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7 Download: 0

생산유통연계 판매망 구축 프로그램이 고등부 특수학급 학생들의 직업인식과 자기결정에 미치는 영향

Title
생산유통연계 판매망 구축 프로그램이 고등부 특수학급 학생들의 직업인식과 자기결정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career awareness and self-determination of a sales network building transition program connected with producation, circulation for students with Mild disability in transition period
Authors
송은주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학교에서 성인생활로의 성공적인 전환은 고등부 장애학생들에게 고용, 독립생활, 자기 결정력, 사회기술 등을 얻게 해준다. 그러나, 전환기의 장애학생들이 학교를 마친 후에도, 낮은 취업률, 낮은 임금, 사회활동 참여 부족, 소극적인 여가활동 등의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로 인해 장애학생들이 학교에서 사회로의 성공적인 전환의 성과를 거두기 위한 효과적인 전환교육프로그램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전환기에 있는 장애학생들에게 성공적인 전환성과를 얻게 하기 위한 전환교육의 실제적인 요소로 Morningstar와 동료들(1999)은 고용기술 교수, 지역사회 기술 교수의 확대, 직업인식, 자기 결정 교수, 가족 참여의 보장과 관련기관의 협력 등이 구비되어야 한다고 하였으며, 더욱이, 장애학생들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교육적 접근인 자기 결정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자기 결정과 관련된 기술의 발달의 결정적 시기는 청소년기이며, 이러한 청소년기는 성인기에 갖추어야할 능력인 자기 인식, 직업 탐색과 진로 결정, 직업의 경험 그리고 직업의 선호도 등을 갖추어야 할 시기이다. 청소년기에 자신의 직업적 관심과 능력을 인식하고 미래의 목표를 세우고, 선택, 준비하는 직업 인식 능력과 독립성, 자율성을 향상시켜야 함에도 불구하고, 고등부 특수학급 학생들의 교육은 문자지도나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초 지식 전달수준에 머물고 있으며(이원우, 2003), 특수학급 졸업자의 낮은 취업률과 취업과 연계되는 지역사회 중심의 직업교육 프로그램의 부재, 성인생활 준비에 필요한 낮은 직업인식의 문제(정희섭 외, 2005)등이 논의되고 있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고등부 특수학급 학생들의 학교에서 성인생활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해 학교중심의 직업교육에서 벗어나 지역사회 중심의 현장교육, 농촌의 지역사회 특성을 고려한 전환교육과 전환교육의 실제적인 요소(자기 결정 교수, 직업인식, 가족 참여의 보장, 지역사회 기술 교수와 관련 기관의 협력 등)가 포함된 생산유통 연계 판매망 구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생들이 농산물 생산부터 지역사회 현장에서 전통판매방법을 이용한 소득창출까지의 과정을 통해 전환기에 있는 장애 학생들의 직업인식과 자기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수원, 화성 지역 4개 고등부 특수학급에서 전환교육을 받는 고등부 특수학급 학생들 중 경도 정신지체 학생 40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20명씩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생산유통 연계 판매망 구축 프로그램을 직업 시간에 제공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기존의 직업 기술 훈련, 지역사회 적응을 위한 교육을 제공하였다. 실험절차는 사전검사, 중재, 사후검사의 순서로 이루어졌으며, 직업시간인 일주일에 5회기씩( 한 회기에 2시간), 3개월간에 걸쳐 총 71회기가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생산유통 연계 판매망 구축 프로그램은 Broline의 생활중심 진로교육모형(LCCE, 1992), Clark의 포괄적 전환모형(Clark, 1998)과 이달엽 외(2004)의 지역사회적응기술 척도 그리고 유통이론에 대한 연구(윤명길 외, 2003)을 기초로 하여, 직업기초학습기능, 생산유통 판매망 구축 기능, 일상생활 기능, 부모와 자원봉사자 지원망 형성기능으로 구성되어 중재를 실시하였다. 중재 후 직업인식력을 알아보기 위한 검사 도구는 이기학, 한종철(1997)이 개발한 진로태도 성숙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자기 결정 향상을 알아보기 위한 검사 도구는 미국의 OSRES(The United States office of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Service)에서 지원하여 개발된 자기 결정검사를 류숙렬(2002)이 번안한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생산유통 연계 판매망 구축 프로그램에 대한 중재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하였으며, 중재프로그램 실시 전의 사전검사 점수와 실시 후의 사후검사 점수의 차이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t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 스스로 자신의 직업인식력을 평가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직업인식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인식의 하위영역인 직업결정성, 준비성, 독립성면에서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생 스스로 자신의 자기 결정을 평가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 결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 결정을 구성하는 하위 영역인 자기 결정역량과 자기 결정기회 모두에서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 보다 높이 평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가 자녀의 자기결정을 평가한 결과, 자기 결정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자기 결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들이 자녀들의 자기 결정 행동에 대한 인식 뿐만 아니라 학교와 가정에서의 자기 결정기회에 있어서도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평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생산유통 연계 판매망 구축 프로그램을 통해 고등부 특수학급 학생들의 직업인식과 자기결정이 향상되었음이 검증되었고, 생산 유통 연계 판매망 구축 프로그램이 고등부 특수학급 학생들의 전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자기 결정과 직업 인식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본 연구 프로그램 같은 지역사회를 이용한 현장 중심적이고, 지역 특성에 적합하며, 직업적 경험과 활동을 포함한 실제적인 전환교육프로그램의 계획과 실행을 통해 고등부 특수학급 학생들이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성인생활로의 전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적 접근으로 활용되어야 하겠다.;Successful transition from school to adult life can be taken employment, independent living, self-determination and social skill for student with disability in transition period. but after completing the transition program, The results of special education so as high unemployment, low wages, the deficit of participation in society activity and passive recreation activity make people connected with the special education to focus on effective transition program consisted of self-determination which can be accelerated Independence and autonomy. The crucial period of developing the self-determination, adolescence is the time of preparing with the ability on self-awareness, vocational exploration, vocational determination, vocational experience and vocational preference Unless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in adolescence should set up their purpose of future, realize the vocational interest and ability and improve their vocational awareness capacity, independence, the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are focused on teaching the basic letter and the basis knowledge related with daily living and it is discussed problems of special education like low employment rate of student with disability, low vocational awareness about the preparation of adult living and practical transition program related with community institution absence. On the basis of literature, This study is for transiting successfully to the student with disability in transition period from school to adult living, to develop sales network building transition program related with production·circulation network which is the field-centered education related with community institution escaping school-centered transition, transition program considering agricultural district characteristics and practical factors of transition program( self-determination, vocational awareness, family participation community skill instruction, the cooperation of community institution) and the purpose of the verifying the effect on the career awareness and self- determination through the process that the student with disability in transition period produce agricultural products, sale them on community field using transitional sale method and eventually make their outcome. The participants of the current study were 40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in secondary special education: 20 students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20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sales network building transition program connected with production·circulation as the intervention,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nly. That is,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the current transition program. The experiment was composed of pre-test, intervention, and post-tes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5 times( one times is two hours) per week for the total 71 sessions for 3 month period. The sales network building transition program related with production· circulation as the intervention in this study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Broline's life-centered transition program model and Clark's comprehensive transition program, Lee et al.'s community application measures and the study of circulation market. The program developed in the current study consisted of 4 items : the skill of the basis vocational learning, the skill of building sales network connected with production·circulation, daily living skill and the skill of parent and volunteer support network. career and attitude scales measures developed with Lee, Gee Hak and Han, Gong Chel(1997) was used for any change in the level of career awarenes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and revised AIR Self-Determination Scales by Rhyou, sook Ryeol(2002) was employed to determine any change of the self- determination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This pre-and-post 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employed to test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program. T-test was employed to test the sales network transition program connected production·circulation for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in the transition period. The results from current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student evaluation, improvement on the level of career awareness was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fter sales network building transition program connected with production·circulation. the sub-items of career awareness ; vocational determination, vocational preparation, independence was improved significantly rater than the control group. 2. According to the student evaluation, improvement on the level of self-determination was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fter sales network building transition program connected with production·circulation. Self-determining behaviors, awareness, and opportunity for self-determination in both schools and home settings were evaluated as significantly bett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3. According to the parent evaluation, improvement on the level of self-determination, statistically self-determining behaviors and opportunities in both schools and home settings, was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fter a sales network building transition program connected with production·circulation was excused. Findings from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 that sales network transition program connected with production·circulation had an effect on improving career awareness and self-determin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during transition period. The findings from the current study further suggest that site-centered and province characteristic transition program including vocational experience and activity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in order to establish effective transition from school to adult lives that are autonomy and independence adult liv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