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37 Download: 0

통합된 놀이 프로그램이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Title
통합된 놀이 프로그램이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Integrated Play Programs on Nondisabled Children's Attitudes Change toward Disabled Peers
Authors
김수연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Keywords
통합된 놀이 프로그램장애아동일반아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통합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장애 아동이 정상화된 환경에서 필요한 기술을 배울 뿐만 아니라 일반 아동과 긍정적인 상호 작용을 하며 독립적이고 가치 있는 삶을 준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 아동의 삶의 질에 결정적인 요소인 우정의 형성 및 일반 아동의 장애 아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통합 교육이 얼마나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가에 대한 지표로 고려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장애 아동에 대한 일반 아동의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위한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었고 이 중에서도 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자연스럽고도 수평적인 관계에서 일어나는 직접적인 상호 작용이 일반 아동의 긍정적인 태도 변화 및 상호 작용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해서 장애 아동과 일한 아동에게 상호 작용이 많이 일어날 수 있는 활동으로 구조화된 집단 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일반 아동의 장애 아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통합된 놀이 프로그램의 실시 여부가 장애 아동에 대한 일한 아동의 태도 변화를 가져오는지, 그리고 성별과 학년에 따라 해도 변화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으로 서울 및 경기지역의 10개 국민학교에서 장애 아동의 원적 학급 아동 164명을 무선 표집하여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각각 82명씩(남 37명, 여 45명) 나누었다. 실험 집단 아동은 자신의 반에 있는 장애 아동과 특수 학급에서 1 주일에 3 회씩 점심 시간 20분 동안 5주에 걸쳐 놀이를 하며 상호 작용 하게 하였다. 측정 도구는, Voeltz(1980, 1982)의 수용성 척도와 Siperstein(1980)의 활동 선호 척도를 사용하였다. 결과 검증에 사용된 통계 방법은 t검증과 이원 분산 분석으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사와 사후 검사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성별 및 학년에 따른 태도 변화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장애 아동에 대한 일반 아동의 통합된 놀이 프로그램 실시 여부에 따른 태도 변화에 있어서 실험 집단이 통계 집단보다 수용성 척도의 전체 점수와 활동 선호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보였다. 수용성 척도의 요인별 태도 변화에서는 4가지 요인 중에서 경도의 일탈된 행위에 대한 반응 요인만 제외하고 사회적 접촉 의도, 일탈된 행위에 대한 반응, 실제적 접촉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차이가 있었다. 2. 실험 집단 내에서의 장애 아동에 대한 일반 아동의 성별에 따른 태도 변화의 차이는 수용성 척도의 전체 점수와 활동 선호 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가 없었다. 수용성 척도의 요인별 분석에서는 사회적 접촉 의도, 일탈된 행위에 대한 반응, 경도의 일탈된 행위에 대한 반응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수용성 척도의 실제적 접촉 요인에서는 여자 아동보다 남자 아동의 태도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높았다. 3. 실험 집단 내에서의 장애 아동에 대한 일반 아동의 학년별 태도 변화의 차이는 수용성 척도의 전체 점수에서는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활동 선호 척도에서는 고학년(4, 5학년)보다 저학년(2, 3학년)의 태도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높았다. 수용성 척도의 요인별 태도 변화에서는 4가지 요인 중 사회적 접촉 의도, 일탈된 행위에 대한 반응, 경도의 일탈된 행위에 대한 반응 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실제적 접촉 요인에서는 고학년보다 저학년의 태도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높았다. 4. 실험 집단 내에서의 장애 아동에 대한 일반 아동의 성별 및 학년별 태도 변화의 차이는 수용성 척도에서는 전체 점수에서 상호 작용 효과가 나타나 남자 아동은 저학년이, 여자 아동은 고학년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활동 선호 척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가 없었다. 수용성 척도의 요인별 태도 변화에서는 실제적 접촉 요인에서만 주효과가 나타나 성별로는 여자 아동보다 남자 아동이 높았으며, 학년별로는 고학년보다 저학년이 높게 나타났다. 나머지 요인인 사회적 접촉 의도, 일탈된 행위에 대한 반응, 경도의 일탈된 행위에 대한 반응 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장애 아동에 대한 일반 아동의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가져오기 위한 구조적인 상호 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또한 활동 선호도와 수용성 척도의 실제적 접촉 요인에서 장애 아동에 대한 일반 아동의 태도 변화가 고학년보다 저학년이 높게 나타났다는 것은 그만큼 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이 직접적으로 상호 작용 하는 것은 어릴 적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리고 장애 아동과의 간접적인 접촉을 통한 일반 아동의 태도 변화 프로그램보다 실제로 같은 반에서 함께 공부하고 생활하는 장애 아동과의 직접적인 경험을 통한 태도 변화 프로그램은 장애 아동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할 뿐만 아니라 상호 작용도 증진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고 구조화된 장애 아동의 대한 일반 아동의 태도변화 및 상호 작용 증진 프로그램의 연구가 더욱 촉구되어야 하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grated play programs on nondisabled children's attitudes change toward disabled children and to identify any difference that might exist in attitude change due to sex and grades. For this purpose, 164 nondisabled children from 10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Kyongki-do were randomly selected and then 82 children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37 males and 45 females) respectively. Th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e regular classrooms where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were integrated. The structured group play programs were administered at lunch time for 20 minutes, 3 times a week for five weeks. The Acceptance Scale developed by Voeltz( 1980,1982) and The Activity Preference Scale developed by Siperstein (1980) were used for this study. T-Test and Two-way ANOVA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s: 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in nondisabled children's attitudes toward disabled peers on three of the four factors, Social Contact Willingness, Deviance Consequation, Actual Contact of The Acceptance Scale and The Activity Preference Scale, showing significantly more positive attitudes of experimental group than those of controlled group. 2, In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boys and girls only on Actual Contact factor, one of the four factors of The Acceptance Scale, showing more positive attitudes of boys than those of girl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rest of factors and The Activity Preference Scale. 3. In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grades only on Actual Contact factor, showing more positive attitudes of lower grades than those of upper grades, but there wes no siginificant difference on the rest of factor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between grades on the Activity Preference Scale, showing more positive attitudes of lower grades than those of upper grades. 4. In experimental group, there we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x and grades of experimental group on the total score on the Activity Preference Scale. But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between upper grades and lower grades, presenting more positive attitudes change of boys in lower grades and girls in upper grad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grades on Actual Contact factor, showing more positive attitudes of boys than those of girls and more positive attitudes of lower grades than those of upper grades. Thus, the results in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structured interaction programs which might bring positive attitude change of nondisabled children toward disabled peers. Furthermore, the results that on both Activity Preference Scale and Actual Contact, more positive attitude change was revealed in lower grades than in upper grades seem to suggest that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provide interaction opportunity for both disabled and \ nondisabled children at an early age. Since direct attitude change program rather than indirect program seems to promote frequent interaction and positive attitudes of nondisabled children toward disabled children in regular classrooms, structured attitude change program and interaction enhancing program seem to be considered for promoting social relationship and friendship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