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7 Download: 0

한국의 도시빈곤 지역과 농촌의 영양섭취실태 및 그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Title
한국의 도시빈곤 지역과 농촌의 영양섭취실태 및 그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Nutrition survey of urban slum and rural areas with the analysis of the related factors
Authors
鄭惠京.
Issue Date
198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Keywords
도시빈곤영양섭취빈곤지역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의 저 소득층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는 도시 빈곤지역과 농촌지역의 영양섭취상태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제요인을 분석했다. 본 연구의 조사방법은 현지답사와 설문지 조사(임의로 추출된 농촌1개 지역과 도시빈곤지역에 대한)에 의존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및 분석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행해졌다. 첫째 임의로 선택된 지역에 대한 기초조사로서 가족 구성원수, 가장의 직업, 주부의 직업 및 연령, 교육년수, 소득, 생계비 지출액등의 일반적 환경조건을 조사하였다. 둘째 영양섭취실태를 각종 영양소 섭취실태와 식품섭취실태를 중심으로 파악했다. 구체적으로 영양소 섭취량과 영양소 섭취의 질에 대한 사람들의 식품태도를 영양소섭취량에 연관시켜 보았고 나아가서 영양섭취량을 소득수준과 교육년수에 회귀(Regress)시켜 보았다. 세째 영양결핍의 정도가 어느 정도 심각한가를 칼로리, 단백질, 칼슘, 철을 중심으로 각각 살펴 보았다. 마지막으로 영양결핍 혹은 영양불량이 건강 특히 임상학적 증세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 면담을 통해서 파악해 보았다. 본 조사에 의하면 영양소 섭취량은 도시빈곤지역이나 농촌지역이나 모두 권장량의 수준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빈곤지역의 경우 영양소 섭취량은 권장량의 약 50∼60%에 불과하였으며 농촌의 경우 영양소 섭취량은 도시빈곤지역만큼 영양결핍의 문제는 심각하지 않았으나, 역시 권장량의 80%에 불과하였다. 영양불량의 정도분석의 결과 조사대상의 약 절반이상이 권장량 수준에 미달하고 있으며 영양불량의 정도는 농촌보다 도시빈곤지역이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농촌의 영양불량정도가 도시보다 심각하다는 페루의 G.Grahan의 결론과 좋은 대조를 이룬다. 영양불량의 문제는 열량 단백질 칼슘 철중에서 칼슘의 결핍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영양불량을 가져오는 요인으로는 첫째, 지역시장의 대부분의 식품의 질이 조악하다는 의미에서 지역시장의 식품공급기능의 원활하지 못한 점. 둘째 낮은 지식수준과 이에따라 나타나는 영양에 대한 무지 및 무관심 그리고 저소득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소득수준과 교육년수는 영양섭취량과 높은 상관관계를 지닌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저소득층의 영양섭취량을 증대하고 영양결핍문제로 완화내지 해소하려면 저소득층의 소득증대책과 저소득층에 대한 교육투자 그 중에서도 영양교육투자 증대책이 요청됨을 시사하고 있다.;The study deals with the empirical research on the condition of malnutrients-intake of low income classes which might be represented by urban slum and rural society, with the analysis of the factors which might influence on the prevalent condition of nutrients-intake. The method of the research was based on the spot-survey with questionaire. The survey was made in following sequences. Firstly, general environmental condition of the arbitrarily selected spot was depicted as the ground-work; Particularly, the number of the family, family leader's job, housewive's job and her age, the time spent on education, monthly income of the family, amounts of expenditure on foods etc. Secondly, the condition of nutrients-intake was investigated through having a look at the condition of various nutrients-intake & foods-intake. Specifically, attempts to relate the attitude towards quality & quanitity of nutrients to the level of nutrients-intake was made. Furthermore, the level of nutrients- intake was regressed on the level of income & the time spent on education. Lastly, the influence of under or mal-nutrition on health, clinical syndroms, was looked into through interviews. The result is that the levels of nutrients-intake are below the standard reguirements level of nutrients in both of urban slum and ruyal society. The level of nutrients intake in urban society lies in approximately fifty percentage of the standard reguirements level and in eighty percentage of the standard reguirements level in rural society. xThe extent of malnutrition was explained in terms of the amount of calorie, protain, calcium, & Fe. The results are that more than half of the population in the community is below standard requirements level of the nutrients-intake. The problem of malnutrition was more serious in urban slum than in rural society, which made a good contrast with the result of study which is made in Peru by G. Graham. Especially, Deficiency in calcium was most serious. The factor analysis of the prevalent condition of malnutrition in low income classes suggests that ⅰ) The function of local market in supplying foods is not so effective in the sense that the quality of the foods purchased in the local-market is rather deteriorate. ⅱ) low level of knowledge, the consequent ignorance and the indifference to the nutrition and the low level of income lead to malnutrition. Significantly, the level of income & the time spent on education are quite highly correlated to the amounts of nutrients-intake. The policy - implication of the result is that. What is needed to increase the quality of nutrients is to increase the income of the poor and to augment the investment in education, particularly education on nutri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