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0 Download: 0

자질계층이론에 입각한 영어 자음의 동화현상 연구

Title
자질계층이론에 입각한 영어 자음의 동화현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English Consonantal Assimilation based on Feature Geometry
Authors
曺銀美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Keywords
자질계층이론영어자음동화현상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ssimilation is thought of as a phonological process which induces distinctive features to change among segments or phones; nevertheless few phonological analyses have plausibly predicted varieties of its behavior with consistency as a natural ru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a hierarchical feature representation has a more explanatory formulation by appealing to an operation of feature spreading in light of simplicity and naturalness. In Chapter Ⅰ, I propose reasons that the hierarchical feature representation must be introduced to explain assimilation phenamena in a phonological analysis, indicating multi-tiered feature representation apts to overlook how features correlate among themselves in a segment, because some features happen to act as a unit in natural phonological process as Clements (1985) argues. Chapter Ⅱ is composed of two major parts, in which I examine an overall system of hierarchical feature representation, dealing with theoretic fundamentals and two different models of feature geometry. The first part is concerned with two theoretic assumptions on feature geometry, namely, feature spreading and underspecification, with which feature geometry achieves a simple and natural account of phonological process. In the second part, the models of Clements' (1985) and Sagey's (1986) is compared with each other. A significant difference is observed in the internal structure of place node between two models: the one suggested by Clements (1985) puts the place feature as a daughter individually dominated by place node as mother node, whereas the other by Sagey (1986) presents a hierarchical structure of place node in such a way that terminal features are predominated by an active articulator node - Labial, Coronal, or Dorsal, each of which, in turn, is dominated by a place node. According to Sagey (1986), the complex segment, which involves a sequence of articulations within a segment, should be represented with distinct formulation to explain the different behavior of complex and contour segment with respect to phonological rules. Her analysis is so appealing to be respected in that universal phonetics possibly accounts for the characterization of complex segment in human language with simple rule. Furthermore, I indicate the problems Clements' (1985) place node classified on phonological function face, while his approach promises a possible solution for the analysis of assimilation triggered uniformly by feature spreading, regardless of whether it be a class node or an individual feature. I argue for Sagey's (1986) hierarchical organization of place node based on phonetics. In Chapter Ⅲ, as a prestep to Sagey's (1986) model to be applied to English consonantal assimilation, I examine how underspecification simplifies the hierarchical feature representation for consonants. To conclude the present study, I illustrate that the feature geometric approach captures English consonantal assimilations naturally and systematically, simply by application of feature spreading, with no further burden on grammar.;동화란 분절음들 사이에서 자질들이 변화하는 자연스런 음운과정으로 알려져 왔지만 그 변화의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자연스런 음운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일관되고 자연스럽게 설명하는 음운분석은 많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질계층이론에 입각한 자질확산과정으로 영어자음의 동화현상을 간결하고 자연스럽게 설명할 수 있음을 보이려고 한다. 제 Ⅰ 장에서는 몇 개의 자연스러운 동화과정의 예를 들어 다층적 자질표시를 가정하는 비선형음운론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자질간의 연관성을 포착하여 자질의 계층구조를 두자는 자질계층이론이 도입되어야 하는 타당한 근거를 제시한다. 제 Ⅱ 장은 크게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질계층이론의 전반적 분석체계를 이해하기 위해 앞부분은 자질계층이론의 이론적 전제가 되는 기본 가정으로서 자질확산규칙과 불완전명세이론을 살펴보고, 이들이 자질계층이론에서 어떻게 작용하는 지를 점검해 본다. 한편 뒷부분에서는 각기 음운론적, 음성학적 시각에서 서로 다른 자질수형도 모형을 제시하는 Clements (1985)와 Sagey (1986)의 분석을 비교·검증한다. 특히 이 두 모형의 큰 차이를 보이는 조음위치 내부구조를 보면, Clements(1985)의 경우 조음위치자질들이 모두 개개의 말단자질로서 조음위치마디에 직접 연결되어 있지만, Sagey (1986)의 모델은 조음위치마디와 자질들 사이에 능동적 조음자마디인 순음마디, 설정음마디, 설배음마디를 두고, 이들이 각자 자신의 말단자질을 관할하도록 조직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Sagey (1986)는 자신의 주요 논점으로 복합분절음의 음성적, 음운적 특성을 고려하여 조음위치마디 아래 능동적 조음자마디를 두는 근거를 실제 음운과정을 제시, 설득력 있게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Sagey (1986)의 모델의 장점은 조음위치자질들의 연관성을 언어보편적 음성학에 근거하여 자연스럽게 설명한다는 데 있다. 즉 조음위치자질들은 구강내의 능동적 조음자인 입술과 혀에 우선적으로 관련된다고 본다. 이러한 근거로 조음위치자질들을 순음, 설정음 및 설배음마디와 같은 각각의 조음자마디에 의존적으로 나타나는 하위자질로 설정하였기 때문에, 이들은 자신의 조음자마디와 음운과정에서 함께 묶여서 다른 조음자마디를 상위마디로 갖는 조음위치자질들과 구분되어 독립적 음운행동을 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제 Ⅲ 장에서는 영어의 자음간에 발생하는 동화현상에 Sagey (1986)의 자질수형도를 이용해서 적용해 본다. 그 첫 단계로 불완전명세되어 나타나게 될 영어 자음의 자질수형도의 기저표시를 살펴 보고, 나아가 자질계층이론에 따르면 영어 자음동화과정을 자질확산으로 자연스럽고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음을 보여주려고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