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소현-
dc.contributor.author김지영-
dc.creator김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7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4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1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474-
dc.description.abstractChildren should not just be placed in inclusive setting but should be engagement in ongoing classroom activities and routines for the qualitative inclus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refore, the improving engagement supporting the child in the inclusive settings were considered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the curriculum modifi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setting would influence engagement, engagement level, engagement type in the free choice activit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rvention effects through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children. The teacher provided the curriculum modification during the free choice activities. To applicate curriculum modification, The intervention package consisted of four steps to modify curriculum. In the first step, The researcher assessed the current participation level of the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fter two teacher orientation sessions. In the second step, The researcher planned curriculum modification through physical environmental modification, social environmental modification, activity modification, and material modification. The third step involved the implementation of the planned curriculum modification, and the fourth step offered feedback. Those steps were carried out repetitively, and the ending point of intervention was decided based on a peer micronorm. Generalization was performed during the hours of free choice activities in the afternoon. Observations were made of generalization maintenance four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was over and of intervention maintenance six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was over. Data were collected using interval recording systems and the percentages of occurrence were obtained. The children were observed during free choice activities, using 15-second interval recoding system. Each the experimental session was observed for 10minu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 modification procedure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engagement of the children. The increased engagement of the young children were maintained and generalized into the situations where the intervention was not implemented. Second, the curriculum modification procedure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higher engagement level of the young children. The higher engagement level of the children were maintained and generalized into the situations where the intervention was not implemented. Third, the curriculum modification procedure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diverse engagement types of the young children. The diverse engagement types of the children were maintained and generalized into the situations where the intervention was not implemented. These results show that the curriculum modifica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engagement, engagement level, engagement type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s. Curriculum modification can be essential in the successful inclusion of the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Thu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checked the possibilit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s approach toward the general curriculum by applying curriculum modification to the inclusive environment and suggested curriculum modification as an effective and practical support plan applicable to the inclusive situation in which a general kindergarten curriculum was run.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ingredients in successful application of the systematic instructional procedures in inclusive settings may be related to how teachers organize instructional trials for the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 effectiveness of the applications of curriculum modification to ongoing routines in inclusive settings is also discussed.;장애 유아 통합교육이 적절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장애 유아를 물리적으로 통합 환경에 배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교실에서 진행되는 일과나 활동에 장애 유아의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져야 한다. 통합 유치원은 일반 유아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장애 유아는 그들이 가지고 있는 발달 특성 또는 장애 특성으로 인하여 일반 유아교육과정에 적절한 참여가 어려우므로 장애 유아를 위한 적절한 지원을 필요로 한다. 즉, 통합 유치원의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일반 유아교육과정과 함께 장애 유아의 개별적인 욕구에 맞추어 계획된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이 병합되어 운영되어야 한다. 참여란 단순히 물리적으로 한 공간에 일정 시간 같이 배치되어있는 것뿐만 아니라 장애 유아의 발달에 적합하고, 맥락에 적절한 의미 있는 참여가 이루어지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통합 환경에서 일반 유아와 비교하여 장애 유아는 활동 참여율이 낮거나 의미 있는 참여에 어려움이 있다고 보고되어 왔다. 따라서 통합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장애 유아의 참여를 위한 지원필요성이 요구된다. 통합 환경은 장애 유아와 일반 유아가 함께 활동하는 공간으로 장애 유아를 위한 지원을 계획할 때 장애 유아의 발달적 특성과 함께 통합 교실의 환경적 맥락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통합 환경에서 장애 유아의 참여를 위한 지원은 장애 유아뿐만 아니라 일반 유아들에게 미치는 영향도 고려하여 진행되는 활동과 일과의 맥락 안에서 자연스럽고, 장애 유아와 일반 유아 모두 혜택을 얻을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이어야 한다. 교육과정 수정(curriculum modification)이란 진행되는 활동이나 교재를 변경하여 장애 유아의 참여를 촉진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이며 자연적인 접근법이다. 더욱이 교사들에게 추가적인 노력을 크게 필요로 하지 않고 일반 유아 교육과정과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을 병합하는데 적절한 방법으로 일과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통합 유치원의 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자유선택활동에 교육과정 수정을 적용하여 참여율, 참여 수준, 참여 유형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통합 환경에서 교육과정 수정의 적용 가능성 확인과 함께 효율적인 통합교육 활동을 위한 지원 방법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실험은 통합 유치원 한 기관에 배치되어 있는 3명의 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연구 참여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multiple across participants design)로 유치원의 오전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교육과정 수정을 적용하였다. 교육과정 수정의 적용 과정은 먼저 교사 오리엔테이션을 2회기 가진 후 1단계에서 장애 유아의 참여 현행수준을 평가하였다. 2단계에서는 물리적 환경 수정, 사회적 환경 수정, 활동 수정, 교재 수정의 방법을 사용하여 교육과정 수정을 계획하였다. 3단계에서는 계획한 교육과정 수정을 실행하였으며, 4단계에서는 피드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중재 종료 시점은 또래 소규준(peer micronorm)을 기준으로 결정하였다. 오후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일반화를 실시하였으며, 중재 종료 4주 후에 일반화 유지, 중재 종료 6주 후에 중재 유지를 관찰하였다. 자료 수집은 자유선택활동 시작 10분 후부터 10분간 관찰하였으며 관찰 상황은 모두 비디오로 녹화하였다. 자료 분석은 녹화된 자료를 재생하여 보면서 E-QUAL Ⅲ의 참여, 참여 수준, 참여 유형의 조작적 정의 지침에 따라 15초 부분간격 기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 유치원에서의 교육과정 수정이 장애 유아의 자유선택활동 참여율을 증진시켰으며, 그 결과는 오후 자유선택활동에 일반화되었으며 중재 종료 6주 후의 시점까지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 유치원에서의 교육과정 수정이 장애 유아의 자유선택활동 참여 수준을 더 상위의 수준으로 변화시켰으며, 그 결과는 오후 자유선택활동에 일반화되었으며 중재 종료 6주 후의 시점까지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합 유치원에서의 교육과정 수정이 장애 유아의 자유선택활동 참여 유형을 더 다양한 유형으로 변화시켰으며, 그 결과는 오후 자유선택활동에 일반화되었으며 중재 종료 6주 후의 시점까지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 환경에서 교육과정 수정을 적용하여 장애 유아의 참여율이 증가하고, 참여 수준이 더 높은 수준으로 변화하였으며 참여 유형이 더 다양해지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통합 환경에 교육과정 수정을 적용하여 장애 유아 참여의 양적 증가와 질적 변화도 이끌어 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통합 환경에서 교육과정 수정을 적용하여 장애 유아가 일반 교육과정에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일반 유아 교육과정이 운영되는 통합 상황에 장애 유아의 개별적인 욕구를 반영한 효과적이며 실제적인 지원 방안으로 교육과정 수정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C. 용어 정의 = 7 Ⅱ. 이론적 배경 = 9 A. 통합 유치원 교육과정 운영 = 9 1. 일반 유아교육과정 = 9 2.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 = 11 3. 장애 유아의 일반 유아교육과정 접근 = 13 B. 통합 환경에서의 장애 유아의 참여 = 18 1. 참여의 개념 = 18 2. 참여 수준과 유형 = 20 3. 통합 환경에서 장애 유아 참여의 중요성 = 23 C. 장애 유아의 참여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 수정 = 26 1. 교육과정 수정의 필요성 = 26 2. 교육과정 수정의 구성 요소 = 28 3. 교육과정 수정과 관련된 선행 연구 동향 = 31 Ⅲ. 연구방법 = 36 A. 연구 참여자 = 36 B. 실험 기간 = 40 C. 실험 장소 = 40 D. 실험설계 및 실험조건 = 40 E. 관찰 및 측정 = 50 F. 관찰자간 신뢰도 = 55 G. 중재 충실도: 교육과정 수정 적용 = 56 H. 사회적 타당도 = 57 Ⅳ. 연구결과 = 59 A. 교육과정 수정이 장애 유아의 자유선택활동 참여에 미친 영향 = 59 B. 교육과정 수정이 장애 유아의 자유선택활동 참여 수준에 미친 영향 = 65 C. 교육과정 수정이 장애 유아의 자유선택활동 참여 유형에 미친 영향 = 71 Ⅴ. 논의 및 제언 = 75 A. 논의 = 75 B. 제한점 = 95 C. 제언 = 96 참고문헌 = 98 부록 = 116 Abstract = 12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961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통합 유치원에서의 교육과정 수정이 장애 유아의 자유선택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Curriculum Modification in Inclusive Setting on Engagement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dc.creator.othernameKim, Jee Young-
dc.format.pageⅶ, 130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