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서미영-
dc.creator서미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8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8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98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9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986-
dc.description.abstract후기 산업사회에 접어들면서 현대인들은 기존의 물질주의적이고 소비지향적이며, 여유있는 생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개인의 감성과 창조성이 중시되면서 고도화된 감성적 방향으로 지향하게 되었다. 따라서 물질적 풍요에 도달하면 정신적 풍요로 인간의 욕구가 옮아가게 되는데, 이것은 인간을 위한 사회로 승화시킬 뿐 아니라 보다 인간에게 친밀감을 줄 수 있는 제품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에 팬시(Fancy) 제품은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산업(Social Communication industry)으로써, 감성시대에 호소하고픈 인간 본연의 욕구를 표면화시키며, 휴머니티(Humanity)에 바탕을 두고 소비시장에 진출하기 시작했으나, 판매량의 증가만을 노리는 일부 팬시 업체의 얄팍한 상술의 편승과 소비지향적인 추세를 감안하여 볼 때 팬시의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다 휴머니티(Humanity)에 입각한 올바른 팬시문화 정착을 위하여 팬시의 진정한 의미와 팬시의 실태 및 현황조사를 통해 주소비층인 신세대와 그들의 문화를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상업주의적 오류로 팬시제품의 기능성 및 실용성이 결여되어 있음이 확인되었고, 앞으로 소비시장을 주도해 갈 신세대의 중요성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중심으로 해결안을 Ⅳ장에서 제시하여 보았으며, 시대적 산물이라 할 수 있는 팬시문화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 기업과 디자이너의 끊임없는 개발과 투자 및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In modern society, where it has become possible for us to free ourselves from the yoke of a materialistic environment, people have come to think that freedom, affluence, leisure, individual sensitivity and creativity are much more important than before. At the same time, they have come to aspire to a higher level of individuality and sensitivity which are representations of individual originality. Therefore, when people reach a high level of material affluence they need more mental stimulation to make it possible for us to adapt to society on a more human level. We are giving much attention to produts which are more adapted to human beings. As, for Fancy products, though, in they began to meet the innate needs of human beings who would like to appeal to an era of sensitivity. They also tried advance the consumer market to cover a wider range of people, using the average commercial technique of some Fancy companies which tries to increase only sales volume following the consumption-oriented trends. So, many problems of the Fancy product industry have risen to the surface. Hence, this study has sought to analyze the new generation which comprises the major consumers; their consumption culture on the basis of suggestions from Fancy's actual condition survey; and Fancy's present state survey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desirable Fancy culture based on more people than before.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functionality and practicality of Fancy products are lacking due to people's cormmercialistic inclination. Furthermore, the importance of the new generation, which is expected to lead the consumption market of Fancy products in the near future, has been discovered. The study tries to suggest solutions to the problems which were discovered from the result of analysis in chapter Ⅲ. And finally, this study concludes that is it desirable that continuous study as well as continued development and investment by the company designers should lead to the rightful establishment of a Fancy culture which produces products of this er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Ⅱ. 팬시(Fancy) 제품의 이론적 배경 = 4 A. 팬시(Fancy) 제품의 어원적 해석 = 4 B. 팬시(Fancy)의 역사적 배경 = 5 Ⅲ. 제품으로 본 팬시(Fancy)의 고찰 = 11 A. 디자인(Design)의 의미 = 11 B. 제품의 의미 = 12 C. 제품으로서의 팬시(Fancy)의 의미 = 20 Ⅳ. 제품으로서의 팬시의 역할 = 26 A. 사회ㆍ문화적 측면에서의 팬시(Fancy) = 26 B. 기업적 측면에서의 팬시(Fancy) = 29 C. 소비자(消費者) 측면에서의 팬시(Fancy) = 36 Ⅴ. 현사회의 현상 및 특성 = 40 A. 사회적 현상 및 특성 = 40 B. 신인류의 특성 = 44 C. 신인류의 소비의식 = 54 Ⅵ. 결론 = 59 참고문헌 = 62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619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팬시제품-
dc.subjectfancy Design-
dc.subject팬시디자인-
dc.subject제품디자인-
dc.title팬시(Fancy)製品 Design 方向에 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DESIGN DETECTION OF A FANCY PRODUCT-
dc.format.pageviii, 65 p. : 삽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제품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1.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