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3 Download: 0

또래아동-주도의 사회적 시작행동 중재와 자폐아동-주도의 사회적 시작행동 중재가 자폐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일 연구

Title
또래아동-주도의 사회적 시작행동 중재와 자폐아동-주도의 사회적 시작행동 중재가 자폐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일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an Effect on the Intervention of Increasing Social Interac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Authors
윤선아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또래아동시작행동자폐아동상호작용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wo interventions-peer initiation intervention and target child initiation intervention- on the social interac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For this purpose, two children with autism and eight nonhandicapped peers were selected from one kindergarten. This study used a multiple baseline desig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fter training to initiate social interaction with child, during peer initiation intervention, two nonhandicapped peers were paired one child with autism to increase social interaction in triads. Trained nonhandicapped peers were resulting in an increase in social interaction with all target children, but an unchanging in social initiations of children with autism. 2. During target child initiation intervention, children with autism were trained to initiate social interaction with nonhandicapped peers. After two target children with autism were taught the way how to initiate social interaction with peers, these children made initiations to elicit interactions in the same triads. And they showed higher mean percentage data of social interactions than those of baseline sessions data. 3. Maintenance data showed that target children's social interaction with nonhandicapped peers maintained somewhat. 4. Target children's social initiation to peers generalized to untrained peers somewhat. But mean Percentage of their social interactions with untrained peers were remained low.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suggest that not only peer social initiations but also teaching the children with autism to initiate may be effective at increasing social interaction for children with autism.;자폐 아동의 또래 아동과의 사회적 관계 형성의 어려움은 자폐 아동의 성장과 발달뿐 아니라, 자폐 아동의 성공적인 통합을 방해하므로, 자폐 아동의 또래 아동과의 사회적 상호 작용을 증가시키기 위한 중재는 자폐 아동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중요한 영역이 되어 왔다. 특히 자폐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가시키기 위해 정상 또래 아동을 중재에 참여시키는 것은 특수 교육이 지향하는 궁극적인 목적인 통합에 보다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폐 아동과 또래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증가시키는 데 목적을 두고, 또래 아동 사회적 시작 행동 중재(peer social initiation intervention)와 자폐 아동 사회적 시작 행동 중재(target child initiation intervention)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는 생활 연령 6세, 7세인 두 명의 자폐 아동과 8명의 7세 정상 또래 아동들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다 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여, 자폐 아동들과 또래 아동들을 대상으로, 또래 아동 주도의 사회적 시작 행동 중재와 대상 자폐 아동 주도의 사회적 시작 행동 중재를 실시하였다. 또래 아동 주도의 사회적 시작 행동 중재를 위해, 또래 아동 4명을 자폐 아동에게 사회적 시작 행동을 하도록 훈련받았으며, 훈련 받은 4명의 또래 아동은 각 두 명씩, 자폐 아동 한명과 짝이 되어 훈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중재 기간동안 관찰되었다. 또래 아동 주도의 중재가 끝난 후, 대상 자폐 아동 두 명은 또래 아동에게 사회적 시작 동을 하도록 훈련받았으며, 훈련 후 실시된 대상 자폐 아동 시작 행동 중재에서는, 훈련 받은 두 명의 자폐 아동과 또래 아동 주도의 사회적 시작 행동 중재에 함께 참여 했던 또래 아동들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관찰되었다. 중재의 일반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폐 아동에 대한 중재 효과가 다른 또래 아동에게도 일반화되는 가를 관찰하였으며, 중재가 끝난 뒤 중재 효과가 유지되는 가도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 아동 시작 행동 중재를 실시한 결과, 훈련 받은 또래 아동들은 자폐 아동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가시켰다. 둘째, 자폐 아동 시작 행동 중재를 실시한 결과, 또래 아동 사회적 시작 행동 중재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자폐 아동의 사회적 시작 행동이 증가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자폐 아동의 또래 아동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또래 아동 사회적 시작 행동 중재 기간보다 증가하였다. 셋째, 또래 아동 사회적 시작 행동 중재와 자폐 아동 시작 행동 중재를 통해 증가된 자폐 아동과 또래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유지검사에서 중재 기간보다는 감소되었으나 기초선보다는 증가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유지 기간동안 자폐 아동 A에 의해 시작된 상호작용은 유지 기간의 네 번째 회기부터 점차 증가되었으며, 자폐 아동 B는 사회적 시작 행동은 있었으나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연결되지는 못했다. 넷째, 자폐 아동 훈련전인 일반화 1상황에서는 자폐 아동의 사회적 시작 행동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자폐 아동과 또래 아동과의 사회적 상호작용도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일반화 2상황에서는 자폐 아동의 사회적 시작행동은 있었으나, 교사의 촉진이 있었던 자폐 아동 시작 행동 중재 기간동안의 결과보다는 낮은 발생율을 보였으며, 사회적 상호작용에 있어서도 두 아동모두 10%이하의 낮은 발생율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의 중재 방법인 또래 아동 시작 행동 중재 실시 후 자폐 아동 시작 행동 중재를 실시한 것은, 적어도 본 연구에 참여한 자폐 아동 두 명에게는 자폐 아동과 또래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가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자폐 아동과 또래 아동을 훈련시킨 결과, 한 달 후의 유지 검사에서 자폐 아동과 또래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중재 기간보다는 감소되었으나, 기초선 기간보다는 증가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유지기간이나 일반화상황에서 교사의 촉진이 주어지지 않았을 때, 자폐 아동의 사회적 시작 행동은 교사의 촉진이 주어졌을 때보다 감소되었으며, 훈련 받지 않은 또래 아동과의 일반화 상황에서 자폐 아동과 또래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낮은 발생율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중재 방법에서 나타난 결과를 기초로, 자폐 아동의 또래 아동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가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에서 또래 아동을 훈련시키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으며, 자폐 아동의 사회적 시작 행동이 교사의 촉진이 주어지지 않았을 때 유지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한다면, 자폐 아동의 또래 아동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는 중재 프로그램으로 활용하여, 자폐 아동의 정상 또래 아동과의 사회적 통합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