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6 Download: 0

문화 아이덴티티를 기반한 한국공간디자인에 관한 고찰

Title
문화 아이덴티티를 기반한 한국공간디자인에 관한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n Korean Space Design for the Foundation of Cultural Identity
Authors
김주영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영식
Abstract
오늘날 벌어지고 있는 문화 아이덴티티의 중요성은 새로운 설명을 요구하게 되는데, 뚜렷한 징후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 아이덴티티의 중요성은 세계화에 따른 적극적인 방식으로 자국의 문화의 대처하는 방향으로 나타난다. 즉 글로벌 스페이스의 형성 속에서는 복잡하고 불규칙적인 속성을 지닌 세계화로 인해 민족문화와 정체성이라는 전통성이 말살되고 타파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둘째, 근대화로 인한 다문화의 과정 속에서 서로 다른 문화의 공생을 추구하는 다문화주의는 각국의 문화적 아이덴티티의 중요성을 높아지게 되는데 여기에서 문화적 아이덴티티의 확립이 없을 경우 다가올 혼란은 말을 하지 않아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국가경쟁력의 척도가 과거 군사력이나 외교력과 일맥상통하는 용어, 혹은 ‘경제적’능력에서 지식정보사회에서의 국가경쟁력은 기업경영의 효율성, 정부행정의 효율성, 혁신성, 잠재능력, 국가이미지와 같은 소프트 파워의 중요성으로 패러다임이 변하기 때문이다. 이중 소프트파워의 가장 큰 핵심인 문화적 힘, 즉 문화경쟁력으로 이는 직접, 간접적인 체험을 통해서 나타나기 때문에 상징이나 이미지의 힘보다 훨씬 더 강하고 지속적인 성격을 지닌다는 점에서 훨씬 중요하다. 여기서 공간을 디자인하는 개념은 일반적으로 ‘사물과 사물, 사물과 인간, 인간과 인간 사이에 존재하는 일련의 관계’로 이해할 수 있고, 이는 문화와 마찬가지로 단순한 요소들의 집합체가 아니라 인간의 삶과 이를 위한 장소를 조직하는 개념이나 형태에 의해 유도되는 것이다. 따라 한국의 문화아이덴티티를 확립하고자 한국의 공간디자인의 중요성은 당연한 것이며, 즉 우리는 한국의 공간디자인의 특징들을 분석하고 이를 기준으로 현대 공간에서의 표현방법의 고찰이 필요성은 더욱 부각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같은 점을 인식하고 한국의 공간아이덴티티가 전통공간에서 발현되는 특성과 요소들로 기준을 하되 그 고찰방법을 잠재적인 가치와 의식인 의미론적 배경으로 인해 형태학적 특성이 발현된 것으로 구분지어 밝히며 이러한 특성들을 기준으로 현대 공간의 한국적 아이덴티티의 문제점과 앞으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결과로 인해 한국공간디자이너에게 한국정체성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며 더 나아가 한국의 문화적 아이덴티티의 위상을 높여 세계 속에 높은 국가경쟁력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The importance of cultural identity happening in these days requires new explanation and the apparent sig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cultural identity appears as a form of actively managing a country's culture in step with globalization. That is because, under the formation of global space, the tradition of national culture and identity would be destructed by the globalization that has complicated and irregular characteristics. Second, in the process of multi-culturalization under modernization, the multiculturalism that pursues coexistence of different culture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ultural identities in each country, and without an establishment of cultural identity, it is clear that it will lead to a confusion . Lastly, in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the measure of national competitiveness represented by the term 'economic power' that have a thread of connection with military power or diplomatic power in the past have been moving to new paradigm of soft power such as efficiency in business management, efficiency in government administration, innovativeness, potential capacity and national image. The core of those soft power is the cultural power, that is, the cultural competitiveness. Since it appears through indirect experience, it is much more important in that it has stronger and continuous characteristics than the power of symbol or image. It should be noticed that the concept of space design in here in general can be understood as a 'certain relationship that exists between object and object, between object and human, and between human and human, and likely to the culture, it can be induced not by a simple group of elements but by the concept or form that organizes the human life and the place for human life. Therefore, to establish the cultural identity of Korea, there should be no wonder in the importance of Korean space design, that is, we ne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pace design and study the expression method of modern space based on this. This study realizes above features an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of Korean space design revealed in traditional space, the study clarifies the research method by morphologic characteristics revealed by semantic background of potential value and awareness. Based on those characteristics, the study as well provides the problems in Korean identity in modern space and the future direction. Through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provide the direction of Korean identity for Korean space designers and also help constituting strong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world by raising the cultural identity of Ko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