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1 Download: 0

식생활 습관이 임신 중과 출산 후 모성 영양과 영아의 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

Title
식생활 습관이 임신 중과 출산 후 모성 영양과 영아의 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 of eating habits on material nutrition and health status of infant
Authors
이윤정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Keywords
식생활 습관임신출산모성영양영아의 건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ating habits on maternal nutrition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and health status of infant. The subjects were 180 pregnant women of 24 ~ 28 weeks of gestation and 56 mothers were participated follow-up study after 1 year postpartum.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 based on pre-gravid BMI(Body Mass Index) : low weight (LW, BMI<18.5) group, normal weight (NW, 18.5≤BMI≤22.9) group, over weight (OW, BMI≥23.0) group. NW group largely higher MDA (Mini Dietary Assessment) score and nutrient intake than the LW and OW group. Levels of serum albumin, transferrin saturation, hemoglobin and levels of cord serum albumin, iron, zinc were higher in NW group than those in LW and OW groups. Also, the new -born infants from NW group were higher in birth weight and birth height than from the LW and OW groups. The meal-skipping group during pregnanc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serum and cord serum triglycerides and total cholesterol than non-meal skipping group. Also, the birth height and the birth weight(p<0.05) of newborn infants from the meal-skipping group were lower. Even after 56 women delivery, the meal-skipping group was lower MDA score and nutrient intake than non-meal skipping group. The supplement-intake group of pregnant wome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levels of serum albumin, zinc, transferrin saturation, hemoglobin and levels of cord serum albumin, iron and zinc than serum and cord serum of non-supplement intake group but TIBC level was lower. The birth height and the birth weight of newborn infants from supplement -intak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supplement intake group. Moreover after 56 women delivery, the supplement-intak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e intakes of meat and bean. After delivery self-reported postpartum depression experienced mothers group was lower in the intake level of milk, meat and bean and fried food and high-fatted meat than non-depression group and tended to have low protein and low fat in eating habits. After delivery weight reducing practiced women group was lower MDA score and nutrient intake than non-diet group. The diet group didn't change their nutrient intake but their meal amount alone to lose weight. The breast feeding group was higher In the intake levels of milk and bean and regularity of meals and nutrient intake than mixed feeding and formula feeding group. At the age of 12 months, the infants in the breast feeding group had the most increase in weight and height among three groups. And the infants in the breast feeding group was lower the level of the frequency of visiting doctor and treatment period than mixed feeding and formula feeding group.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women that had had normal weight before pregnancy, hadn't skipped meals or had taken supplement during pregnancy were largely good in their eating habits, nutrient intake and kept a good status of food intake after delivery. And women that didn't suffer from depression, didn't try to lose weight and chose breast feeding after childbirth had good in their eating habits and the status of nutrient intake. Infants that were raised by breast feeding showed low disease prevalence and high growth rate.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child-bearing women should keep trying to improve their nutritional status during pregnancy and after delivery by correcting their eating habits since pre-pregnancy.;본 연구에서는 식생활 습관이 임신 전부터 출산 후까지의 모성 영양상태와 영아의 발육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임신 24~28주 된 임신부 180명의 임신 중 영양상태와 임신결과를 토대로 하여 이들 중 1년 후 56명의 어머니와 영아를 추적조사하였다. 임신 전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임신 전 비만도와 임신 중의 결식유무와 보충제복용을 식습관, 식이섭취, 혈액성상과 비교하였다. 또한, 이들 180명의 대상자 중 56명을 추적조사를 통해 출산 후 영양상태를 결식유무, 보충제 사용, 우울증 및 다이어트 경험, 수유형태에 따라 비교분석하였으며, 수유형태에 따라서 영유아의 질병이환율과 발육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임신 전 비만도에 따라 저체중군(BMI<18.5), 정상체중군(18.5≤BMI≤22.9), 과체중군(BMI≥23.0)으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정상체중군이 전반적으로 간이식생활진단표(MDA)점수와 영양소 섭취량이 저체중군과 과체중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혈청 알부민, 철분, 트레스훼린포화도, 헤모글로빈 농도와 제대혈청 알부민, 철분, 아연농도도 저체중군과 과체중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정상체중군이 분만한 신생아의 재태기간, 체중 및 신장이 저체중군과 과체중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저체중군이 분만한 신생아의 신장과 체중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임신 중 결식군은 비결식군에 비해 MDA 점수가 대체적으로 낮았고, 고열량 식품과 간식을 덜 섭취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영양소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임신 중 결식군의 혈청과 제대혈청의 중성지질과 총 콜레스테롤 농도가 비결식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 결식군이 분만한 신생아의 체중(p<0.05)과 신장이 작게 나타나 임신 중 결식여부가 임신결과에 영향을 미쳤다. 출산 후에도 결식군은 비결식군에 비해 MDA 점수와 영양소 섭취량이 대체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과일주스 섭취 정도와 비타민 C 섭취량은 결식군이 높았다. 임신 중 보충제복용군은 비복용군에 비해 MDA 점수와 식품으로 부터의 영양소 섭취량이 높았으며 특히, 단백질, 철분, 아연 섭취량이 비복용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보충제복용군은 혈청 알부민 및 아연, 트렌스훼린포화도, 헤모글로빈 농도와 제대혈청 알부민, 철분, 아연이 비복용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고, TIBC농도가 유의적으로 낮았다. 보충제복용군이 분만한 신생아 체중과 신장도 비복용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출산 후에도 보충제복용군은 육류섭취, 콩류섭취 점수가 비복용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임신 중 보충제를 복용한 여성은 출산 후에도 보충제를 계속 복용하여 비복용군에 비해 건강에 관심이 높은 집단으로 사료된다. 출산 후 우울증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어머니는 56명 중 35명(62.5%)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증군은 우유섭취, 육류섭취, 두류섭취 점수가 대조군에 비해 낮고, 튀김음식과 지방이 많은 육류를 대조군에 비해 덜 섭취하였고, 영양소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낮아 저단백, 저지방 식습관 경향을 보였다. 출산 후 다이어트군은 체중감량을 위해, 식사량을 감소시켜 에너지 섭취량을 줄이는 여성이 대부분이었다. 다이어트군은 대체적으로 MDA 점수가 낮았으나 콩류식품섭취(p<0.05), 푸른잎 채소 섭취 점수는 비다이어트군에 비해 높았고, 튀김 음식과 고열량간식을 더 섭취하는 경향을 보여 에너지 섭취 조절 태도에 문제가 있었다. 모유군은 혼합유군과 인공유군에 비해 우유섭취와 두류섭취 점수가 높았고, 튀김음식섭취 경향이 가장 낮았으며 3끼의 식사의 규칙성 점수도 두 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열량,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 B_(1), 비타민 B_(2) 섭취가 두 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영유아가 12개월이 되었을 때, 체중증가량과 신장증가량은 모유군이 가장 높았으며, 질병이환율과 발육상태를 조사한 결과, 질병으로 병원을 방문 횟수와 치료기간은 모유군이 혼합유군과 인공유군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본 조사 결과 임신 전에 정상 체중인 여성, 임신 중 결식을 하지 않은 여성, 보충제를 복용한 여성은 전반적으로 식습관, 영양소 섭취, 혈액성상이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출산 후에도 영양상태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출산 후 우울증을 경험하지 않은 여성, 다이어트 하지 않은 여성, 모유수유를 한 여성은 식습관과 영양소 섭취 상태가 높았으며, 모유를 공급 받은 영유아는 질병이환율도 낮고, 발육상태도 좋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가임여성은 임신 전부터 식생활 습관을 올바르게 하여 임신 중과 출산 후의 영양상태를 개선시키려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