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2 Download: 0

여성관리자의 다중역할 몰입이 심리적 안녕과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여성관리자의 다중역할 몰입이 심리적 안녕과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multiple roles' effectivenes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anageriaL skill for managerial women
Authors
윤미자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영학과
Keywords
여성관리자다중역할심리적안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 사회는 경제의 급속한 발전으로 많은 부분에서 변화를 맞고 있다. 특히 1980년대 말 노동시장에 여성인력이 대거 진입하게 됨에 따라 노동력 구성에 변화를 가져왔으며, 직장과 가전이 서로 분리된 사회시스템이라는 생각이 도전을 받게 되었다. 또한 개인생활을 중시하는 가치관과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로 직장생활만 강조하던 시대에서 벗어나 직장생활과 개인생활 모두를 중요시하며 양자의 균형을 추구하는 시대로 접어들었음을 말해준다. 그러나 인사관리분야의 연구들은 여전히 직장생활과 직장외 개인생활 영역을 대립되는 개념으로 보고 두 영역내기 다양한 역할 간의 대립과 갈등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특히 조직 관리자들의 이러한 시각은 가정생활의 의무를 많이 가지고 있는 여성의 업무성과 평가와 경력 개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사회심리학 연구에서는 취업여성의 다양한 역할 수행이 여성에게 부정적인 효과도 주지만, 오히려 특권으로 작용하여 각종 자원의 원천이 되며, 이는 자아개념의 확장으로 이어져 만족감 증대 등 심리적인 이익과 긍정적 경험을 제공한다고 밝히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직장과 직장외 생활의 병행으로 얻을 수 있는 심리적 이점과 조직 장면에서의 이점에 중점을 두어, 여성관리자의 다중역할 몰입이 여성관리자의 삶의 만족과 자기 존중감 및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여성이 직장과 가정을 조화시킬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여성지원적 조직문화가 여성관리자의 다중역할 몰입과 심리적 안녕 및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실증연구에 앞서 여성관리자들과의 심층면접을 통해 여성관리자들의 다중역할과 역할간 시너지 효과를 알아본 결과, 여성관리자의 다중역할에는 직장역할을 제외한 직장외 다중역할로 가정역할, 공동체역할, 친구역할이 도출되었다. 이들 역할 수행의 경험을 통해 얻을 수 있고, 직장생활에 도움이 되는 개인적 자원으로는 심리적 이익, 대인관계 기술, 네트워크 구성, 정보 획득, 리더십 개발과 멀티태스킹 기술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여성관리자와의 심층면접 결과를 토대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세웠고, 그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관리자의 다중역할 몰입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해 본 결과, 다중역할에 몰입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다중역할을 세분하여 가정, 공동체, 친구 및 직장역할 몰입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가정역할 몰입과 공동체역할 몰입이 증가할수록 삶의 만족이 증가하였다. 이는 역할 갈등이론에 기초한 기존 연구결과들이 다중역할 몰입이 역할 갈등을 일으켜서 결과적으로 삶의 만족을 감소시킨다는 결과와 반대가 되는 결과를 보여 주고 있다. 둘째, 다중역할 몰입이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유의미한 연관성을 나타내지 않은 이유는 본 연구의 응답자의 90% 이상이 20대 후반에서 30대로 막내 자녀의 평균 나이가 4살이고, 평균 9년의 직장 경력을 가진 특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인생주기에서 육아 또는 저학년 자녀 양육기에 위치하며 직업인으로는 치열한 경력 경쟁을 겪는 시기이기 때문에 이로 인한 과도한 심리적인 스트레스가 존재할 것이고, 다중역할 수행이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미칠 정도의 수위를 넘는 시기라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로, 여성관리자의 다중역할 몰입과 관리능력 간의 관계는 다중역할 몰입 수준이 높을수록 여성관리자의 자기평가와 상사, 부하, 동료에 의한 다면 평가에서 관리능력이 증가됨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심층면접의 결과처럼 다중역할 몰입으로 획득된 심리적 안정, 커뮤니케이션 기술, 사회적 지원, 정보 획득, 리더십 및 학습 기회 등의 개인적 자원이 직장생활에서 도움이 된다는 결과를 계량적으로 증명한다. 관리능력에 대한 본인의 자기평가는 자기존중감과 강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어서 자기존중감이 강할수록 관리능력을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여성관리자는 자신의 관리능력 평가에 있어 직장생활에 얼마나 몰입 하는가를 기준으로 하지만, 상사, 부하, 동료에 의한 객관적인 평가는 여성관리자가 직장외 역할에서 얼마나 다양한 경험과 인간 관계를 통해 관리능력을 개발하는가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넷째로, 여성관리자의 다중역할 몰입과 심리적 안녕, 관리능력 간의 관계에 여성지원적 조직문화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검증 결과 여성지원적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여성지원적 조직문화를 가진 회사에서 근무하는 여성관리자들을 대상으로 편중된 표집을 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되며 추후 연구에서 세심히 다루어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보여주는 다중역할이 심리적 안녕과 관리능력에 미치는 긍정적 결과는 다중역할을 기존의 대립적이고 경쟁적인 관점에서 역할간의 시너지를 만들어내는 원천이라는 새로운 관점의 이론적 재개념화의 필요성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개인의 태도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 단순히 조직내 인간의 측면이 아니라 조직외적 측면을 공유한 전체로서의 인간으로 보아야 하며, 보다 적극적이고 다양한 다중역할 수행이 폭넓은 경험과 네트워크를 가질 수 있게 하고 결국 이러한 개인적 자원이 관리능력을 개발하고 높이는 수탈이 될 수 있음을 실증함으로써 조직 실무자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본다.;Rapid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has lead to changes in the various fields the gender composition of the workplace, smaller family sizes, and changes in people's values for respecting their personal lives. The growing number of women entering the work force, advancing in organizational hierarchies, and taking on new work roles with increasing responsibilities in recent years has led to an increased interest in the interplay between different life roles for women managers. Initially, organizational research in these areas focused on the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It suggested that women who tried to combine careers with family and other non-work related roles suffered significant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ress and led to poor performances at work because of conflicts stemming from non-work related roles. In contrast, role accumulation suggests there are positive or beneficial effects of the commitment to multiple roles. A variety of work and personal roles provides multiple opportunities for satisfaction and pleasure, thereby enhancing psychological functioning. According to this view, the whole person is more than the sum of the parts, and participation in certain roles might generate resources for the use in other ro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multiple life role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work effectiveness from the more positive perspective of role accumulation theory. First, I used qualitative methods to identify what kinds of multiple roles women managers had along with the ways in which these multiple roles may benefit work roles. Results showed that women managers had non-work roles, such as family roles (e.g. parent, spouse, daughter, etc.), friend roles, and community member roles. Women interviewed in the qualitative study reported that their personal lives provided them with psychological resources that enhanced their work performance. Some professional benefits acquired from their multiple roles are psychological rewards, communication skills, social support from networking, and informational skills. They spoke mostly in terms of the transfer of skills across roles. Personal roles such as those of a spouse, friend, parent, traveler, sister, volunteer, and daughter were identified as providing opportunities to learn skills, values, and abilities useful at work. Women learned leadership skills and how to understand others and handle multiple tasks from nonbusiness roles. On the basis of these qualitative results,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Hypothesis 1: The relation between women manager's multiple rol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1-1: For women managers, commitment to the multiple roles is positive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1-2: For women managers, commitment to the multiple roles is positively related to self-esteem. Hypothesis 2:The relation between women manager' s multiple roles and managerial skills. 2-1:For women managers, commitment to the multiple role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anagerial skills 2-2:For women managers, commitment to a variety of non-work role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anagerial skills. Hypothesis 3:The moderate effects of the supportive corporate culture for women 3-1:The supportive corporate culture for women positively moderate the relationship with commitment to the multiple rol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r women managers. 3-2:The supportive corporate culture for women positively moderate the relationship with commitment to the multiple roles and managerial skill for women managers. I have distributed a questionnaire to women managers who havebeen working over five years, gathered and analyzed the information to get evidence to prove the hypothesis given abov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re deeply the women managers are involved with their multiple roles, the more they are to be satisfied with their lives. In particular, higher levels of family involvement and community role involvement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life satisfaction. This result is opposite to the previous idea that the state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non-work roles is associated with symptoms of poor psychological health. The new result suggests the combination of work and non-work roles is psychologically beneficial. Second, the commitment to multiple roles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self-esteem. Since most of the women in the sample were in their thirties, highly educated with managerial jobs, and family women with the bulk of their responsibilities related to children, they were apt to accomplish both their work and family roles. This overburden of responsibilities may create additional excessive stress and may reduce self -esteem. Third, commitment to multiple roles,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both interpersonal skills and task-related skills for women managers. Many of the women interviewed believed their involvement in multiple life roles helped them become more effective managers. The results suggest that bosses, peers, and subordinates also perceive that women who are committed to multiple roles are highly effective in both the interpersonal and managerial task related arenas. Fourth, I expect that the supportive corporate culture for women should positively moderate the relationship with the commitment to multiple role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anagerial skills for women managers. This hypothesis is rejected. An important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ntroduces to management literature an idea drawn from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on role accumulation, that commitment to multiple roles may be beneficial to both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 in ways previously unimagined. This research represents a first step in elaborating some of the benefits of multiple roles and provides for a more detailed and balanced understanding than the prevailing conflict-oriented approach allows. In general, and in line with the expansion hypothesis, we believe that non-work roles contribute to performance at work and to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is because multiple roles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women to succeed and to feel good about themselves. Further, they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managerial learning as well as significant opportunities for suppor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at organizations may want further recognize the psychological and professional benefits of a multiple-role life for their employees. Rather than discouraging people from spending time and energy in non-work roles, organizations may want to try to find ways to encourage and facilitate the transfer of learning from non-work to work arena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