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인진-
dc.creator전인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2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2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7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28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caretaker competences and program normalization have influence on resident satisfaction in group homes, and to identify a major predictor influencing the resident satisfaction among four factors including 'normalization practice' and 'technical skill' in the area of caretaker competences, and 'group home activity' and 'community activity' in the area of program normalization. For this purpose, 37 residents (17 males and 20 females) residing in the group homes located in Seoul and Kwangju, and 11 caretakers providing training and 24-hour supervision for the resid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addition, the program provided for them was included to be assessed. The questionnaires used for this study were one developed by Burchard, Thousand and Widrick (1981) to measure caretaker competences and program normalization, and the other developed by Burchard, Gordon, and Pine (1983) to measure resident satisfaction.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oin were used to al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s: 1. 'Normalization practice' in caretaker competence area was highly correlated with residents' 'general satisfaction' (r=.64). For each satisfaction area, the 'normalization practice' was highly correlated with residents' satisfaction of 'responsibility' (r=.68), and was moderately correlated with their satisfaction of both 'autonomy' and 'peer-caretaker relation' (r=.59, r=.50 respectively). However, low practical significance although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appeared between 'normalization practice' and satisfaction with 'physical environmen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normalization practice' and satisfaction with 'group home living'. 2. 'Technical skill' in caretaker competence area was also highly correlated with residents' 'general satisfaction' (r=.62). For each satisfaction area, the 'technical skill' was highly correlated with residents' satisfaction of 'responsibility' (F.66), and was moderately correlated with their satisfaction of both 'autonomy' and 'peer- caretaker relation' (r=.53, r=.46 respectively). However, low practical significance although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appeared between 'technical skill' and satisfaction with 'physical enviommen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echnical skill' and satisfaction with 'group home living'. 3. There was a low correlation between' group home activity' in program normalization area and residents' 'general satisfaction' (r=.40). For each satisfaction area, there was also a low correlation between' group home actirity' and 'peer-caretaker rela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ut with low practical significance between' group home activity' and 'physical environmen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ppeared between 'group home activity' and residents' satisfaction with 'group home living', 'responsibility' and 'autonomy'. 4. 'Community activity' in program normalization area was highly correlated with residents' 'general satisfaction' (r=.63). For each satisfaction area, 'community activity' was highly correlated with 'autonomy' (r=.61), and was moderately correlated with their satisfaction with both 'responsibility' and 'peer-caretaker relation' (r=.58, r=.52 respective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ut with low practical significance between 'community activity' and residents' satisfaction with 'group home living'.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ppeared between 'community activity' and residents' satisfaction with 'physical environment'. 5. Among the four factors, that is, 'normalization practice' and 'technical skill' in the area of caretaker competence, and 'group home activity' and 'community activity' in the area of program normazliation, 'normalization practice' of caretaker competences was identified as a major significant predictor, accounting for 41% of variance in resident satisfaction (F=24.80, p<.001). In conclusion, two subareas of 'normalization practice' and 'technical skill' in caretaker competence, and a subarea of 'community activity' in program normazliation were highly correlated to residents' 'general satisfaction'. Especially, there were high or moderate correlation between these three subareas and residents' satisfaction with 'responsibility', 'autonomy', and 'peer-caretaker relation'. Also,'normalization practice' was determined as the most infulential predictor on resident satisfaction. Thus, the results in the present study seem to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normalization practices and technical skills when providing training for group home caretakers, and to search for a way to have residents participate in active community activities whe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programs. Also since satisfaction with responsibility, autonomy, and positive social relationship was an important factor for group home residents to adjust independently in the community, program planning and implementaion increasing resident satisfaction seem to be considered.;그룹홈의 궁극적 목표는 그룹홈 거주자들이 지역사회에서 적응하며 생활하도록 해주는 것이다. 최근에는 서비스를 받는 정신지체인의 입장에서 주거 프로그램 성과(outcomes)를 평가할 필요성에 촛점이 맞추어지면서, 정신지체인 거주자들의 만족도가 지역사회 적응을 예견해 주는 변인중 하나로 고려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그룹홈의 성패를 가늠하는 주요인 인 그룹홈 직원의 태도 및 상호작용 양식과, 그룹홈 거주자들이 가능한 한 정상적인 경험과 활동을 통해서 독립적으로 살도록 해주는 프로그램이 거주자들의 성공적인 지역사회 적응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해서 직원이 가지고 있는 능력과 프로그램이성공적인 지역사회 적응 및 삶의 질을 예견해 주는 거주자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그룹홈 직원의 능력 및 프로그램이 그룹홈 거주자의 주거지에 대한 만족도와 상관이 있는지, 그리고 그룹홈 직원 능력의 하위영역인 ‘정상화 실행능력’과 ‘전문적 기술능력’, 그리고 프로그램의 하위영역인 ‘가정내 활동’과 ‘지역사회 활동’ 중에서 그룹홈 거주자의 주거지에 대한 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예언변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광주의 8개 그룹홈에 살고 있는 거주자 37명(남 17명, 여20명)과, 그룹홈에서 24시간 상주하며 거주자들의 생활을 지도하고 훈련하는 그룹홈 직원 11명, 그리고 그룹홈 거주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평가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도구는 그룹홈 직원의 능력과 프로그램을 위하여는 Burchard, Thousand 와 Widrick(1981)이 개발한 설문지를, 거주자 만족도를 위해서는 Burchard ,Gordon과 Pine (1983)이 개발한 설문지를 본 연구자가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상관관계와 희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그룹홈 직원능력의 하위영역 중 ‘정상화 실행능력’과 거주자의 ‘전체만족도’간에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 (r=.64)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자 만족도의 각 영역별로 살펴보면, 직원의 ‘정상화 실행능력’과 ‘책임감’에 대한 만족과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r= .68) 보였고, 직원의 ‘정상화 실행능력’과 거주자의 ‘자율성’ 및 ‘사회적 관계’에 대한 만족과는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 r= .59, r= .50). 그러나 직원의 ‘정상화 실행능력’과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과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하나 실제적 유의성은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직원의 ‘정상화 실행능력’과 ‘그룹홈 생활 만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직원의 또 다른 하위영역인 ‘전문적 기술능력’과 거주자의 ‘전체만족도’ 사이에도 역시 높은 정적 상관관계 (r= .62)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자 만족도의 각 영역별로 보면, 직원의 ‘전문적 기술능력’과 거주자의 ‘책임감’에 대한 만족도와는 높은 정적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r= .66). 그리고 직원의 ‘전문적 기술능력’과 거주자의 ‘자율성’ 및 ‘사회적 관계’에 대한 만족과는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 r= .53, r= .46). 그러나 직원의 ‘전문적 기술능력’과 ‘물리격 환경’에 대한 만족도 간에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만 실제적으로는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직원의 ‘전문적 기술능력’과 거주자의 ‘그룹홈 생활만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프로그램 정상화 하위영역 중 ‘가정내 활동’과 거주자의 ‘전체만족도’간에는 비교적 낮은 정적 상관관계 (r= .40)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자 만족도의 각 영역별로 살펴보면, 프로그램 중 ‘가정내 활동’과 거주자의 ‘사회적 관계’에 대한 만족과는 낮은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r= .41). ‘가정내 활동’과 거주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와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만 실제적으로는 낮은 상관을 보이고, ‘가정내 활동’과 거주자의 ‘그룹홈 생활만족’, ‘책임감’, ‘자율성’에 대한 만족도와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프로그램 정상화의 또 다른 하위영역인 ‘지역사회 활동’과 거주자의 ‘전체만족도’와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 (r= .63)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자 만족도의 각 영역별로 살펴보면, ‘지역사회 활동’과 ‘자율성’은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r= .61), 거주자의 ‘책임감’ 및 ‘사회적 관계’에 대한 만족도와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 r= .58, r= .52). 그러나 ‘지역사회 활동’과 거주자의 ‘그룹홈 생활만족’과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하나 실제적으로는 낮은 상관을 보였고, ‘지역사회 활동’과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와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직원능력의 2개 하위영역인 ‘정상화 실행능력’과 ‘전문적 기술능력’, 그리고 프로그램의 2개 하위영역인 ‘가정내 활동’과 ‘지역사회 활동’ 중에서 직원의 ‘정상화 실행능력’이 그룹홈 거주자의 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예언변인으로 밝혀졌으며, 만족도의 41%를 설명해 주고 있다(F=24.80, p〈.001). 이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직원의 ‘정상화 실행능력’과 ‘전문적 기술능력’, 그리고 프로그램의 '지역사회 활동'은 거주자의 그룹홈에 대한 ‘전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위의 세 하위영역은 거주자의 ‘책임감’, ‘자율성’, 그리고 ‘사회적 관계’에 대한 만족도와 높은 혹은 비교적 높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정상화 실행능력’은 거주자의 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예언변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그룹홈 직원 훈련시 정상화 원칙 및 전문적 기술훈련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고, 프로그램 개발 시 그룹홈 거주자들을 지역사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할 필요성에 대하여 시사해준다. 또한 거주자들이 책임감, 자율성, 그리고 사회적 관계로부터 오는 만족감을 갖는 것은, 이들이 지역사회에서 독립적으로 기능하며 적응할 수 있도록 해주는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계획과 실행이 고려되어야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C. 용어 정의 = 6 Ⅱ. 그룹홈에 관한 이론적 고찰 = 8 A. 그룹홈의 개념 및 설립 배경 = 8 B. 그룹홈 직원능력 및 프로그램 정상화 = 13 1. 그룹홈 직원의 능력 = 13 2. 프로그램 정상화 = 21 C. 그룹홈 거주자의 만족도 = 28 1. 만족의 개념 = 28 2. 거주자의 만족을 고려해야 하는 당위성 및 난점 = 31 3. 그룹홈 생활과 관련된 거주자들의 만족 변인 = 32 D. 직원능력 및 프로그램이 거주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 35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38 A. 연구 대상 = 38 B. 조사 도구 = 42 C. 자료 수집 방법 및 절차 = 45 D. 자료 처리 방법 = 46 Ⅳ. 연구 결과 = 49 Ⅴ. 논의 및 제언 = 56 A. 논의 = 56 B. 제한점 = 66 C. 제언 = 68 참고문헌 = 70 부록 = 80 Abstract = 13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984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정신지체-
dc.subject공동생활가정-
dc.subjectGroup Home-
dc.subject직원능력-
dc.subject거주자만족도-
dc.title정신지체인 공동생활가정(Group home)에서의 직원능력 및 프로그램이 거주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Caretaker Competence and Program Normalization to Resident Satisfaction in Group Homes-
dc.format.pagevii, 138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