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4 Download: 0

직무와 스트레스 관계에 관한 연구

Title
직무와 스트레스 관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N) STUDY of JOB and STRESS RERATIONSHIP
Authors
吳玉璟
Issue Date
1984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영학과
Keywords
직무스트레스조직효율성직무설계직무만족직무성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사회는 갈등과 변동의 시대로 조직의 구성원은 급격한 환경의 변동에 대처하기 위한 능력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개인의 욕구와 환경의 요구간의 불일치로 감당하기 어려운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이 스트레스는 개인 뿐만아니라 조직의 효율성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직구성원의 스트레스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8가지 직무특성요인 즉 직무중요성, 직무자율성, 기술다양성, 직무정체성, 직무피드백, 역할갈등성, 역할모호성, 직무요구성을 택해 이들과 정신적·육체적스트레스와의 관계, 정신적·육체적스트레스와 직무만족과의 관계, 정신적·육체적스트레스와 직무성과와의 관계를 한국사회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고찰하고자 다음과 같은 모델을 설정하였다. ◁그림 삽입▷(원문을 참고하세요) <직무와 스트레스간의 실증적모형> 위와같은 모델을 검증하고자 질문지 기법을 사용하여 실증적으로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직무특성설명 변수중 직무자율성은 정신적·육체적스트레스와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둘째, 직무특성설명변수중 역할갈등성, 역할모호성, 직무요구성은 정신적 육체적스트레스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세째, 직무특성설명변수는 육체적스트레스 보다 정신적스트레스와 더욱 밀접한 관계를 보이고 있다. 네째, 정신적·육체적스트레스는 직무만족과 부정적인 직선의 상관관계를 모이고 있다. 다섯째, 정신적·육체적스트레스는 직무성과와 U곡선의 관계를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현재 우리나라 상황에 적합한 직무설계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직무만족·직무성과를 높이기 위해 더 높은 직무자율성을 부여하는 것이다.;Modern society can be characterized on age of stress due to conflicts and continuous changes. Members of the society receive Stress because they lack in abilities to cope with heavy flctuations of their environments and there exist a misfit between individual needs and demands of the environment. Stress has a considerable impact on the efficiency of the organization as well as that of the individuals. Thus, this study selects job characteristics of influential weight stressor. They are as follows: job significance, job autonomy, skill variety, job identity, feedback -from -job,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and job dema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piricall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eight dimensions of job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physiological stres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two dimensions of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re analyzed. Finally,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and job performance will be analyzed. The model for the study is buit as follows: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job and stresss model> The subjects are on eleven Korean firms which are from six different industries. A questionnaire method is used for the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is adopted from the Likert five point scale for the measurement. The results attain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Job autonomy of job characteristics is in negative correlations with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stress. 2.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and job demands of job characteristics are in positive correlations with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stress. 3. Job characteristics prove to have a greater bearing on the psychological stress than physiological stress. 4.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stress is in negative linear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5.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stress has a curvilinear U relations with job performanc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job system in Korea should have a higher degree of job autonomy to reduce stress and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