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2 Download: 0

수정된 도덕과 교육과정이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

Title
수정된 도덕과 교육과정이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Modified Moral Subject Curriculum Which Influences on Nondisabled Children's Attitudes Towards Disabled Children
Authors
이은정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도덕과 교육과정장애아동일반아동태도변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 나라의 장애인 교육은 점차로 일반 학교를 통한, 통합 교육의 방향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러한 통합 교육을 이루기 위해서는 장애 아동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과 동시에 일반 아동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과 동시에 일반 아동의 수용 태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장애 아동에 대한 일반 아동의 수용 태도는 장애 아동을 통합된 환경에 배치하는데 있어서 비중 있게 고려되어야 할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통합의 목적을 달성하고, 장애 아동이 학교에 바람직한 적응을 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일반 아동의 장애 아동에 대한 이해와 긍정적 태도 형성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일반 아동의 장애 아동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연구들의 특정은 다양한 교육 자료와 프로그램들을 통해 일반 아동에게 장애 아동에 대한 정보와 이해할 수 있는 상호작용을 제공해 주었다. 하지만, 정규 교육과정 이외의 상황에서 부가적으로 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개선시키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장애 아동에 대한 태도 변화의 교육과정적 접근은 정규 교과과정을 활용한 상당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 하나의 태도 변화 방법으로서, 일반아동들에게 기존 학과목 시간의 수업 내용(예, 사회, 도덕등)을 수정하여 장애 학생에 대한 이해와 태도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을 자연스럽게 활용하여 교수하는 [교육과정 수정 방법]이었다. 또한, 현재 우리 나라에서 행해진 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상호작용 증진과 태도에 대한 연구에서 기존의 학과목 시간의 수업 내용을 수정한 교수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 아동에 대한 수용 태도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초등 학교 3학년 도덕과 정규 교육과정을 수정하여 특수 학급이 설치된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중재하고 교육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충 62명이었으며 특수 학급이 설치된 초등 학교 3학년 2개반을 무작위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 선정시에 연구대상의 장애노출정도와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장애아동에 대한 수용성 척도와 활동 선호 척도의 태도는 동일하였다. 또한, 수정된 3학년 도덕과 교수안은 4주동안 일주일에 1회씩 정규 도덕과 교과목 시간에 일반 교사에 의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아동들의 장애 아동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는 도구로 수용성 척도(Voeltz, 1980)와 활동 선호 척도(Siperstein & Gottlieb, 1977)를 사용하였다. 연구 문제에 대한 결과 검증을 위한 자료 처리는 각 척도의 점수와 하위영역 및 그 하위영역들의 문항들에 대한 t 검증을 통하여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에게 수정된 도덕과 교육과정을 교수한 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장애 아동에 대한 수용성 척도와 활동 선호 척도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수용성 척도 사후 검사 결과 전체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실험 집단이 장애에 관한 내용으로 수정된 도덕 교과 수업을 받은 후 장애 아동에 대한 수용성 태도가 높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수용성 태도의 각 하위 요인에 대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간의 변화를 살펴보면, 3요인 '실제적 접촉 요인'과 4요인 '경도의 일탈된 행위에 대한 반응'을 제외하고 1요인인 '사회적 접촉 의도'와 2요인인 '일탈된 행위에 대한 반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2.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활동 선호 척도에 대한 사후 검사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일반 아동에게 장애 아동에 대한 이해와 태도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수정된 도덕 교과 교수안을 통하여, 일반 아동의 장애 아동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정규 교육과정(교과목 시간)을 활용하여 장애 아동에 대한 태도 변화를 일으킬 수 있도록 재구성하는 교육과정적 접근을 통해서 일반 아동의 장애 아동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과 정규 교육과정을 장애 아동에 대한 수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수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해 준다고 볼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dified moral subject cumculum which influences on nondisabled children's attitudes toward disabled children. For this purpose, moral subject curriculum was modified for the third grade in an elementary school. Two regular third-classrooms in an elementary school which is at Youngdongpo-gu in Seoul, where there are two special classes were selected. the randomly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ed one. A total of 62 children served as The modified moral subject curriculum was administered in class for 50 minutes, 1 times a week for four weeks. The Acceptance Scale developed by Voeltz(1980) and The Activity Preference Scale developed by Siperstein & Gottlieb( 1980) were used for this study. T-test was administered on the basis of the significant level .05 and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from nondisabled children's attitudes toward disabled children. 2. On the Acceptance Scale which has four factors, the two factors: Social Contact Willingness and Deviance Consequation,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more positive attitudes than the controlled. 3. On the Activity Preference Scal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more positive attitudes than the controlled. Results above showed that nondisabled children's attitudes were positively changed through the modified moral subject curriculum which was designed to improve nondisabled children's understandings and attitudes toward disabled children. Thus, the results in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modify regular education curriculum which might bring positive attitude change of nondisabled children toward disabled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