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3 Download: 0

괄호매김모순 현상에 대한 운율음운론적 접근

Title
괄호매김모순 현상에 대한 운율음운론적 접근
Other Titles
(A) Study on the Bracketing Paradox
Authors
徐銀周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Keywords
괄호매김모순운율음운론현상Bracketing Paradox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영어의 괄호매김모순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 제안된 Kiparsky(1982)의 형태적 재분석, Pesetsky(1985)의 양화사 인상, Sproat(1988)의 전사원리, Williams(1981)의 어휘적 관련성 그리고 Spencer(1988, 1991)의 계열적 어형성 방법 등의 이론을 살펴보고 각각의 분석 방법들이 해결하지 못하는 괄호매김모순 현상의 예들이 있음을 검토한 뒤 어휘부내에 형태구조와 운율구조가 설정되야 함을 주장하고 더 나아가서 많은 영어의 음운현상이 이 두 구조를 동시에 언급함으로써 보다 설명력있게 분석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Aronoff & Sridhar(1983, 1987), Booij & Rubach(1984), Booij & Lieber(1993)의 괄호매김모순 현상에 대한 접근 방법이 더 타당함을 보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괄호매김모순 현상은 음운규칙의 일부를 어휘부내에 적용시키는 어휘 음운론(Lexical Phonology)의 주요 가정 중 하나인 층위순서가설에 대한 반례로써, 한 단어가 음운제약, 형태제약, 의미제약, 층위순서가설 등에 의해 서로 다른 구성소 구조를 가지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층위순서가설이 란 1종 접사는 항상 2종 접사 이전에 붙어야 한다는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하는 이론으로써 Siegel(1974)에 의해 제안되고 Allen(1978), Williams (1981) 등에 의해 확장되었다. 괄호매김모순 현상의 분석을 위해 Kiparsky는 형태적 재분석(Morphological Reanalysis)이란 분석방법을 제안했는데 이는 투영원리(Projection Principle)에 의해 접사의 하위범주제약을 어기지 않는다면 자유롭게 괄호를 재배열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복합어 atomic scientist, macroeconomist처럼 atomic, science, macroeconomics에 각각 -ist, -er이 붙어 근간이 되는 표현이 변하는 괄호매김모순 현상의 예를 설명해주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반면 Pesetsky는 양화사 인상(Quantifier Raising)이란 분석방법을 제시했다. 이는 문장에서 양화사에 적용하던 양화사 인상 방법을 단어의 형태구조에도 적용하자는 것으로, 이 분석방법 또한 Kiparsky의 분석방법처럼 atomic scientist와 같이 접미사가 붙음으로 인해 근간이 되는 표현이 변하는 예를 설명해주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Sproat는 전사원리(Mapping Principle)에 의해 괄호매김모순 현상을 설명한다. 이는 단어의 표면구조(S-structure)와 음성표기(phonetic form)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표면구조에서 자매관계에 있던 요소들은 음성표기에서 반드시 인접해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이 분석방법 또한 Kiparsky, Pesetsky처럼 접미사가 붙어 근간이 되는 표현이 변하는 예를 설명할 수 없다. 이에반해 Williams는 핵(head), 비핵(non-head), 어휘적 관련성(Lexical Relatedness)의 개념에 의해 괄호매김모순 현상을 설명하고자 한다. 즉 핵과 비핵의 위치에 있어서만 다르다면 두 단어는 어휘적으로 관련된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 분석방법은 실제 상관이 없는 단어들을 관련된 것으로 분석하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마지막으로 Silencer는 어휘부에 존재하는 단어들로부터 유추를 하여 새 단어를 형성할 수 있다는 계열적 어형성(Paradigmatic Word Formation)으로 괄호매김 모순 현상을 설명한다. 그렇지만 이 분석방법 또한 *unfitter와 같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표현이 형성되는 것을 저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층위순서가설이 옮다는 가정하에 괄호매김모순 현상을 분석한 Kiparsky, Pesetsky, Sproat, Williams와 달리 Aronoff & Sridhar, Booij & Rubach, Booij & Lieber는 층위순서가설에서 나타나는 많은 반례를 들어 이 가설의 폐지를 주장하며, 어휘부내에 운율구조와 형태구조가 동시에 존재한다는 운을 분석적(prosodic analystic) 접근방법으로 괄호매김모순 현상을 설명하고자한다. 그리고 단어의 운율구조중 음운 단어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음운 단어에 의하면 괄호매김모순 현상의 예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영어의 음운 규칙도 쉽게 설명할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와 같은 Aronoff & Sndhar, Booij & Rubach, Booij & Lieber의 이론에 의해 괄호매김모순 현상을 분석하고, 영어의 음운규칙 현상을 설명하여 이들의 이론이 앞서 여러학자의 이론보다 더 타당함을 밝히고자 했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olve the problem of bracketing paradox. Bracketing paradox is to assign two incompatible constituent structures to a single expression. Many linguists try to solve this problem. namely Kiparsky(1982), Pesetsky(l985), Sproat (1988), Williams(1981), Spencer(1988, 1991), Kiparsky assumed that a form of the Projection Principle holds in the morphology. That is subcategorization requirements of affixes must be met at every level, and Reanalysis of morphological bracketing is freely permitted at any point in the derivation, subject to the above Projection Principle. Pesetsky proposed that the constituent structure of words and S-structure is not necessarily isomorphic with their constituent structure at LF, and then he suggested Quantifier Raising in order to map morphological S-structure representations onto LF. Sproat separates syntactico-semantic properties of morphemes, such as their subcategorization requirements, from their phonological properties. The syntactico-semantic properties of words are couched in terms of immediate dominance but not in terms of linear order. This gives an S-structure representation, the phonological of constituents and also their linear order. Sproat defines a Mapping Principle relating S-structure to PF representations. Williams tried to solve bracketing paradox using the definition of head, nonhead, Lexical Relatedness. It. is said that X can be related to Y if X and Y differ only in a head position or in the nonhead position. Spencer tried to solve this problem using Paradigmatic Word Formation which forms a new word with an analogy from words existing in the lexicon. However except Spencer, all of the theories have the same problem. They do not try to explain words such as atomic scientist and moral philosopher that have allomorphy stems such as atomic science and moral philosophy. Spencer also has a problem. That is not try to explain *unfitter that doesn't actually exist but is formed by his theory.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ronoff & Sridhar, Booij & Rubach, Booij & Lieber assumed that in Lexicon, there coexist prosodic structure and morphological structure, and also assumed that word affixes form prosodic words, while stem affixes do not. On the basis of this assumption, the problems of bracketing paradox are all solved, and we analyzed English phonological phenomena and showed that different rule application of level 1 phonology and level 2 phonology can be better explained on this assumption. But, for having better profits, Aronoff and Sridhar's theory must have explanations about Phonological Rule and Phonological Rule Reformaliz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