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2 Download: 0

장애 유아 통합 관련 교사교육이 일반 유아교사의 개인적 교수 효능감과 교수 수행에 미치는 영향

Title
장애 유아 통합 관련 교사교육이 일반 유아교사의 개인적 교수 효능감과 교수 수행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 Teacher Training regarding Inclusion of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on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Performance in Preschool teachers
Authors
유은연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모든 유아들에게 양질의 통합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를 담당할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자신감과 수행능력의 향상이 요구된다. 이러한 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자신감과 수행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적합한 직전 및 현직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설계와 실시가 매우 중요하다는 주장 속에서 장애 유아 통합 관련 교사교육에 대한 현장의 요구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적 지원이 부재한 일반 유아교육기관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장애 유아 통합 관련 교사교육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교사의 개인적 교수 효능감과 교수 수행에 대한 자기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장애 유아 통합 관련 교사교육의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 강동·송파구 지역 내 특수교사의 지원 없이 장애 유아가 통합되어 있는 일반 유아교육기관에서 만 3세부터 취학 전까지의 장애 유아를 현재 교육하고 있는 일반 유아교사 60명이었다. 일반 유아교사 30명은 교사교육에 참여하는 실험집단, 나머지 일반 유아교사 30명은 교사교육에 참여하지 않는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서울시내 H특수학교에 위치한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8회기 15차시에 걸쳐 제공하였다. 실험도구는 “개인적 교수 효능감 척도”와 “유아통합교육의 교사에게 필요한 자질부분의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결과 검증은 각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의 차이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의 차이점수에 대한 독립 변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교수 효능감에 대해 장애 유아 통합 관련 교사교육을 받은 일반 유아교사집단의 변화가 통제집단의 변화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 수행에 대한 자기평가에 대해 장애 유아 통합 관련 교사교육을 받은 일반 유아교사집단의 변화가 통제집단의 변화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특수교육적 지원이 부재한 일반 유아교육기관의 유아교사에게 장애 유아 통합 관련 교사교육을 실시하였을 때 개인적 교수 효능감 및 교수 수행에 대한 자기평가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장애 유아 통합 관련 교사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필요하며, 다양한 참여자 및 실험 도구에 대한 확장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eacher training regarding inclusion of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on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self-evaluation about teaching performance in preschool teachers. For this study, sixty teachers teaching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up to three years old at preschool in Kangdongku·Songpaku participated.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had not special educational support. They were divided into 30 teachers for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The teacher training for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a total of fifteen lessons over eight sessions at the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at H special school in Seoul. The mainly used tools of this experiment are "Scales of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Scales of Teacher Competencies for Working in Inclusive Early Childhood Programs". The two tools were somewhat adjusted and compensated. The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of two groups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personal teaching efficacy.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self-evaluation about teaching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teacher training regarding inclusion of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is effective in the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the teaching performance of preschool teachers. From this results could be analyzed, more discussions on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teacher training about inclusion of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are required. And More research concerning the other participants from various groups and experiments tools & methods are requi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