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혜경-
dc.creator조혜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50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50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79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8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7935-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윌리엄 포크너의 『음향과 분노』에 나타나는 여성에 대한 관점을 남부의 실상과 아울러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작품의 주요 남성 인물들을 그들의 누이인 캐디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미국 남부 사회는 노예제도라는 그들만의 특별한 제도를 통해 부와 권력을 획득했지만 흑인과 백인의 이종잡혼으로 인해 혼혈아가 증가하면서 백인 여성의 처녀성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부작용을 낳았다. 패전으로 인해 부와 권력을 상실하고 남부 주체로서의 위상에 위기 의식을 느낀 남성은 여성을 최후의 보루로 삼아 타인종과 타계급에 대해 보다 더 철저히 배격하는 편협하고 수구적인 자세를 취하였다. 윌리엄 포크너는 남부 사회의 부조리를 냉정한 시선으로 재평가하고 남부 대 북부, 백인 대 흑인, 숙녀 대 탕녀 등의 이분법적 가치관의 경계를 허무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그의 대표작 『음향과 분노』는 한 명문가의 몰락 속에서 희생된 여성인 캐디와 그녀를 둘러싼 남자 형제들의 비극적인 삶을 조명하고 있다. 포크너는 이 작품에서 가족 붕괴를 통해 남부의 몰락을 보여주고 있는데, 가부장 사회의 가족 붕괴는 곧 남성 주체의 몰락으로 명시되고 있으며 남성 주체의 몰락 속에는 가부장 체제의 계승을 위한 여성의 문제가 중심에 자리하고 있다. 또한 왜곡된 부모의 그늘 아래 가려 있는 자녀들을 주인공으로 삼음으로서 선인과 악인을 구별하기보다 개인을 억압하는 사회라는 굴레에 문제 의식을 두고 그 안에서 비극적인 삶을 살아가는 인간에게 연민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서론에서는 작품의 역사적인 배경이 되는 남북전쟁 전후의 노예제도와 여성에 대해 살펴보고 윌리엄 포크너의 작품 세계와 『음향과 분노』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한다. 제 2장에서는 콤슨가의 장남 퀜틴과 누이 동생인 캐디와의 관계에 있어서 캐디의 처녀성의 의미를 살펴본다. 관념적인 이상주의에 빠져있는 퀜틴은 폐허가 된 현실 위에서 구남부의 영광을 향수하는 남부의 현실을 반영하는 인물로서, 퀜틴이 집착하는 캐디의 순결은 전통적 가치가 이입된 것이다. 단일 농경 문화 속에서 귀족적 계층사회를 이어온 콤슨가는 새로운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고 무능한 상태에 놓여 집안 여성의 순결에 집착하면서 가문의 명예를 지키려는 구시대적인 사고에 매여 있다. 캐디의 순결 상실은 그들이 정신적 위안을 얻는 마지막 수단을 잃는 것으로서 남부 주체의 위상을 철저히 허무는 동시에 집안의 몰락을 의미하는 것이다. 퀜틴과 콤슨가의 몰락은 전통과 현대라는 두 세계에서 융화하지 못하는 남부 사회의 부조리를 드러낸다. 제 3장에서는 차남인 제이슨과 캐디의 관계를 중심으로 남부의 실상을 살펴본다. 장남 퀜틴은 남부 가부장사회의 주체로서 그들이 처한 현실을 외면하고 과거의 명예를 추구하는 남부의 관념적 측면을 드러냈다면 제이슨은 남부 주체가 외면하고픈 현실을 실질적으로 겪으면서 남부의 전반적인 위기 상황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미국 경제에서 차별받으며 낙후한 상태에 머물러있는 남부의 실상이 분노와 피해의식으로 가득한 제이슨의 삶을 통해서 드러난다. 신남부의 가치를 추구하면서 전통적인 가치를 배격하려는 그의 성향은 신남부가 처한 무능과 어우러져 여성에 대한 증오로 연결된다. 여성에 대한 제이슨의 증오는 남부가 전통적 가치의 굴레에서 자유롭지 못함을 드러내는 것으로서 신남부의 현실을 극복하는데 있어서 장애물이 된다. 제이슨은 퀜틴과는 다른 차원에서 남부의 현실을 보여주고 있지만 구남부의 정서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채 신남부의 가치를 추구하는 남부의 혼돈된 상황을 보여주고 그 속에서 무능과 파멸을 면치 못한다는 점에 있어서는 퀜틴의 경우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 제 4장에서는 콤슨가의 막내 벤지와 캐디와의 관계를 살펴본다. 백치로 나오는 벤지는 남부 주체에 의해 대상화된 캐디라는 여성을 인간적이고 투명한 시각으로 조명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퀜틴과 제이슨의 경우에서 보여진 캐디는 모두 남성을 위협하고 몰락으로 빠뜨리는 근본 원인으로 상정되고 있으나, 백치의 시각에서 보았을 때 캐디는 누구보다 사랑스럽고 따뜻한 인물이다. 그녀가 사회적 가치를 입힌 억압된 대상이 되어 그 부작용으로 타락해가는 모습은 그녀가 몰락의 원인이라기보다 남부 사회의 희생양일 뿐이며 오히려 남성으로 대변되는 남부의 몰락은 여성을 희생시킨 대가가 되돌아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콤슨가와 달리 긍정적으로 조명되는 흑인 하인 딜지는 어려운 여건을 인내하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임으로서 콤슨가의 몰락을 부각시키고 왜곡된 남부의 현실을 강조하고 있다. 벤지가 백치라는 문학적 장치는 순수한 캐디를 잃어버린 황량한 백인의 세계에서 찾을 수 없는 긍정적 가치를 딜지에게서 발견할 수 있게 한다. 전쟁에서의 쓰라린 패배는 모든 것을 빼앗긴 신남부의 현실을 외면하고 구남부에 대한 이상화를 통해 상처를 치유하고자 하였다. 남과 북의 정서적인 대치와 흑백간의 극단적 인종분리, 그리고 여기서 유발된 여성에 대한 성적 억압은 남부인의 정신적 패배감이 배태한 부조리한 현상들이다. 포크너는 그러한 현상에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함으로서 사회에 만연한 병폐에 도전함과 동시에 그 안에 살고 있는 인간에 대한 연민의 시각을 잃지 않고 있다.;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the Southern woman through the decline of the South in The Sound and the Fury. The South acquired power and wealth through Negro Slavery. But it yielded deep-rooted social problems like miscegenation. The Southern woma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plantation system as a protector of the aristocratic patriarchal society. After the defeat of the Civil War the South lost its power and wealth. But the devastated Southern white men who dominated the Southern life before the War attempted to adhere to their aristocratic position. They wanted the order of the Old South and became more obbsessed with virginity. William Faulkner illuminated such mind of the South negatively in The Sound and the Fury. The first chapter introduces the Southern history about Negro Slavery and the Southern woman and the trait of William Faulkner's work. The second chapter examines the abstract mind of the South. The ideal Quentin, the first son of the Compsons which were ranked as a high family in the Old South represents the unreality of the New South stuck to the order of the Old South. To him, Caddy means the Southern traditional value which is directly related with an honor of a family, so he is obsessed with her virginity. The case of Quentin suggests the impotent and pessimistic Southern situation which is indulged in nostalgia for the antebellum South, looking away from the devastated reality. The third chapter studies on the alienated and deprived reality in almost every aspect of the New South. The second son, Jason, who disconnects himself from the Old South and pursues the North's material-oriented value struggles to survive the New South expressing anger toward woman. But it shows that the traditional Southern mind is also internalized deep into him like his elder brother. The case of Jason suggests that the South is bound in the helplessness between the Old and the New South and has no way out. The fourth chapter seeks what the South really lost and how it can be recovered. To Quentin and Jason, the loss of Caddy's virginity meant the loss of honor and money respectively. But Benjy illuminates the true meaning of Caddy free from the image of the Southern lady. Benjy' like and dislike plays as a moral index. He dislikes the South but likes the negro servant, Dilsey. She represents the value of endurance and love which is superior to the traditional value. Faulkner tries to face the real situation of the South. He examines the mind of the South clung to the Old South in a negative way. And he suggests a human primitive mind such as love, sacrifice, compassion, and endurance as a hop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쿠엔틴의 경우 = 13 Ⅲ. 제이슨의 경우 = 29 Ⅳ. 벤지의 경우 = 41 Ⅴ. 결론 = 55 참고문헌 = 57 Abstract =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085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윌리엄 포크너의 『음향과 분노』에 나타나는 여성에 대한 관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outhern woman in The Sound and the Fury-
dc.creator.othernameCho, Hye-Kyoung-
dc.format.pagevi,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영문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