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소현-
dc.contributor.author김민정-
dc.creator김민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7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0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7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099-
dc.description.abstract유치원 교육과정을 마치고 초등학교에 들어가는 과정은 장애 유아가 본격적으로 제도권 교육으로 들어간다는 큰 의미를 갖고 있다. 유아교육기관에서 초등학교로 옮겨가는 것은 단지 제도적인 측면에서의 변화 뿐 아니라 또래관계, 학습 집단의 크기, 교사와 부모의 역할, 교실 및 수업환경 등 전반적으로 많은 변화를 포함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장애 유아에게는 초등학교에 입학하고 적응하는 과정은 적지 않은 도전이 되곤 한다. 이 어려움은 장애 유아 자신에게도 해당되기도 하지만 자녀를 초등학교로 입학시키는 부모에게도 해당된다. 대부분의 부모들은 자신의 장애 자녀가 좀 더 자연스럽게 초등학교 과정에 적응하며 유아교육기관에서 강화되어 오던 행동들이 초등학교에서도 지속적으로 강화될 수 있기를 바란다. 부모들은 장애 자녀가 마치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유치원에서 초등학교로,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그리고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를 거쳐 사회로 나아기기를 바란다. 이러한 자연스러운 흐름의 중요성에 기초하여 특수교육에서는 전이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직업교육과 관련되었던 전이교육의 관점이 생태학적 전이 과정에 확대?적용되어야 하는 입장에서 유아교육기관에서 초등학교로 입학하는 과정역시 중요한 전이 과정의 하나로서 적극적인 관심과 중재가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장애 자녀를 가진 부모들은 초등학교 진학과 관련하여 많은 갈등과 고민을 경험하고 있다. 이에 장애 유아의 초등학교 진학을 위한 학교준비도에 관한 부모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은 장애 유아의 초등학교 입학 및 적응과 관련된 사람들에게 중요한 의미를 갖으며, 부모를 적극적이고 주체적인 참여자로 끌어들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장애 유아의 초등학교 진학을 좀 더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학교준비도에 관한 부모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의 유치원 특수학급 부모와 초등학교 저학년 특수학급 부모 총 237명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결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각 문항별로 평균과 표준 편차를 구하고 이에 따라 문항 점수의 순위를 비교하였고, 학교준비도의 하위 영역별 중요도 인식에 대한 부모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고 부모들이 서술한 개방형 질문은 내용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특수학급 부모가 인식하는 초등학교 진학을 위한 학교준비도를 살펴보면 전체 20개 문항이 3점(중요하다)이상의 점수를 나타내고 있으며, 장애 유아가 일반 초등학교 진학시 가장 필요한 학교준비도로 ‘친구와 함께 놀이에 참여하고 상호작용을 한다.’를 가장 중요시하였으며, ‘50 혹은 그이상의 수를 센다.’를 비교적 덜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특수학급 부모가 인식하는 초등학교 진학을 위한 학교준비도를 살펴보면 응답한 48개의 문항 중 16개 문항이 3점(중요하다)이상의 점수를 나타내고 있으며, ‘화장실을 사용하고 싶은 욕구를 표현하고,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다.’를 가장 중요시 하였다. 비교적 덜 중요하게 인식하는 학교준비도는 유치원 특수학급 부모와 같이 ‘50 혹은 그이상의 수를 센다.’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 집단에 따른 학교준비도의 하위 준비기술의 영역별 차이를 비교해보면, 일반적인 준비기술과 교실관련 준비기술의 총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장애 유아의 초등학교 진학과 관련하여 부모들의 지원요구를 알아보면 교사의 태도 및 능력과 교수 부분에 대한 응답이 가장 많이 나왔으며, 단일 항목으로는 일반 교사의 장애 아동에 대한 편견없는 마음가짐에 대한 응답이 가장 많이 차지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 유아가 초등학교로 진학하는데 있어 부모의 학교준비도에 관한 인식을 비교하여 알아보았다. 이는 장애 유아가 초등학교 진학시 적응상의 문제를 최소화하고, 초등학교로의 진학 과정을 좀 더 쉽게 하는데 있어 부모와 교육기관간의 원활한 연계 방향 설정에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장애 유아의 초등학교 진학 시기와 관련해서 부모들이 바라는 것은 무엇인지 의견을 알아봄으로써 부모로 하여금 유아기 전이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장애 유아의 전이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로 하여금 가족이 필요로 하는 전이 교육 및 지원을 하는데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It is significant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enter elementary school after finishing kindergarten course since it means that they shift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 into a more institutional and formal field. It is very meaningful to check the parents' recognition on readiness for moving on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elementary school, for those who are involved in accepting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also for their adaptation at elementary schools. Also this study can help to make the parents be more active participants. Besides, this can lead to activate the educational transi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an be used as important preliminary data in navigating the connection education between household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This study sampled the parents of the special clas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tending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s in Seoul, Incheon, and some of Gyeonggi areas. Its survey had a list of questionnaire on their recognition of readiness for moving into elementary school of thei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PSS WIN 16.0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mean ,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Also content analysis was used for open ended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parents of special class of kindergarten considered "My kid interacts with peers and participates in plays," most important. And, they put less value on the statement like, "My kid can count to 50 and more." Secondly, the parents of lower graders of special class at elementary schools considered, "My kid can express his or her needs to use the bathroom, and be able to use I,." the most important. Likewise, they also put less value on the article of "My kid can count to 50 and more." Thirdly, the above two parents groups didn't show an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reas of sub-skills of getting ready for schools, when the total scores of survey were added. This allows to interpret that the two groups have similar level of awareness. Fourthly, the supportive needs that the parents mostly asked for were the teachers' attitude and teaching. The single item they opted most was teacher's mindset without prejudice when dealing with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recognition of the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 the readiness of schools in accepting those kids. This data will help to minimize the difficulties occurring while adapting elementary schools, and facilitate the young children's transition to a new educational institutions. Also, the study compared the awareness of two different groups; the kindergarten kids' parents and those of low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Moreover, it is significant that the study surveyed those parents general supportive need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are getting ready to move up to elementary school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C. 용어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장애 유아의 초등학교 전이에 대한 이해 = 7 1. 장애 유아 및 장애 위험 유아의 전이 = 7 2. 장애 유아의 초등학교 전이교육의 필요성 = 9 3. 유아교육 프로그램에서 초등학교 전이 전이프로그램의 동향 = 11 B. 학교준비도의 이해 = 15 1. 학교준비도의 개념 = 15 2. 초등학교 전이를 위한 학교준비도 = 18 C. 전이 계획에 대한 부모의 참여 = 24 1. 전이 계획시 부모 참여의 중요성 = 24 2. 초등학교 전이 계획에서의 부모의 역할 = 27 Ⅲ. 연구방법 = 30 A. 연구대상 = 30 B. 연구도구 = 32 C. 연구절차 = 37 D. 자료처리 = 37 Ⅳ. 연구결과 = 40 A. 장애 유아의 초등학교 진학을 위한 학교준비도에 관한 유치원 특수학급 부모의 인식 = 40 B. 장애 유아의 초등학교 진학을 위한 학교준비도에 관한 초등학교 저학년 특수학급 부모의 인식 = 43 C. 부모 집단에 따른 학교준비도 하위 영역별 준비기술에 대한 인식 차이 = 46 D. 장애 유아의 초등학교 진학을 위한 부모들의 지원 요구 = 47 Ⅴ. 논의 및 제언 = 50 A. 논의 = 51 B. 제한점 = 58 C. 제언 = 59 참고문헌 = 60 부록1. 장애 유아의 초등학교 진학을 위한 학교준비도 부모인식 질문지 = 67 부록2. 질문지 문항의 수정 및 추가, 삭제 = 72 부록3. 서울, 인천, 경기의 유치원 특수학급 표집대상 선정 = 76 부록4. 서울지역 초등학교 특수학급 표집대상 선정 = 78 부록5. 인천지역 초등학교 특수학급 표집대상 선정 = 78 부록6. 경기지역 초등학교 특수학급 표집대상 선정 = 79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483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장애 유아의 초등학교 진학을 위한 학교준비도에 관한 유치원 특수학급 및 초등학교 저학년 특수학급 부모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arents' Recognition on the Readiness for School to Entrance into an Elementary school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 Kindergarten Special Class and Lower Special Class of Elementary Schools-
dc.creator.othernameKim, Min Jung-
dc.format.pageⅷ, 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