During four weeks of 12 sessions, group A has confirmative feedback of their test results in every session. Group B has explanatory feedback of the same period. Statistical analysis for data obtained from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by the technique of one-way ANCOVA and t-Tes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between types of feedback in self-efficacy.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between types of feedback in academic achievement in English Vocabulary.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of English Subject.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of English Vocabulary.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of Synonyms Problems. 6.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of Analogies Problems. In sum, teacher’s explanatory feedback contributed more to fostering positive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toward English Vocabulary than confirmative feedback. The term feedback is widely used to refer to the communication with a learner to inform him or her of the accuracy of a response to a question. The value of feedback as a tool for motivating students and increasing achievement is not a recent revel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English, specifically in vocabulary learning, more elaborative feedback has more power to stimulate the effects on self-efficacy, and English Vocabulary achievement. Therefore, the teacher needs to operate explanatory feedback more actively to foster the self-efficacy and the achievement of learners. ;같은 학습 상황에서도 스스로 그 과제를 해낼 수 있다고 생각하는 학습자와 그렇지 못한 학습자가 있다. 이렇듯 어떤 일을 잘 해 낼 수 있는가에 대한 자신의 능력을 주관적으로 판단하는 믿음을 자기효능감이라 한다. 자기효능감은 학습자의 동기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학습 태도와 행동, 성취 여부를 측정하는 효과적인 지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기효능감을 효과적으로 증진 시킬 수 있다면 학습자의 동기 문제나 성취도의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이다. 교수 학습 상황에서 자기효능감에 변화를 줄 수 있는 방법에는 피드백을 생각할 수 있다. Bandura(1997)에 따르면 자기효능감은 성공 경험, 간접 경험, 언어적 설득, 정서적 각성이라는 네 가지 기제를 통해 형성되고 증진 된다. 이 중 현실적인 학습 상황에서 특별한 기제 없이도 빠르고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언어적 설득에 해당하는 피드백을 이용하는 것이다. 학습에서 말하는 피드백이란 학습자의 행동에 대한 교수자의 반응으로 그 구체적인 정도에 따라 정오확인 피드백부터 정교화된 피드백까지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된다. 학계에서는 피드백이 정교할수록 학습에 효과적이라는 선행 연구가 다수 이루어 진 바 있다. 또한 영어 교육에서도 피드백이 효과적이라는 것은 다양한 선행 연구들이 지적한 바 있다(김영민, 2000; 김경석, 200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어 어휘 학습 상황에서 피드백을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어떤 피드백이 성취도와 자기효능감 증진에 더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룬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1. 영어 어휘 학습 상황에서 설명적 피드백은 정오확인 피드백보다 성취도 증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가? 2. 영어 어휘 학습 상황에서 설명적 피드백은 정오확인 피드백보다 자기효능감 증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가? 3. 영어 어휘 학습 상황에서 설명적 피드백은 피드백의 하위 영역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가? 3-1. 설명적 피드백은 영어과목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3-2. 설명적 피드백은 영어어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3-3. 설명적 피드백은 영어문제유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1) 설명적 피드백은 동의어(Synonyms)문제유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2) 설명적 피드백은 유사관계(Analogies)문제유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 경기 소재의 중학교 1,2학년 76명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 자기효능감 설문과 성취도 테스트를 각각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이 된 유효 응답자 70명을 각 35명씩 실험, 통제 집단으로 나누어 4주, 12회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 때 통제 집단에는 학습자의 반응이 맞았는지 틀렸는지 여부만을 알려주는 정오확인 피드백만 제공하고, 실험 집단에는 정오확인 여부 이외에도 판단의 기준, 정답과 정답이 되는 이유 등에 대한 설명을 추가로 제공하는 설명적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설명적 피드백은 정오확인피드백보다 성취도 증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F = 5.11, p < .05). 이는 보다 정교화된 피드백이 성취도 증진에 효과적이라는 사전연구(신동로외, 2007; Damon, 1995)들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둘째, 설명적 피드백은 정오확인 피드백보다 자기효능감 증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실험 결과 정오확인 피드백만을 받은 통제집단보다 구체화된 설명적 피드백을 제공받은 집단의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증진한 것을 알 수 있다(F = 6.56, p < .05). 결과적으로 설명적 피드백은 성취도를 증진 시킬 뿐 아니라 자기효능감도 상승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효능감 상승이 성취도를 증진시킨다는 사전 연구(Schunk, 1984; Siegle & Mccoach, 2007)의 결과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였다 다음으로 설명적 피드백 제공이 자기효능감의 하위 영역인 영어과목 자기효능감, 영어어휘 자기효능감, 영어 문제유형 자기효능감에 끼친 영향은 아래와 같다. 첫째, 설명적 피드백은 영어과목 자기효능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응 통계 t검정을 통한 검증에서 설명적 피드백 제공이 영어과목 자기효능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t = -1.563, p > .05) 둘째, 설명적 피드백은 영어어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t = -1.966, p > .05). 학습의 내용과 설명적 피드백을 제공받은 퀴즈의 내용이 영어 어휘임에도 불구하고 영어어휘 자기효능감에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하였다. 다음으로 문제 유형 효능감 변화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설명적 피드백은 영어어휘 동의어문제유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t = -.813, p > .05). 설명적 피드백이어도 보다 단순한 형태로 정보가 제공된 동의어 문제에서는 자기효능감 증진이 유의하지 못하였다. 이에 반해 설명적 피드백은 영어어휘 유사관계 문제유형 자기효능감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t = -7.464, p < .05). 따라서 설명적 피드백을 통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이 유사 관계 찾기 문제에 대한 자기효능감 증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보다 구체적이고 정교화 된 정보를 제공하는 설명적 피드백이 정오확인 피드백보다 자기효능감 증진과 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피드백을 통해 자기효능감을 증진 시키고, 이를 통해 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피드백이 구체적이고 설명적이어야 그 효과가 커질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문제유형에 따라 설명적 피드백이 효과성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알아 보았다. 이에 같은 설명적 피드백이라도 문제유형에 따라 그 효과성이 다르며, 더 효과적으로 작용될 수 있는 문제유형을 학습하게 될 때는 설명적 피드백의 장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교수 방안이 연구 되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가진다. 첫째,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소재 중학교 1, 2학년 학생들만 대상으로 하여 대상의 범위가 좁았다. 연구 결과를 일반화 하여 생각하기에는 대상의 범위가 협소하여 넓은 연령대의, 다양한 학습 동기를 가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대상의 수가 70여명밖에 되지 않아 연구 대상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한 점이다. 대상의 범위가 좁더라도 대상의 수가 많다면 그 연구 대상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연구 결과가 시사될 수 있다. 그러나 대상의 수가 적어, 집단의 특수성이 반영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충분한 수의 연구 대상을 확보하여 결과를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연구 기간이 짧았다는 점이다. 자기효능감은 단기간에 형성되었다기 보다는 오랜 영어 어휘 학습의 기간을 거치면서 뿌리 깊이 형성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세부적인 문제유형 자기효능감이 아니라 영어 어휘에 대한 자기효능감, 영어 과목에 대한 자기효능감등 보다 확대된 개념의 자기효능감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에 걸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