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희진-
dc.creator김희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9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4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8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440-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a visual form. Visual form is a pattern of icon of written language. Visual form-is a form which is achieved by adopting principles from the visual arts into literature. This form has been used from the ancient Greek, the medieval and the Renaissance period. Especially the 17th century left a considerable amount of visual poems in the works of the metaphysical poets. Among the various kinds of visual form before the 20th century, emblem poetry and the pattern poetry were most renowned. In emblem poetry, effect of visual icon on the text was limited to an illustrative image supporting the didactic contents of the poem. And the pattern poetry was also originated from the apparent shape's metaphoric resemblance to the objects the poetry was talking about. These two old types of visual form show that visual form prior to this century mainly takes the supplementary role of emphasizing the contents. The trend of distrust on representation of language along with the same disbelief in artistic representaion in the visual arts, language came to be recognized as a physical material and an object itself. Objectified language leads the text of a surface to be regarded as having its own value. W.C.Williams and E.E.Cummings who began to recognize the dependent value of iconic text are the intermediary poets between modernists and the postmodernists. The visual form of Williams and Cumm ings indicates that the iconic text is enlargening its visual effect more and more besides the contents. First of all, as any other visual forms have done, their visual text presents the contents dramatically. Furthermore, it becomes vital turning point in the poetic narrative and it can also express something else that is equivalent enough to the contents of referential meaning. Visual ambiguity caused by ambiguous positioning or line division can change the dimension of the verbal experience into spatial experience because ambiguous line can be analyzed into multiple meanings. Visual form having its own expression on the text is the essential and constituent part of the whole poem. Compared to modem contemporary poems, Williams and Cummings's poetry adopted the innovative value of iconic text as an object to the traditional poetry, but they still hold the respect of the traditional style to keep the reconciled balance between objectified language and signifying language. Williams and Cummings are different from postmodern poets who are borrowing the Objectivist poetry from Williams and Cummings. Postmodern poets use self-referential language and consider poetry to be a printed artifact without any refernetial meaning. However, what Williams and Cummings maintained the signifying language as well as the material text can be turned into a performative aspect of contemporary postmodern writing. Iconic form left on the surface of the text is the direct trace of the poet himself, his own inspiration, poetic will and his act of writing. This performative aspect of visual form functions to revitalize the mechanical product of a poetic text from which the poet has been isolated since the 19th century. Visual form gives a lot of possibilities as an experimental style to the signifier-signified system in verbal structure.;본 논문은 언어가 표현되는 두 가지 형태인 말(speech)과 글(writing) 중에서 글이 지닌 도상(icon)으로 시의 형식을 만드는 시각 형식(visual form)에 대한 연구이다. 시각 형식은 문학과 자매 예술인 미술의 원칙을 적용해 이룬 형식으로서, 여기에서는 시행이나 단어의 배열된 위치, 시 모양들이 하나의 도상으로 받아들여진다. 시각 형식은 고대 희랍부터 중세, 르네상스기를 거쳐 특히 17세기의 형이상학파 시인들에게도 두드러지게 애용되었다. 20세기 이전까지의 시각 형식으로는 시의 도상 형태가 갖는 시각적 효과가 삽화적인 단계에 그치는 emblem poetry나 시의 대상이 되는 가시적인 대상의 외관을 모방하는 pattern poetry가 대표적으로 쓰이고 있었다. 이러한 도상 형식은 지시적 언어로 도출된 시의 의미를 반복하거나 보조하는 부수적인 위상에 머물러 있었다. 20세기에 들어서서 구상적인 대상의 재현에 회의가 일면서 언어를 하나의 물리적인 대상으로 인식하며 텍스트 위에 배열된 언어의 표면적 도상 형태 자체의 가치를 인정하기 시작했다. Williams와 Cummings는 객관주의적 시점에서 시를 객관적 대상으로 보고, 텍스트에 나타난 시 형태의 독자적인 가치를 깨닫기 시작하여 모더니즘과 포스트 모더니즘의 과도기적 단계의 시인들이라고 볼 수 있다. 이들의 시각 형식은 pattern poetry부터 점차 텍스트 위의 도상 형태가 시각적인 효과를 넓혀가는 단계들을 보여주고 있다. Williams와 Cummings시의 시각 형식은 우선 시의 의미를 강조해 극적으로 제시해주는 효과가 있고, 나아가 시의 내용 전개에 결정적인 전환을 이루기도 하며, 그 내용과 병행되는 또 다른 뜻을 표현하기도 한다. 또 단일한 의미의 시를 행, 단어의 배치와 분절로 모호하게 하며 다의적인 시로 의미를 확장시키기도 한다. 즉 텍스트 위의 시각 형식은 시의 내용에 대해 필수적이고, 독자적인 표현력을 담고 있으면서 결국 시 전체의 의미에 귀속되는 또 하나의 표현 수단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이 Williams와 Cummings의 시는 이전의 시각 형식들이나 전통시들에 자체적으로 대상이 되는 텍스트의 도상 형태를 도입하면서도 결국은 의미와의 연관에서 가치가 있는 전통적인 시각 형식의 면을 유지하고 있다. 이것은 이들이 극단적인 포스트모던 시인들의 경우처럼 언어의 지시적 기능이 완전히 소실되고, 시를 완전히 가공의 대상물로 삼는 시각 형식과는 다른 문학으로서의 경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뜻이다. 그러나 Williams와 Cummings시가 시의 도상 형태를 의미와의 연관에서 구사한 전통적인 성향은 텍스트가 시인의 직접적인 표현이라는 특수한 효과로 작용한다. 텍스트 위에 남아있는 시형의 모양은 시인의 영감과 힘, 움직임이 만든 직접적인 표현으로 기존의 지시어가 잃어가던 활력과 주관적 표현력을 인쇄 매체에까지 남길 수 있는 효과를 이루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Ⅱ. 본론 : Williams와 Cummings시의 시각 형식 = 14 1. 시각 형식의 종류 = 14 2. Pattern Poetry = 18 3. Williams와 Cummings시에 나타난 시각 형식의 추구 = 33 4. Williams와 Cummings시의 시각 형식 = 47 Ⅲ. 결론 = 97 Bibliography = 101 ABSTRACT =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766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Williams-
dc.subjectCummings-
dc.subject시각 형식-
dc.titleW. C. Williams와 E. E. Cummings시에서의 시각 형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visual form in William Carlos Williams and E. E. Cummings's poetry-
dc.format.pagev, 106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영문학과-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