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3 Download: 0

정신지체 학생의 장애 정도와 학년 수준에 따른 생활 기술별 교수 필요성에 관한 교사의 견해 조사

Title
정신지체 학생의 장애 정도와 학년 수준에 따른 생활 기술별 교수 필요성에 관한 교사의 견해 조사
Other Titles
Differential teaching Priority of Functional Life Skill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uthors
김선희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Keywords
정신지체 학생장애 정도학년 수준생활 기술별 교수 필요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1980년대에 이루어진 많은 연구 결과 지금까지 시행되어 온 특수 교육 프로그램이 정상 아동의 발달 과정에 따른 인지 능력의 향상에만 중점을 두고 있었기 때문에 특수한 요구를 지닌 장애 학생들이 다양한 성인기 영역에서의 요구들을 준비하지 못했음이 입증되면서 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전면적인 재평가가 이루어 졌다. 그 결과, 장애 학생에게 그들의 통합된 미래 환경에서 독립성과 기능성을 보장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미래 환경에서 필요한 일상적인 생활 기술을 가르쳐야 한다는데 합일점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 근거하여 대두된 생활 기술 교육은 오늘날 새롭게 변화하는 특수 교육 교수 방향의 지배적인 경향의 하나가 되어 가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도 장애 학생의 교육 내용에 있어 생활 기술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그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대부분의 학교가 전문적인 지식 부족과 교육과정 개발의 미숙으로 인하여 학생들이 미래 생활 전 영역에서 요구되는 생활 기술들을 효과적으로 교육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장애 정도와 학년수준에 따라 각 생활 기술별 교수 필요성에 관한 교사의 견해를 알아봄으로써 생활 기술 중심의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장애 정도와 학년 수준을 기준으로 각 생활 기술별 우선 순위를 정하고 교육 내용과 전략을 계열화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으로 서울·경기 지역의 15개 정신 지체 학교 교사들 중에서 초등 저학년, 초등 고학년, 중학부, 고등부교사를 각 50명씩 표집하여 25명에게는 경도 장애 학생에게 교수할 필요가 있는 생활 기술을 표시하게 하고 나머지 25명에게는 중도 장애 학생에게 교수할 필요가 있는 생활 기술을 표시하게 하였다. 사용된 질문지는 문헌 연구를 근거로 하여 건강과 안전, 가정 생활, 여가 생활 추구, 의사 소통, 개인적 책임과 사회성, 지역사회, 직업, 기능적 학업 기술, 운동 기술 등 9가지 영역에서 169개의 생활 기술로 구성되었다. 결과 분석은 장애 정도에 따라 각 생활 기술 별로 학년 수준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응답 경향을 분석한 후 표와 그래프로 제시하였고, 장애 정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χ^(2)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필요하다고 응답한 빈도와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한 빈도의 합이 과반수 이상인 문항을 목록화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경도 장애 학생의 학년 수준에 따른 생활 기술별 교수 필요성은 9가지 영역의 169개 생활 기술 중 91개 기술이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는 78개 기술의 교수 필요성에 관한 응답 빈도를 분석해 보았을 때 전체 학년에서 교수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각 영역별로 살펴보면 건강과 안전, 운동 기술 영역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교수 필요성이 감소하였고, 가정 생활, 개인적 책임과 사회성, 지역사회, 직업, 기능적 학업 기술 영역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교수 필요성이 증가하였으며 의사 소통 영역은 중학부까지 교수 필요성이 증가하다가 고등부에 가서 감소하였다. 여가 생활 추구 영역은 학년에 상관없이 비슷한 응답률을 나타내었다. 각 생활 기술별로 필요하다고 응답한 빈도와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한 빈도의 합이 과반수 이상인 기술을 목록화한 결과 초등 저학년의 경우 113 개, 초등 고학년의 경우 124개, 중학부의 경우 132개, 고등부의 경우 143개의 기술이 각각 목록화 되었다. 2. 중도 장애 학생의 학년 수준에 따른 생활 기술별 교수 필요성은 9가지 영역의 169개 생활 기술 중 65개 기술이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는 104개 기술의 교수 필요성에 관한 응답 빈도를 분석해 보았을 때 73개 기술이 전체 학년에서 교수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31개 기술이 전체 학년에서 교수 필요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각 영역별로 살펴보면 건강과 안전, 운동 기술영역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교수 필요성이 감소하였고, 가정 생활, 여가 생활추구, 지역사회, 직업 영역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교수 필요성이 증가하였으며, 의사 소통, 개인적 책임과 사회성, 기능적 학업 기술 영역은 학년에 상관없이 비슷한 응답률을 나타내었다. 각 생활 기술별로 필요하다고 응답한 빈도와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한 빈도의 합이 과반수 이상인 기술을 목록화 한 결과 초등 저학년의 경우 90 개, 초등 고학년의 경우 97개, 중학부의 경우115개, 고등부의 경우 122개의 기술이 각각 목록화 되었다. 3. 학생의 장애 정도에 따른 생활 기술별 교수 필요성을 살펴보았을 때 9가지 영역 모두 유의 수준 1% 수준에서 장애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건강과 안전 영역을 제외한 전 영역에서 중도 장애 학생에 비해 경도 장애 학생의 교수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장애 정도에 따라 각 영역별 우선 순위도 변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학생의 장애 정도와 학년 수준에 따라 각 생활 기술별 교수 필요성에 관한 교사의 견해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고 앞으로의 교육과정 개발에서 학생의 장애 정도와 학년 수준에 따라 교육 내용을 심화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사의 견해를 중심으로 각 생활 기술별 교수 필요성에 관한 기초 자료를 얻을 수 있었지만 개별 학생의 특성에 대한 고려가 없었기 때문에 본 연구를 기초로 통합된 미래 생활에서 장애 학생의 독립성과 기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생활 기술 교육을 위한 보다 다양하고 개별화된 접근들이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The results of follow-up studies during the 1980s verified that till now, special education programs focused on only improvement of cognitive ability based on normal developmental process and many students with special needs were not being prepared for the multidimensional demend of adulthood. Therefor general rEevaluation of school program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y had agreement that the most efficient procedure to ensure independence and functionality in their integrated future environm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y is to instruct daily life skills necessary for future environment. Based on these back ground, life skill instruction was raised and getting one of the dominant tendency to newley changing instructional direction in special education. In this country, the importance of life skill instruction being recognized in curricular contents for student with disability, but systematic research was not conducted, in most school for student with disability, life skills which are necessary for all areas of student's future life being not instructed efficiently for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curricular development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structional priority for each life skill according to student's disability and grade level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terming priority for each life skill and for planning curricular contents and strategies in developing life skill centered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e participants were consisted of 50 teachers each of lower elementary school, upper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occupied in 15 schools for the mental retarded in Seoul or Gyoun-gi. Among 50 teachers, 25 teachers were asked to respond for survey of life skills which are necessary to instruct for students with mild disability, other 25 teachers were asked for student with severe disability. Used questionnaire on the basis of literature consisted of 169 life skills, 9 domains, including health/safty, domestics, leisure pursuit, communicaton, personal responsibility and social relationship, community, employment, functional academics, and motor skills. To analyze of data, in each life skill for grade level, total response percentile was presented in table and graph. For disability levels, x^(2) testing was used and items over 50 percentile of the response "need" and "much need" were list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ing ; 1. In instructional priority for each life skill on the basis of the grade levels for students with mild disability, 91 skills of the 169 life skills had difference. When other 78 skill's response percentile were analyzed, they had high instructional priority in over all grade. 2. In instructional priority for each life skill on the basis of the grade levels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y, 65skills of the 169 life skills had difference. When other 104 skill's response percentile were analyzed, 73 skills had high instructional priority in /over all grade, but 31 skills had low instructional priority in over all grade. 3. In instructional priority for 9 domain on the basis of student's disability levels, 90 skills of the all 9 domains had significant difference ( p<.0l). For students with mild disability had high instructional priority than severe disabilities 4. When skills over 50 percentile of the response "need" and "much need" were listed, 113 skills for lower elementary with mild disability, 124 skills for upper elementary with mild disability, 132 skills for middle school with mild disability, 143 skills for high school with mild disability, 90 skills for lower elementary with severe disability, 97 skills for upper elementary with severe disability, 115 skills for middle school with severe disability, 122 skills for high school with severe disability were selected. In summary, this study found that instructional priority for each life skill on the basis of the student's grade and disability levels rated differently. Based on this study, individualized approach for efficient life skill instruction that improving independence and functionality of each students with disability in there intergrated future life should be carried ou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