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2 Download: 0

참기름 식이의 섭취 수준을 달리했을때 휜쥐의 체내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

Title
참기름 식이의 섭취 수준을 달리했을때 휜쥐의 체내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sesame oil. beef tallow on body lipid metabolism
Authors
金貞希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Keywords
참기름식이휜쥐체내지방대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study the effect of different fat sources and levels on Body lipid metabolism in Sprague-Dawley male rats. Two different fat sources were sesame oil and beef tallow, and the levels were 5% and 20% on the weight basis. Total experimental period was 4 weeks, The results are: 1. Body weight gain was higher in low fat level, but not significantly. And the weight gain in high sesame oil group was the lowest. 2. Food intake and calorie intake were the lowest in high sesame oil group. And that of the other three groups were similar. 3. The weight of epididymal fat pad was more heavy in low fat level than in high fat level. And more heavy in beef tallow groups than in sesame oil group. 4. The content of total lipid and cholesterol in feces were higher in high fat level than in low fat level. 5. The content of total lipid in liver was high i n high fat level, and the content of cholesterol was high in low fat level. 6. The content of total lipid and TG in serum were higher, in low fat level, but not in the significant level. 7. The content of total cholesterol in serum was higher in the sesame oil group than in the beef tallow group and tha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dietary fat.' The HDL fraction in serum was higher in sesame o i l group than in beef tallow group, and LDL fraction in serum was higher in beef tallow group than in sesame oil group. The VLDL fraction was higher in low fat level than in high fat level.;본 실험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상용되는 지방중 불포화도가 높은 참기름과 이것의 대조군으로 우지군을 사용하여 각각 수준을 변화시키는 것이 체내 지방대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평균 체중이 160.0±2.89g인 흰쥐에게 참기름, 우지를 식이무게의 5%, 20%가 되도록 만든 식이를 섭취하게 하였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체중 증가량은 참기름군, 우지군 모두 저지방군에서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고지방 참기름군에서 체중증가량이 가장 현저하게 낮았다. 식이 섭취량, 열량 섭취량도 고지방 참기름군에서 현저하게 낮았으며, 식이효율, 열량효율에서는 네군 모두 비슷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간, 비장, 신장의 무게는 체중과 같은 경향을 보여, 간, 비장의 경우 지방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흉선은 위장기들과는 다른 경향을 보여 고지방수준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지방조직 무게도 체중과 같은 경향을 보이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지방흡수율은 고지방군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냈고, 지방종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도 있었다. 2. 변내 총 지방함량과 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수준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간내 총 지방함량은 고지방군에서, 콜레스테롤함량은 저지방군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간내 중성지방 함량은 저지방군에서 높게 나타났고 특히, 고지방 참기름군에서 낮게 나타났다. 혈액내 총 지방함량과 TG 함량은 저지방군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나, 지방종류와 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혈액내 콜레스테롤 함량은 참기름군이 우지군에 비해 더 높은 경향을 보여 지방종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혈청 Lipoprotein분획에서 HDL은 참기름군이 우지군에 비해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고, LDL은 우지군이 참기름군에 비해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VLDL은 저지방군이 고지방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