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경민주-
dc.creator경민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8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3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89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342-
dc.description.abstractInclusive educ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uld meet the physical educational needs and ensure educational quality to achieve instructional inclusion as well as psychological inclusion. General classroom teachers’ role has been emphasized for this instructional inclusion. In this manner, as the importance of general teachers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increasing, interest in teacher efficacy and instructional adaptation is increasing. Therefore, the correlation of teacher efficacy and instructional adaptation according as the variables of background of teachers in general classroom inclusiv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 the composition status of general classroom, and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In this research, all 280 general teachers of inclusive classroom, in which some students also study in special classroom, were to conduct a survey, and the returned 20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s a research tool, teacher efficacy questionnaire of Kim (2003) which is a modified and complementary version of Gibson and Dembo (1984) and instructional adaptation questionnaire which is made 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Park (1999) and referring to the previous research were used. Simple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t-test, Scheffe’s method,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eacher efficacy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found to be normal and teacher efficacy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as the variables of the background of teachers, composition status of general classroom,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degree of instructional adaptation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found to be normal and the degree of instructional adaptation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as the variable of the background of teachers, and instructional adaptation of general classroom teachers was higher in children with mild and moderate disabilities. Third, teacher efficacy and the degree of instructional adaptation of teachers in general classroom inclusiv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wed high degree of correlation.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schemes to increase teacher efficacy which turned out to be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instructional adaptation should be considered. And it is needed to develop and apply various instructional adaptation programs which are applicable to the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for the purpose of their inclusive education. The training of realistic and field-applicable special education and inclusive education is urgent in order that general teach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crease their teacher efficacy and adapt instruction suitable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장애아동의 통합교육은 물리적, 심리적 통합 뿐 아니라, 실제적인 교육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교육의 질을 확보할 수 있는 교수적 통합까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학업적 통합을 위해 장애아동이 통합되어 있는 일반학급 교사의 역할이 강조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교사의 중요성이 증대되면서, 일반교사가 장애아동을 가르치는 자신의 능력에 대하여 갖는 신념인 교사효능감과 장애아동의 다양한 요구와 학습 환경에 맞춘 차별화 교육을 위하여 수행하는 교수적 수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동이 통합된 일반학급 교사의 배경 변인과 장애아동이 통합된 일반학급의 아동 수 및 장애아동의 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교수적 수정 정도의 차이와 교사효능감과 교수적 수정 정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모교육청에 소속되어 있는 일반교사 중 특수학급에 입급 된 아동이 있는 모든 통합학급 일반교사 2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회수된 208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여 결과를 얻었다. 연구도구는 Gibson과 Dembo(1984)가 제작한 교사효능감 설문지를 김주혜(2003)가 수정?보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교수적 수정 정도에 관한 설문지는 박승희(1999)의 교수적 수정에 관한 개념을 기초로 선행연구들을 참고,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에는 단순빈도분석, 일반분산분석, t검정, Scheffe, Pearson 적률상관계수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에 대한 통합학급 일반교사의 교사효능감은 ‘보통’ 정도이며, 교사의 배경변인과 장애아동이 통합된 일반학급의 아동 수 및 장애아동 변인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장애아동에 대한 통합학급 일반교사의 교수적 수정 정도는 ‘보통’ 정도이며, 교사의 배경 변인과 장애아동이 통합된 일반학급의 아동 수에 의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장애아동 변인인 장애아동의 장애 정도가 경도, 중등도일 때 일반학급 교사의 교수적 수정 정도가 높았다. 셋째, 장애아동이 통합된 일반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수적 수정 정도는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일반교사의 교수적 수정 정도를 높이기 위하여 교수적 수정 정도와 관계있는 요인으로 밝혀진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고려해야 하며, 중도 장애 아동들의 성공적인 통합을 위하여 중도 장애아동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적 수정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그에 따른 교육이 이루어 져야하고, 일반교사들의 장애아동에 대한 교사효능감을 높이고 일반교사들이 장애아동에게 알맞은 교수적 수정을 할 수 있도록 실제적이고 현장 적용이 가능한 특수교육 및 통합교육 관련 연수가 시급하다는 것을 본 연구는 시사해 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C. 용어의 정의 = 5 II. 이론적 배경 = 7 A. 교사효능감 = 7 B. 교수적 수정 = 13 III. 연구 방법 = 20 A. 연구 대상 = 20 B. 연구 도구 = 21 C.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 27 D. 자료처리 및 분석 = 28 IV. 연구 결과 = 29 A. 장애아동이 통합된 일반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 차이 = 29 B. 장애아동이 통합된 일반학급 교사의 교수적 수정 차이 = 38 C. 장애아동이 통합된 일반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수적 수정 정도의 상관관계 = 49 V. 논의 및 제언 = 50 A. 논의 = 51 B. 연구의 제한점 = 55 C. 제언 = 56 참고문헌 = 57 부록 = 69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372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장애아동이 통합된 일반학급 교사들의 교사효능감과 교수적 수정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eacher Efficacy and Instructional Adaptation of Teachers in General Classroom Inclusiv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dc.creator.othernameKyung, Min Joo-
dc.format.pageviii,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