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2 Download: 0

A STUDY OF ENGLISH RELATIVIZATION

Title
A STUDY OF ENGLISH RELATIVIZATION
Authors
강숙희
Issue Date
1974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Keywords
ENGLISHRELATIVIZATION관계절화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previous treatments of English relativization and to propose a new system of rules for the derivation of English relative clauses. Grammarians have noticed for a long time that there are two kinds of relative clauses in English : restrictive and nonrestrictive. (1) The man who I loved disappeared. (2) The man, who I loved, disappeared. The restrictive relative clause identifies, defines, or/and restricts the particular object referred to in the antecedent noun (e g., (l.)) whereas the nonrestrictive relative clause simply adds some information that is not an identification or a definition but is an additional piece of information about the antecedent noun. Trans formationalists have also shown their interest in studying the formation of relative clauses and in investigating the steps by which various constructions related to relative clauses are generated. Chomsky, Smith, and Ross have assumed that the underlying representation of the restrictive relative clause involves a sentence embedded into a noun phrase. But, strange enough, they have not considered the possibility that there might be an alternative way of representing the underlying forms of the restrictive relative clauses. Furthermore, among the linguists who advocate the embedding analysis, there is virtually no agreement as to what form of nodes is adequate for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ative clause and the noun it modifies. It was not until 1967 that Thompson challenged the embedding analysis and proposed that the conjunction, analysis, in which both restrictive and nonrestrictive relative clauses are derived from elements of conjoined sentences, is more appropriate to account for various constructions related to relative clauses. The present paper basically adopts Thompson's conjunction analysis of relative clauses, but makes a slightly different claim as to their underlying representations. Moreover, the present paper proposes a system of rules which are quite different from hers. Thompson claims that the semantic difference between sentences (1) and (2)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distinguished by configurat.anal distinction of their structures, but crucially depends on the speaker's presupposition about the hearer's knowledge on the matter which he is about to utter. For example, when the speaker presupposes the hearer already knows the man and wants to mention two more pieces of information about the man to the hearer, then he uses sentence (2). Thus, sentence (2). is synonymous with sentence (3). (3) The man disappeared, and I loved him. On the other hand, if the speaker presupposes that the hearer knows of speaker's loving a man, then he is likely to use sentence (1). However, sentence (4) may be used if the speaker presupposes that the hearer knows neither of speaker's loving a man nor of his disappearance. (4) a man who I loved disappeared. In the present thesis, I try to incorporate the speaker's presupposition about the hearer's knowledge into the underlying representation of relative clauses. My proposal differs from Oh's in that the latter derives both sentences (1) and (4) from the same underlying structure (cf., Ch., Ⅱ, B.), whereas I provide different underlying structures for them. Furthermore, my system is superior to Thompson's; Thompson would represent the underlying structure of (1) as i n (5), while I do as in (6). (5)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6)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As can be seen in (5), Thompson represents the information I love man twice, which eventually invites several ad hoc and unmotivated steps for the derivation of sentence (1).;본 논문의 목적은 영어의 관계절화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를 비판하고 새로운 체제의 규칙을 제안하는데 있다. 문법학자달은 오래전부터 영어의 두가지 종류의 관계절-한정적 그리고 비한정적-이 있다는 것을 인식해 왔다. (1) The man who I loved disappeared. (2) The man, who I loved, disappeared. 한정적 관계절은 예(1)에서 볼 수 있듯이 선행사를 식별시키거나 정의 또는 한정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 비한정적 관계절은 선행사에 관한 식별이나 정의가 아닌 추가적인 사실을 기술하고 있다. 변형문법 학자들도 일찍부터 관계절의 구성과 관계절과 관련있는 여러가지 문법적 구조의 생성 과정에 관하여 관심을 갖어 왔다. Chomsky, Smith 그리고 Ross 등은 한정적 관계절은 심층구조에서 명사구 속에 내포되어야만 한다고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상하게도 그들은 한정적 관계절의 심층구조를 나타내는데 다른 방법이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았다. 더욱이, 관계절을 내포된 문장으로 보는 언어학자들 간에 관계절과 이것이 수식하는 명사와의 관계를 나타내 주는 구조의 형태에 관해서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다. 1967년에 와서야 Thompson이 그들의 분석방법에 도전하고 새로운 관계절 분석 방법인 접속법을 제안했다. 접속법에서는 한정적 그리고 비한정적 관계절 모두 대등접속문으로부터 유도되었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기본적으로 관계절에 관한 Thompson의 접속법을 받아들이고 있으나 접속문의 심층구조에 대하여는 약간의 다른 주장을 내세우고 있다. 특히 관계절의 생성을 위한 규칙 체제는 Thompson 것과 완전히 다른 것을 제안하고 있다. Thompson은 (1)의 문장과 (2)의 문장의 뜻의 차이는 그들의 구조적 차이로서만 나타낼 수 있는 것이 아니고 특히 청자(hearer)의 지식에 대한 화자(speaker)의 presupposition의 차이와 깊은 관계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청자가 어떤 정해진 남자를 알고 있다고 화자가 판단하고 그 사람에 대하여 2가지 새로운 정보를 말하고 싶을때, 화자는 (2)의 문장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2)의 문장은 다음의 문장과 뜻이 같다고 할 수 있다. (3) The man disappeared, and I loved him. 이에 반하여, 청자가 어떤 남자를 화자가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화자가 믿으면 (1)의 문장을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청자가 지금 말하려고 하는 내용에 대하여 전혀 모른다고 화자가 생각하면 (4)의 문장을 쓰게 마련이다. (4) A man who I loved disappeared. 본 논문에서는 청자의 지식에 대한 화자의 전제를 관계절의 심층구조에 나타내는 시도를 해 보았다. 본 논문은 (1)과 (4)의 문장을 다른 심층 구조로부터 유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들을 동일한 심층 구조에서 유도한 오준규의 방법과는 다르다. 더욱이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은 Thompson의 것보다 월등하다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문장 (1)의 심층구조를 (5)로 나타낸 Thompson의 방법과 이것을 (6)으로 나타낸 이 논문의 방법을 비교해 보면 알 수 있다. (5)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6)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5)에서 볼 수 있듯이 Thompson은 I love man 이라는 명제를 불필요하게 2번씩 심층구조에 포함시키고 있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5)로부터 (1)의 문장을 유도하는데 많은 문제점을 던져주게 된다. 본 논문은 문장 (1)의 심층구조를 (6)으로 가정함으로써 Thompson의 방법에서 야기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