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청원.-
dc.creator이청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1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1Z-
dc.date.issued198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53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49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539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만9개월에서 만72개월까지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영양섭취실태 및 성장발달상태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방법은 서울 특별시 일원에 국한하여 설문지 조사에 의존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및 분석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행해졌다. 첫째, 조사대상 어린이들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가족상황, 경제상태, 부모의 교육수준 및 연령, 어머니의 영양에 관한 지식 및 관심도, 유아시기의 수유상황, 출생시 몸무게, 질병경험 유무 및 질병내용 등의 일반적 생활환경조건을 조사하였다. 둘째, 영양섭취실태를 권장량 및 Beaton의 방법에 의거하여 영양결핍 혹은 영양불량상태를 파악했으며, 영양실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의 관계를 살펴 보았다. 세째 성장발달 상태를 신장과 체중을 중심으로 파악했다. 구체적으로 신장, 체중의 발달상태를 한국 및 세계의 표준치에 비교해 보았고, 나아가서 성장발달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의 관계를 살펴 보았다. 본 조사에 의하면, 첫째 영양소 섭취상태는 열량, 철분, 비타민C에 있어서 가장 불량하게 나타났으며, 영양불량의 정도분석의 결과 열량은 40∼50%수준, 철분은 36∼60%수준, 비타민C는 70∼90%수준으로 결핍자수가 예견되었다. 영양섭취상태에는 경제수준, 어머니의 교육수준, 식사준비시 영양지식에 대한 고려도, 식사형태 등이 유의성 있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성장발육상태는 1975년도 한국표준치에 비교했을 때는 증가를 보였지만, 세계표준치에 비교했을 때는 발육상태가 저조함을 보였는데, 남자어린이보다 여자어린이에게 있어 더 저조했으며, 특히 신장보다 체중의 발육상태가 더 저조함을 보여 주었다. 신장과 체중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의 관계중 1인당 식생활비, 질병경험의 유무가 유의성있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결론적으로 영양섭취상태는 개개 어린이들간에 그 편차가 매우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전체적으로 영양불량인 어린이가 상당수 있었다. 성장발달상태는 1975년도보다는 양호해졌음을 보여 주었지만, 세계표준치에 비해서는 아직도 불량함을 지적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영양섭취 상태에는 경제수준, 어머니의 교육정도 및 식사준비시 영양지식에 대한 고려도 등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성장발달상태에는 1인당 식생활비, 출생시 몸무게, 질병경험의 유무 등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어린이들의 영양상태 및 성장발달상태를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서 앞으로 영양개선 대책을 논의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됨과 동시에 더 나아가서 지역사회의 영양개선 문제를 해결하는데도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A dietary survey of 493 children aged between 9 months and 72 months residing Seoul metropolitan area was carried out from July to September 1982. 24-hour recall method was involved in this survey for assessing the amounts of food intakes of children. Anthropometric measurement data; height and weight were collected. Child rearing environments such as parent's education levels, parent's ages, parent's occupations, family size, family income level, housing condition, mother's attitudes toward nutritional care, kinds of feeding before introducing supplementary foods, timing of introduction of supplementary foods, meal type of family and experience of diseas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Daily nutritional intakes of children were compared with those Kore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Applying G. Beaton's method, the probable deficiency levels of nutrients particulary calorie, protein, Ca, Fe, and Vitamin C were obtained. Height and weight were compared with those of Korean Standards of 1975, and with those of 50-th percentiles of Boston Reference Data.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nutritional intakes were evaluated. The effects of family environment, income level. PCEF (per capita expenditure on food), housing condition, mother's education level, mother's attitudes toward nutritional care, meal type of family, and experience of disease on nutritional intakes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re analyzed applying F-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most important results revealed are as follows. 1) Calorie, Fe, and Vitamin C intake showed most seriously low level. About 40 - 50 percent of the children are in undernutrition of calorie, 36-60 percent of Fe, and 70 - 80 percent of Vitamin C. 2) Housing condition, PCEF, mother's education level, mother's attitudes toward nutritional care and meal type of family (traditional Korean meal, semi-westernized meal, gourmandise meal, health oriented meal, meal without particular concern)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nutritional intakes of children. 3) Average height and weight of children are higher than those of Korean standards of 1975 but still less than those of Boston Reference Data. 4) PCEF and experience of disease are most important factors which are correlated significantly to the height and weight of childr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Ⅱ. 연구방법 = 3 A. 표본추출 및 수집방법 = 3 B. 조사기간 = 5 C. 조사내용 및 방법 = 5 D. 자료처리 방법 = 6 Ⅲ. 연구결과 및 고찰 = 9 A. 조사대상자의 일반환경 = 9 B. 식품섭취 및 영양섭취실태 = 10 1. 식품섭취실태 = 10 2. 영양섭취실태 = 13 3. 영양실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3 C. 성장발달상태 = 36 1. 신체계측치 = 36 2. 표준치와의 비교 = 37 3. 성장발달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42 D. 현재의 식사형태와 어린이 성장과의 관계 = 51 1. 식사형태와 신장, 체중 = 52 2. 식사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52 Ⅳ. 요약 및 결론 = 57 참고문헌 = 61 부록 = 64 영문초록 =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806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어린이-
dc.subject생활환경-
dc.subject영양섭취-
dc.subject성장-
dc.title어린이의 생활환경이 영양섭취 실태와 성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만9개월에서 만5세까지의 어린이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urvey of child rearing environments in relation to nutritional intakes and physical developments of preschool children-
dc.format.pageix, 10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198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