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수연-
dc.creator유수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7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2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0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227-
dc.description.abstract자폐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있어서 비정상적인 발달을 보이면서 사회적인 활동영역과 관심영역이 제한되는 특성을 지닌 장애로, 이러한 자폐 아동의 사회적 능력의 결함은 자폐 아동의 통합을 방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유아교육기관에 자폐 아동들이 통합되는 경우가 계속 늘고 있어 자폐 아동과 일반 아동들이 같은 장소에서 함께 활동할 수 있는 기회가 점차 증가한다고 볼 때, 자폐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중재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수 있다. 이러한 자폐 아동과 같이 사회적 상호작용이 부족한 아동들을 위한 중재 방법 중의 하나로 또래주도 중재가 연구되어 왔으며, 이 중재방법이 효과적임을 많은 선행연구들이 보고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통합상황에서 유아교육기관의 교육과정 중 요리활동을 이용한 또래중재 방법이 자폐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는 3명의 자폐 아동과 자폐 아동이 속한 학급의 또래 아동 29명이 참여하였고, 세 명의 자폐 아동을 대상으로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요리활동은 대상 아동이 속해 있는 학급의 아동 전체가 참여하였으며, 전체 아동들을 4-5명씩 모둠을 구성하였고, 그 중 대상 아동 1명과 또래 아동 3명을 한 모둠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모둠은 2회기별로 재구성 하였으며, 이때 대상 아동 1명과 한 모둠이 되는 또래 아동도 재구성하여 학급 전체 아동들이 또래 중재자의 역할을 할수 있도록 하였다. 5회기 동안 사회적 상호작용 시작행동, 공유하는 행동, 요구하는 행동, 애정적인 감정을 보이는 행동, 지속하기 행동에 관한 또래 훈련을 실시하였고, 또래중재 훈련 후 자폐 아동과의 요리활동에서 또래 아동들이 대상 아동에게 중재전략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자료는 모든 실험조건에서 10분동안 또래들과 자유놀이 하는 자폐 아동을 직접 관찰함으로써 수집하였으며, 10초 간격의 부분간격 기록법으로 측정하였다. 유지 검사는 중재 종료 4주 후에 연속 4회기동안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선에서 낮은 발생률을 보이던 세 명의 자폐 아동들의 또래 상호작용 발생률이 요리활동을 이용한 또래중재가 시작된 후 증가하였다. 둘째, 세 명의 자폐 아동 모두 요리활동을 이용한 또래중재를 통해 증가된 또래 상호작용 발생률이 유지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요리활동을 이용한 또래중재가 자폐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을 증가시키고, 중재 효과를 유지시키는데 효과적이었음을 알수 있다. 본 연구는 또래중재가 자폐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적이었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반복적으로 입증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이 보고한 일반화와 유지가 어렵다는 또래중재의 단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또래중재자를 학급전체 아동으로 확대하였다는 점과 중재환경을 교육과정 내에서의 자연스러운 활동으로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수 있다.;One of the most prevailing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utism is their deficit in social interaction with other childre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peer mediated intervention using cooking activities on social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in natural school environments. Three children with autism and 29 actual classroom peers in natural school environment participated in the study. 29 actual classroom peers were trained to serve as helpers to initiate and maintain interactions with the subjects. All of 29 actual classroom peers participated in cooking activities. Each group was composed of 4 - 5 actual classroom peers, and each subject was assigned to the group with three actual classroom peers. The intervention was introduced sequentially across three children with autism in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nd a within subject partial time sampling was us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eer mediated intervention using cooking activitie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direct observation of a free activity period for ten minutes, using the partial time sampling every ten second. The maintenance effect were sequentially executed four times at four weeks follow up. Improvement was observed the increasing of frequency of peer interactive in three children with aut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direct behavioral observations during free activity time indicated that three children’s positive social interactions with peers and other class mate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intervention. Secondly, the frequency of three children’s social interactions during the intervention was maintained at 4 weeks follow up. Thes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eer mediated intervention using cooking activity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ocial interactions for children with autism again as previous researches. This study extends the literature by examining the impact of a peer intervention on the social interactions of children with autism in natural school environments with actual classroom pe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6 C. 용어정의 = 7 Ⅱ. 이론적 배경 = 8 A. 자폐 아동의 특성 = 8 1. 전반적 특성 = 8 2. 자폐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의 특성 = 12 B. 자폐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중재 = 14 1. 자폐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교수의 중요성 = 14 2. 또래를 활용한 중재 = 16 3. 요리활동을 이용한 중재 = 22 Ⅲ. 연구방법 = 25 A. 연구참여자 = 25 B. 실험기간 = 27 C. 실험환경 = 28 D. 실험설계 및 실험조건 = 28 E. 관찰 및 측정 = 33 F. 관찰자간 신뢰도 = 35 Ⅳ. 연구결과 = 37 A. 요리활동을 이용한 또래중재가 자폐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37 B. 요리활동을 이용한 또래중재가 증가된 자폐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유지에 미치는 효과 = 41 Ⅴ. 논의 및 제언 = 42 A. 논의 = 42 B. 제한점 = 46 C. 제언 = 47 참고문헌 = 48 부록 = 57 ABSTRACT =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817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요리활동을 이용한 또래중재가 자폐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peer mediated intervention using cooking activities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dc.creator.othernameYoo, Soo Yeon-
dc.format.pagevi,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