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0 Download: 0

집단 내 연결망 간의 상호작용이 구성원의 조직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Title
집단 내 연결망 간의 상호작용이 구성원의 조직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effect of congruence between centrality in task-advice networks and centrality in friendship networks on attitudes and behaviors
Authors
정희정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o date, brisk studies of social networks at individual level provid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lthough researchers have tried to enlighten relations between social networks and traditional OB issues, some characteristics which are commonly used in network studies predict mixed results in these areas. Even if a lot of studies try to investigate multilaterally effects of social structures on individuals, the relations between individuals’ social network patterns and their attitudes are still vagu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resolve these debates and uncertainties regarding the effects of social relations on organizational attitudes and behaviors. To clear these inexplicit phenomena, I suggest the concept of network congruence, which is the configuration of compatibility between individual’s network properties within a group, and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network congruence on organizational attitudes and behaviors. Pervious works missed to examine that individuals have several networks in groups or organizations at the same time and properties from these networks interact synthetically. Based on the facts above, this paper particularly focuses on the existing scenes of various relationships that individuals face within groups. To be exact, each member in an organization would take a role as a friend to other members in his organization while either being a person providing information on business or being an official senior at the same time. Thus, individuals would obtain various positions in each social scene, and the positions can vary or be similar. Especially, the official status of an individual is a given characteristic of the structure in the organization, which is very distinguishable and can become an important scene within the organization for each individual. In addition, the predominance of groups in contemporary organizations has been paralleled by a lively stream of theory and empirical research in group process studies (Ilgen, 1999). A Group is meaningful to individual as social reference (Festinger, 1964). Namely, an individual determine one’s attitudes and behavior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set to group, and this affects the determination of one's attitudes. Therefore, in this paper, I will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s’ attitudes and behaviors and the network congruence in intragroup settings. Centrality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network properties that describe how influential the individual is within the networks. Individuals with high indegree advice centrality are sought after for their work-related input. Individuals with high indegree friendship centrality are sought after for their companionship (Klein et al., 2004). Therefore an individual has high indegree centrality in task-advice networks has power and authority. On the other hand, a person who has high indegree centrality in friendship networks means s/he earns a reputation and prestige. The interaction between centralities in task-advice networks and friendship networks can be explained based on the generalized exchange. Generalized exchange is social exchange that one's giving is reciprocated not by the recipient, but by the third party (Takahashi, 2000). That is, an individual gives task related information and advice to group members and receive friendship and trust from group colleagues in return for task advice and vice versa. Thus, an individual has similar degree of centrality in task-advice networks and friendship networks within group, it can be considered to achieve reciprocity in generalized social exchange frame. That is, the degree of network centrality congruence can have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attitude and behavior of individuals. In organizations, both formal and informal structures exist at the same time. Therefore, individuals can have different level of status in each structure. Consequently both centrality in informal networks and the formal status in groups are considered to reflect a variety of structures which individuals have within group and organization. The status inconsistency brings disappointment and causes frustration as well as provoking delinquent attitude and behavior towards groups and group members that one is belonged to (Heames et. al., 2006). Therefore, if the formal status that a group member holds is not the same as the informal centrality is not the same, this causes status inconsistency. As a result, an individual can express negative responses to the attitude and behavior toward groups and organizations that one is affiliated with. To examine these debates empirically, the work groups in this study were from 4 organizations in Korea. These organizations included a consumer sales company, a government corporation, a bank and a securities corporation. Consequently final sample is 164 respondents from 29 work groups ranging in size from 3 to 15 members; the average for the analyses. To test our hypotheses, I used polynomial regression procedures and response-surface tests (Edwards, 1993). When testing the effects of congruence using the polynomi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network congruence is generally associated with higher group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and lower turnover intention. However, the congruence is not predictive of job satisfaction. Additionally when status is high, effects of centrality in task-advice networks on group commitment is more significant.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formal statu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entrality and work attitudes is stronger for group leader than for subordina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offer some insight into the micro social network research. It is interesting as well to address the congruence effects of network centrality on individuals’ attitudes and behaviors. The highest levels of group commitment and OCB and lowest levels of turnover intentions are evident when both friendship centrality and task-advice centrality are either high or low. In the middle ranges of friendship centrality and task-advice centrality, group commitment, OCB and turnover intentions are moderate. The fit framework generally assumes that group commitment, OCB and turnover intentions would be highest and turnover intentions would be lowest at constant levels along the fit line. However, our results indicate there is no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One possible explanation is that individuals’ satisfaction with exchange relationships presents positive perception to partners, group members and groups in this study. Strictly speaking, job is not the subject of exchange and thus positive effects of balanced reciprocity within group may not significant to satisfaction with job.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thesis contributed to clear ambiguous micro social network effects on individuals. I really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to develop future research on social networks.;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은 개인의 구인 및 구직, 기술혁신, 경력에서의 성공 등 개인의 조직 효과성 및 강력한 인재 개발의 성공요인이다(Adler & Kwon, 2002). 특히 사회적 연결망은 바로 사회적 자본의 원천이며, 따라서 사회적 자본은 사회적 연결망을 통해 개별 행위자가 갖는 혜택이라 볼 수 있다(Oh, Chung, & Labianca, 2004). 1990년대부터 지난 20여 년 동안 사회 연결망 연구들이 조직 연구 분야에서 활발하게 진행 된 점(Baum, 2000) 역시 사회적 자본의 근간이 되는 사회적 연결 구조의 중요성이 학문적, 실무적으로 매우 중요하게 부상된 점과 일맥상통 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조직 간 연구에 초점을 맞추던 기존 사회 연결망 연구들과는 최근 연결망 연구들이 미시적으로 접근을 하면서 그 연구 대상을 개인에 맞추고 있다(Brass & Krackhardt, 1998). 특히 기존 미시적 사회 연결망 연구자들은 사회 연결망과 조직 행위 주제들 간의 관계를 밝히려고 노력하였다. 다만, 사회 연결망 연구에서의 큰 발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 결과들에 있어서 일관성이 부족하여 연결망 특성과 개인의 태도 및 행동간의 관계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 같은 기존 사회 연결망 연구에서의 문제점들이 실제로 여러 종류의 관계로 구성된 비공식 연결망들을 두고, 각각이 서로 독립된 연결망인 것으로 가정하여 개인의 복잡한 태도와 행동을 설명하는 데에서 기인한다고 보았다. 즉 하나의 연결망에서의 개인의 특성은 다른 연결망에서의 특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이 점이 고려되지 않았다. Monge와 Contractor(2003)의 연구와 Wasserman과 Faust(1994)의 연구에서도 앞으로의 사회 연결망 연구들은 개인의 다양한 관계를 반영하여 개인의 사회적 자본의 효과를 살펴보아야 한다는 의견을 재기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특히 개인들이 조직 내에서 처하는 다양한 관계의 장면들이 존재함에 주목하여 개인이 각각의 사회적 장면에서 다른 위치를 갖게 되며, 그 위치의 정도가 같을 수도 혹은 다를 수도 있다고 보았다. 즉 개인은 조직 내에서 사회적으로 여러 가지 역할을 하고 있으며 조직 내에서의 다양한 연결망은 이러한 개인이 처하는 다양한 장면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연결망에서의 개인이 다른 위치를 점하는 것은 조직 내 다양한 사회적 장면에서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짐작하게 한다. 특히 비공식적인 연결망에서의 개인의 위치에 더불어 개인의 공식적인 지위는 조직에서 부여한 가장 두드러진 개인의 구조적 특성으로, 이 역시 개인이 조직 내에서 처하는 중요한 장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조직 내에서 비공식 연결망 간의 상호작용 및 공식 구조와의 상호작용을 검증하여 사회 연결망과 개인의 조직 태도 및 행동과의 관계를 좀 더 명확하게 밝히는데 중점을 두도록 하겠다. 더불어 최근 급변하는 시장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많은 조직들이 소규모 작업집단을 중심으로 업무를 기획하고 성과 평가 하고 있다(Cohen & Bailey, 1997). 특히 집단은 개인에게 사회적 준거집단(social referent group)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Festinger, 1964), 이에 개인은 집단과의 관계를 토대로 스스로의 태도 및 행동을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집단 내에서 개인의 연결망 특성을 중심으로 사회 연결망과 개인의 조직 태도 및 행동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도록 하겠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연결망 간의 상호작용이 개인의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주목하였다. 사회적으로 개인은 자신과 관계를 맺은 사람들이나 그들과의 관계를 통해 자신의 태도 및 행위의 기준으로 삼는다(Kelly, 1952). 개인들은 저마다 자신이 속한 집단에서 다수의 연결망을 형성하며, 각 연결망에서의 개인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을 갖게 된다. 특히 비공식 연결망에서 개인이 유리한 위치를 점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는 연결망에서의 위치는 구성원들간의 관계를 통해 개인이 갖게 되는 구조적 특성으로, 자원의 흐름이나 잡단 내의 영향력에서 개인이 얼마나 핵심적인 인물인가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특히 중심성(centrality)은 개인이 연결망 내에서 얼마나 주도적인 인물인가를 잘 보여주는 특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집단 내에서 갖는 친교 연결망에서의 중심성과 과업조언 연결망에서의 중심성 간의 일치가 개인의 조직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검증하고, 공식적 지위의 조절효과에 대해 검증하고자 한다. 이는 일반적 사회 적 교환 관계에서의 균형으로 설명이 가능하며 따라서 개인의 조직 태도 및 행동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조직에서 개인에게 부여한 공식적인 직위가 집단 내에서의 개인의 비공식적 지위 즉 중심성과 일치하지 않는다면 개인은 사회적으로 그 지위가 일관적이지 않게 된다. 그 결과 개인은 자신이 속한 집단 및 조직에 대한 태도 및 행동에 부정적인 반응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네 개 기업의 사무직 종사자들을 연구대상으로 삼았으며 특히,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소규모 작업 집단을 중심으로 업무가 이루어지는 기업을 선정 총 164명의 응답을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가설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내 과업조언 연결망에서의 중심성과 친교 연결망에서의 중심성 간의 일치는 개인의 집단에 대한 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혀내었다. 둘째, 조직에서의 개인의 공식적 직위가 높을 수록 집단 내 과업조언 연결망 중심성이 집단몰입에 주는 효과를 강화한다는 점을 밝혔다. 한편 직무만족과 관련된 가설은 모두 기각되었다. 과업조언 연결망과 친교 연결망 중심성 간의 일치가 유의미한 영향력을 주지 못하였을 뿐 만 아니라 직위의 상호작용 효과 역시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또한 본 연구가 제공할 수 있는 이론적 의의 및 실무적 의의는 다음과 같이 찾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론적 측면에서는 집단 내 존재하는 다양한 연결망들의 각각 독립적 효과를 살펴본 기존 연구들을 벗어나, 연결망들이 통합적으로 개인에게 주는 영향을 검증한 점이 가장 큰 의의라고 할 수 있다. 실무적 측면에서는 조직에서 사회적 자본의 원천인 사회적 연결망을 이용하여 구성원의 조직 효과성 증진에 활용할 수 있으며, 조직은 해당 조직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연결망 구조를 구축할 수 있는 방법을 찾도록 노력해야 한다. 특히 본 연구는 과업조언 연결망과 친교 연결망 간의 상호작용의 효과가 존재한다는 점을 밝혀, 조직이 비공식적인 지식 공유 및 정보 전달을 촉진하는 다양한 전략들과 친교 관계를 활성화 하는 여러 시스템들을 분리해서 운영할 것이 아니라 하나의 관점 하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점에 주목하게 하여 효과적인 집단 운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제시할 수 있는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집단 내에서 개인의 과업조언 연결망과 친교 연결망의 일치와 개인의 태도 및 행동 사이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으나, 향후 연구에서는 개인의 객관적인 성과를 함께 고려하여 연결망 특성간의 일치의 효과를 좀더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다양한 연결망에서 관계 강도(tie strength) 및 사이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 사이의 일치에 대한 검증을 추가적으로 시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대부분의 사회 연결망 연구들이 그렇듯이 본 연구 역시 횡단적 자료(cross-sectional data)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진정한 관계의 인과관계를 확보하는 데는 한계점을 갖게 된다. 이점은 종단적 자료의 수집을 통해 보완할 수 있으며(Morrison, 2002) 이를 바탕으로 향후 사회 연결망의 효과를 탐구하는 데 있어서 좀 더 의미 있는 연구가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집단 구성원들의 사회적 연결망 간의 상호작용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또한 과업조언 연결망과 친교 연결망을 중심으로 두 연결망에서의 중심성 간의 적합의 적합의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공식적 직위와의 연결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앞으로도 사회 연결망간의 상호작용과 같은 다양한 연결망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회적 연결망이 개인에게 주는 영향이 좀더 명확하게 밝혀지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