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0 Download: 0

일반 형제의 장애 형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Title
일반 형제의 장애 형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Authors
김은주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장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Recent special educational approaches to handicapped chilren are based on the ecological approach which emphases interaction handicapped children and all the environment elements around handicapped chilren rather than the personal approach. In this foundation, services for all the family members are demanded and nonhandicapped siblings' needs are interested by researchers. Consequently, certain strategies are necessary to keep family hamonization and happiness between nonhandicapped siblings and handicapped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variables, which are sex, age, siblings' birth order, mothers' attitude to the handicapped children, the handicapped childrens' type and severity of handicapped and environment elements influence on nonhandicapped siblings' acceptance, hostility, support and embarrassement to handicapped children. The sample size of this survey was 212 nonhandicapped siblings of mental retarded children and autism children who are attending preschool or elementary school in Seoul.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four, 1) fundamental information for handicapped children and family having handicapped children, 2) mothers' attitudes to handicapped children and handicapped severity (QRS contract), 3) HOME (Home Observation for Measurement of the Environment), 4) Schaeffer Sibling Behavior Rating Scale. Each questionnaire was collected by mother's respons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1.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groups of sex, birth-order in nonhandicapped sibling's attitudes to the handicapped. In order words, nonhandicapped sibling's hostility and embarrasement to handicapped children between younger group and older group of elementary school showed notably. Younger group of elementary school and preschool children to handicapped children reacted more negatively than older group of elementary school.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iblings' group of mother's higher pessimistic attitudes to the handicapped and the siblings' group of mother's lower pessimistic attitudes in nonhandicapped sibling's hostility and embarrassment. That is. mother's pessimistic attitudes to the handicapped affected nonhandicapped sibling's negative attitudes.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iblings' group of mental retardation and autism children in nonhandicapped sibling's hostility. That is, the sibling group of mental retarded appeared more hostilitic than the sibling group of autism.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groups of severity levels in nonhandicapped sibling's attitudes.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of home environment stimulus variables in nonhandicapped sibling's behaviors. That is, the higher sibling appeared less hostilitic and embarrassed than the lower sibling in emotional climate, breadth of experience, and aspects of physical environment of home. Summing up the above results, mother's pessimistic attitudes to handicapped children has close links with nonhandicapped sibling's attitudes to handicapped children. This result shows that mother's attitudes should be considered in aspects of keeping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handicapped children and nonhandicapped siblings breaking past fixed concept that education and service are only important to handicapped children. Furthermore, the result which older nonhnaicapped siblings behaved less hostilistic to handicapped children than younger nonhandicapped siblings shows that older nonhandicapped siblings become to be possitively as getting mutual human relationship. Furthermore, earlier professional consultation is needed to make handicapped childrens' positive adaptaiton and keep harmonious relationship among family members. Lastly, for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handicapped childrean and nonhandicapped siblings, various kinds of experiences should be requested and enough physical environment, loving and interest to sibling should be supplied.;최근 특수교육계에서는 장애아 교육에 있어서 장애아 개인에 대한 접근보다는 아동의 환경을 구성하는 각 요소간의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생태학적 접근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장애아의 가족전체에 대한 서비스가 고려되고 있는데, 그 중 가족의 한 구성원으로서 장애아의 일반 형제들에게도 관심이 주어져야 한다고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와 장애아의 일반 형제, 그리고 가족 모두의 행복을 위해 일반 형제들이 장애아와의 관계를 원만히 이루어 나가도록 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보고 일반 형제들이 장애 형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려고 하였다. 그리하여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형제의 성별, 출생순위, 연령 및 연령터울, 부모의 장애아에 대한 태도, 장애아의 장애유형 및 장애 정도, 가정환경자극 변인들에 따라 장애 형제에 대한 일반 형제들의 수용, 적대, 지지, 당황에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살펴 보았다. 본 조사 연구를 위한 대상자는 서울시내 16개 특수교육기관에 다니는 정신 지체아와 자폐아의 일반 형제로 학령전이거나 국민학교에 재학 중인 아동 212명이었다.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한 질문지는 4가지로, 장애아와 장애아 가정의 기초 정보에 관한 질문지, 장애아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와 장애아의 정도를 알아보는 질문지(QRS척도의 단축형), 가정환경자극점사지(HOME), 장애 형제에 대한 일반 형제의 행동을 어머니가 평정하는 척도 등이었고, 각 질문지는 연구대상의 어머니가 정정하거나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와 일원변량분석으로 처리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형제의 성, 출생순위에 따라 일반 형제가 장애 형제에 대해 나타내는 태도에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형제의 연령에 따라 일반 형제의 장애 형제에 대한 태도에서 차이가 있었다. 즉 학령전, 국민학교 저학년, 국민학교 고학년인 형제집단 간에 일반 형제의 장애 형제에 대한 적대, 당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령전과 국민학교 저학년인 형제집단은 고학년 형제집단보다 장애 형제에 대해 더 적대적이고 당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어머니의 부모 및 가족 문제에 대한 스트레스가 많은 집단과 적은 집단 간에 일반 형제가 장애 형제에 대해 나타내는 당황에서 유의한 차가 있었다. 그리고 어머니의 장애아에 대한 비관적인 태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간에서는 장애 형제에 대한 일반 형제의 적대, 당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어머니의 비관적 태도가 높은 일반 형제들은 장애 형제에게 더 적대적이고 당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장애아의 장애유형이 정신지체인 형제집단과 자폐증인 형제집단 간에 장애 형제에 대한 일반 형제의 적대적 태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정신지체아를 형제로 둔 아동들이 자폐아를 형제로 둔 아동들보다 자신의 장애 형제에게 더 적대적이었다. 그러나 장애정도는 일반 형제의 장애 형제에 대한 태도와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가정환경자극 중에서 정서적 분위기, 경험의 다양성, 물리적 환경 변인이 높은 장애아 가정의 형제집단과 낮은 형제집단 간에 일반 형제가 장애 형제에 대해 나타내는 적대, 당황에서 유의한 차가 있었다. 즉, 아동을 위해 정서적 분위기와 물리적 환경을 잘 조성하고 다양한 경험을 제공해 주는 장애아 가정의 일반 형제는 그렇지 않은 가정의 일반 형제들보다 장애 형제에 대해 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여러 선행연구들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어머니의 장애아에 대한 비관적인 태도가 일반 형제의 장애 형제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연관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지금까지 장애아에 대한 어머니의 적응 문제가 어머니와 장애아의 차원에서만 고려되어 왔던 교육 및 서비스 단계를 넘어서서 일반 형제의 원만한 형제관계 유지와 적응이라는 측면에서도 어머니의 장애아에 대한 반응이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 일반 형제의 연령이 많은 경우 어린 형제들보다 자신의 장애 형제에 대해 비적대적이고 덜 당황한다는 것은 나이가 많을 일반 형제들이 장애 형제에 대해 더 잘 이해하거나 상호작용이 많아지면서 다소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장애아 가정의 일반 형제와 장애아의 형제관계가 긍정적으로 이루어져 형제, 가족 모두가 잘 적응하도록 하는 전문적 도움이 보다 조기에 실시되어야 함을 보여 주고 있다. 그리고 장애아의 일반 형제가 장애 형제에 대해 덜 부정적으로 대하고 형제 모두에게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장애아 가정에서 일반 형제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물리적 환경을 조성해 주며, 사랑과 관심으로 정서적 안정감을 갖게 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보여 주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