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은아-
dc.creator박은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1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47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9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479-
dc.description.abstract지원적이고 안정적이며 배려하는 학급공동체 조성의 핵심은 학급의 사회 심리적 환경이다. 학급의 사회 심리적 환경이라는 개념은 다소 미묘하고 막연하여 풍토, 분위기, 기풍이라는 말로 사용되어 오다가 1960년대 후반 학급풍토로 개념화되어 측정하고 분석되었다. 일반교육에서 학급풍토와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면 교사의 지도성, 아동들의 개인적인 특성, 교사와 아동 그리고 아동과 아동간의 인간관계가 상호 작용하여 학급 고유의 풍토가 조성되고, 그것은 다시 아동들의 지적, 정서적, 사회적 성장 및 발달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고 하였다. 특수교육대상 학생이 통합되어 있는 통합학급에 대한 학급풍토를 연구한 선행 연구는 거의 없으며 특수교육에서도 이와 같은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통합학급의 양적인 증가가 이루어진 지금 양적 증가와 함께 실제 통합학급 내에서도 질적인 진전이 있는지 통합학급과 일반학급의 차이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서울 지역 통합학급 및 일반학급 초등학생들이 지각한 학급풍토의 하위 요인 점수의 전체적인 분포를 살펴보고, 통합학급과 일반학급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급풍토의 하위 요인 점수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지역의 공립초등학교 5학년 통합학급 93학급의 학생 1516명과 일반학급 83학급의 학생 1219명의 총 2735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여 연구결과를 얻었다. 연구도구는 통합학급과 일반학급의 학급풍토를 측정하기 위해 Fraser, Anderson과 Walberg(1982)의 나의 학급 척도(MCI: My Class Inventory)를 심계화(2004)가 한국 실정에 맞게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결과분석은 통합학급 및 일반학급의 학급풍토의 하위 요인 5가지에서 차이를 검증하기위해 독립변인 t검정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 지역 통합학급과 일반학급의 전체적인 학급풍토를 살펴보면 통합학급과 일반학급의 문항점수의 순위는 총 21문항 중에서 12문항의 순위는 동일하였고 9문항의 순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문항점수의 차이가 나타난 것은 4위부터 10위까지와 19위, 20위의 문항이다. 둘째, 서울 지역 통합학급과 일반학급의 학급풍토 하위 요인의 중앙값은 같았으나 분산은 통합학급이 일반학급에 비해 더 컸으며, 사분위간 범위는 통합학급이 일반학급보다 갈등 요인과 응집력 요인에서 길게 나타났다. 셋째, 통합학급과 일반학급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급풍토는 만족도 요인에서 통합학급이 일반학급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넷째, 통합학급과 일반학급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급풍토는 곤란도 요인에서 통합학급이 일반학급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통합학급과 일반학급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급풍토는 갈등, 경쟁성, 응집력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서울 지역 초등학생이 지각한 통합학급의 학급풍토는 일반학급의 학급풍토에 비해 긍정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통합학급에서 함께 교육받는 일반학생들은 학부모나 교사가 염려하는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통합학급과 일반학급의 심리 사회적 환경인 학급풍토를 비교하여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A core element for establishing a classroom community that is supportive, stable and considerate is the classroom's psycho-social environment. The concept of the classroom's psycho-social environment was somewhat subtle and obscure. Therefore, it was referred to be as climate, atmosphere, or spirit before being conceptualized as classroom climate in the late 1960s and then measured and analyzed. Researches on classroom climate in regular education showed that a teacher's leadership,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and relationship among students interact to create peculiar classroom climate. As a result, it exerts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intellectual, sentimental and social growth and development. However, few researches have dealt with classroom climate of inclusive classroom containing students with special needs, neither in special education. Thus, it would be meaningful to examine whether there has been any progress in quality of inclusive classroom along with the quantitative growth and to investigate any differences between inclusive classroom and regular classroom. This research finds overall statistic distribution of five sub-factors (friction, cohesiveness, satisfaction, difficulty, and competitiveness) of classroom climate perceived by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and regular classroom students in Seoul and differences on five sub-factors of classroom climate in comparison with statistic values. The research conducted a survey involving a total of 2735 students (5th grade of 1516 students in 93 inclusive classrooms and 1219 students in 83 regular classrooms at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s for research instruments, Sim, Gye-hwa's adapted Korean version (2004) of My Class Inventory (MCI) made by Fraser, Anderson and Walberg (1982) was employed to measure classroom climate of inclusive classroom and regular classroom. In order to analyze the survey results, independent t test was performed to verify differences in five sub-factors of classroom climate between inclusive classroom and regular classroom.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examination of the overall classroom climate of inclusive classroom and regular classroom in Seoul showed that out of 21 total questions there are value differences in 9 questions which are from 4th to 10th, 19th, and 20th questions between the inclusive and regular classroom. Second, between two classes, median values of five sub-factors were equal. However, variance was greater in inclusive class than in regular class. Interestingly, interquartile range was greater in friction and cohesiveness factor than in other 3 sub- factors. Third, in satisfaction factor, inclusive class has higher value than regular class in statistical analysis. Fourth, in difficulty factor, inclusive classroom has lower value than regular classroom in statistical analysis. Fifth, in friction, cohesiveness, and competitiveness factors, there are no differences between two classes in statistical analysis.In conclusion of this research, classroom climate in inclusive classroom has more positive effects than in regular classroom. Therefore, it can be implied that non-disabled students in inclusive classroom do not get negative effects which parents and teachers may concern. This survey drew meaningful conclusion with comparison and analysis of classroom climate of inclusive and regular classroo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통합교육과 학급풍토 = 6 1. 통합교육 실행과 학급의 사회 심리적 환경 = 6 2. 학급풍토의 개념 = 9 3. 학급풍토의 측정 = 11 4. 학급풍토가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 20 B. 통합학급의 학급풍토에 영향을 주는 요소 = 23 1. 교사 변인 = 23 2. 특수교육대상 학생 변인 = 25 3. 학급 크기 변인 = 26 Ⅲ. 연구방법 = 28 A. 연구 대상 = 28 B. 연구 도구 = 32 C. 자료수집 절차 = 36 D. 자료처리 방법 = 38 Ⅴ. 연구결과 = 39 A. 서울 지역 통합학급과 일반학급 학급풍토의 전체적인 자료 분포의 차이 = 39 B. 서울 지역 통합학급과 일반학급 학급풍토의 하위 요인 점수의 차이 = 45 Ⅵ. 논의 및 제언 = 46 A. 논의 = 47 B. 제한점 및 제언 = 49 참고문헌 = 50 부록 = 60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611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서울 지역 통합학급 및 일반학급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급풍토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arison of Climates of Inclusive and Regular Classroom Perceived by Elementary Students in Seoul-
dc.creator.othernamePark, Eun Ah-
dc.format.pageviii,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