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0 Download: 0

컴퓨터 보조학습의 학습통제 유형이 정신지체아의 단어판별 학습에 미치는 효과

Title
컴퓨터 보조학습의 학습통제 유형이 정신지체아의 단어판별 학습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Type of Instructional Control in Word identification CAI for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uthors
서우정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컴퓨터 보조학습학습통제 유형정신지체아단어판별 학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특수교육에서의 컴퓨터 보조학습의 적용 및 효율성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컴퓨터의 활용방안과 함께, 프로그램의 질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컴퓨터 보조학습 프로그램 설계에서 핵심적인 변인 중의 하나인 '학습계열에 대한 통제권을 누구에게 줄 것인가'에 대한 논의는 전통적인 수업에서부터 계속되어 왔다. 학습자에게 자신이 학습의 주체로서 능동적인 학습을 하도록 유도하는 학습자 통제가 강조되어 왔으나, 지금까지 진행된 학습통제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뚜렷한 유형의 효과를 밝혀내지 못하고 있으며, 학습자의 개인변인과 학습과제의 변인에 따라서도 다른 효과를 가져 왔다. 이에 특수아동의 특성에 적합한 학습통제 유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아동을 위한 단어판별 컴퓨터 보조학습에 있어서 적합한 학습통제 유형을 알아보고자, 학습계열에 대한 프로그램 통제 CAI를 받은 집단과 학습자 통제 CAI를 적용한 집단과의 학업수행에 있어서 효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선정된 특수학교 재학중인 20명의 중등도 정신지체 학생은 각각 10명씩 두집단으로 나뉘어 20개의 일견단어를 각 학습통제 유형별로 컴퓨터 보조학습을 하였다. 매 20분씩 12회기의 중재 이후, 별도로 제작된 평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단어판별의 정답반응 수와 정답반응 시간을 사후 평가하였으며, 1주일 후에 파지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처치 후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서 두 집단의 정답반응 수와 정답반응 시간의 사전사후 차의 차를 t 검증하였고, 파지도를 비교하기 위해서 두 집단의 평균 정답반응수와 평균 정답반응 시간의 차이를 t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단어판별 CAI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정답반응 수에 대하여 프로그램 통제를 적용한 집단이 학습자 통제를 적용한 집단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단어판별 CAI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정답반응 시간에 대하여 프로그램 통제를 적용한 집단이 학습자 통제를 적용한 집단에 비해 더 감소하였으나, 두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3. 실험완료 1주일 후의 파지검사에서 프로그램 통제를 적용한 집단과 학습자 통제를 적용한 집단간에는 정답반응 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실험완료 1주일 후의 파지검사에서 프로그램 통제를 적용한 집단과 학습자 통제를 적용한 집단간에는 정답반응 시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정신지체 학생의 단어판별 자동화를 획득하기 위한 반복연습형 CAI 프로그램의 학습통제 유형은 프로그램 통제가 학습자 통제에 비해 높은 수행을 가져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신지체 학생을 위한 단어판별 CAI의 학습통제는 학습자 통제보다 프로그램 통제가 더 효과적이라고 하겠다. 이는 정신지체 학생을 대상으로 한 CAI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개발자가 대상자의 특성과 수행 정도를 보다 더 고려하여 설계해야 됨을 시사한다.;Learning control has been a major research topic in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CA1) as well as in traditional teaching and learning. With regard to determimg learning control in CAI,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and learning task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ve the effectiveness of learner control and program control of sequence in CAI on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CAI in this study was drill and practice mode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o develop automacity of sight word identification. To achieve these purposes, 20 subjects were selected from elementary students with moderate mental retardation divided into two groups: the one were assigned to the program control condition and the other to the learner control condition. After 12 sessions, comparison of word identification skill between the two groups were made with respect to mean score of correct responses and mean score of correct response time and the retention test was administered 1 week after the last sess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The study concluded are the following: 1.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learner control group and the program control group in correct response number on the post-test. 2.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learner control group and program control group in correct response time on the post-test. The program control group achieved more than learner control group in the speed of correct response, bu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of learning control groups. 3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learner control group and the program control group in correct response number on the retention test. 4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learner control group and the program control group in correct response time on the retention tes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