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3 Download: 0

일반교육과정 접근을 위한 교수적 루브릭의 적용이 초등학교 장애 학생의 수업 참여 행동과 통합학급 학생들의 국어과 학습목표 수행 수준에 미치는 영향

Title
일반교육과정 접근을 위한 교수적 루브릭의 적용이 초등학교 장애 학생의 수업 참여 행동과 통합학급 학생들의 국어과 학습목표 수행 수준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Instructional Rubric for Access to General Curriculum on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Elementary Grades and Performance Level of Objectives in Korean Language of Inclusive Class Students
Authors
이은정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instructional rubric for access to general curriculum on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elementary grades and performance level of objectives in Korean language of inclusive class students. A total of 91 students, 60 from two 5th grade classes and 31 from one 6th grade, and teachers of the classes including a student with mental retardation each participated in the intervention implementing an instructional rubric designed for Korean language. The instructional rubric was written in consideration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 order for students with diverse needs to participate in as an inclusive classwide assessment, containing individual objectives and assessment criterion for those in need.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composed of training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to maximally utilize the rubric as a self-assessment tool and, during Korean language class, implementing it with additional supports for students with disability, such as instructional adaptations and performance monitoring through a daily checkup manual. Each class was provided with four instructional rubrics on a subsequent basis using multiple probe across participants design. All the participants were advised to evaluate their own performance through the instructional rubric and come up with things to target for the next class specified as performance indicators, while students with disability working on their individual but general curriculum-based objectives.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during class were measured by direct observation and any changes on the level of performance the whole students showed for the objectives evaluated through the instructional rubric as a result of the intervention were analysed by the SPSS for Windows 12.0 program using paired-samples t-test method. The results of the intervention entailed as follows: First,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all the three participants with disabilities drastically improved and were observed during social study class as an evidence for generalization effect. The positive changes on the target behaviors were maintained after the intervention had been terminated. Second, changes on performance level of objectives in Korean language of inclusive class students evaluated through the instructional rubric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same result was found in all three of the classes.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detail into the impact of self-monitoring/evaluation skills the participants in need had improved on their own academic performances utilizing the instructional rubric and effective peer support for the students with the awareness of individual performance goals. In addition, enabling the students to participate in an inclusive classwide assessment system with cohesive instructional adaptations and systematic performance monitoring as a tailored in-class support were underscored as meaningful practices that the intervention had intended to. And, more importantly, the positive changes that happened to the peer students at the inclusive classes support the body of evidence well-planned and executed instruc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can benefit not only for those in need but for all the students involved. This study had several limitation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interpreting the results. First, there were only Grade 5-6 classes including a student with mental retardation studied. Second, the measurement of performance level of objectives in Korean language was based on self-assessment of the students participated. Third, instructional needs of th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were mainly considered when each rubric was constructed as a universally designed class assessment, leaving a possibility that needs of every student involved might not be properly addressed. Future researches are expected to more focus on investigating the achievement of multiple curriculum contents that students with various disabilities in grades K-12 would have with the usage of instructional rubrics. Additionally, student-involved and needs-addressed rubrics would benefit for more diverse learners.;일반 교육 현장에 통합된 장애 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access to general curriculum)은 이미 많은 연구들을 통해 그 중요성이 강조되어왔다. 그러나 장애 학생이 통합학급에서 일반교육과정 중심의 수업에 단지 참여하는 것을 넘어서 개별적인 교수적 요구가 반영된 학습목표를 실제로 성취하는 것은 여전히 교수활동적 통합을 실현하기 위한 도전 과제가 되고 있다. 이를 위해 특히 장애 학생의 개별적인 교수적 요구와 일반교육과정 중심의 교육기준의 적절한 연계가 선행되어야 하며, 통합학급에서의 진단ㆍ평가에 참여하여 일반교육과정 기준과 연계된 개별 학습목표의 성취 정도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이처럼 장애 학생의 개별적인 교수적 요구와 일반교육과정 기준이 연계될 수 있는 진단ㆍ평가 방안으로 교수적 루브릭(instructional rubrics)을 들 수 있다. 교육기준을 토대로 수행과제를 평가하는 준거와 다양한 수행의 질이 상세히 묘사되는 진단ㆍ평가 도구인 교수적 루브릭은 수행에 대한 평가뿐 아니라 교수의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생 중심의 평가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과 함께 장애 학생을 비롯한 다양한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교수 활동을 촉진하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국내 통합교육 현장의 경우, 장애 학생이 일반교육과정 중심의 진단ㆍ평가에 통합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지원하는 실제적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할 때 다양한 능력을 지닌 모든 학생들이 일반교육과정에 참여하여 양질의 교육성과를 얻을 수 있도록 보다 융통적인 교육과정, 교수방법, 진단ㆍ평가를 고안하는 ‘학습을 위한 보편적 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에 기초하여 교수적 루브릭을 계획, 적용한다면 장애 학생을 포함한 통합학급의 학생들 모두를 위한 진단ㆍ평가 및 교수적 도구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 5~6학년 국어과 수업에 일반교육과정 접근을 위한 교수적 루브릭을 적용하여 장애 학생의 수업 참여 행동 및 장애 학생을 포함한 통합학급 학생들의 국어과 학습목표 수행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중재는 일반교육과정 접근을 위한 교수적 루브릭의 적용을 위한 담임교사, 일반 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각각 실시한 후 실제 수업 상황에서 교수적 루브릭의 적용을 지원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담임교사에게는 연구의 목적 및 진행 절차, 중재에 포함되는 중요 요소(IEP, 교수적 루브릭, 교수적 수정 등)에 대한 소개, 국어과 교육기준을 토대로 일반교육과정 접근을 위한 교수적 루브릭의 고안 방안 및 수업 적용 시의 지원 방법이 안내되었고, 일반 학생들에게는 교수적 루브릭에 대한 소개, 수행 예시물을 이용한 평가 연습, ‘교수적 루브릭 일일 적용표’를 이용한 장애 학생 지원 방법이 안내되었다. 또한 장애 학생에게는 교수적 루브릭을 사용하기 위한 자기 점검 및 평가 교육이 실시되었다. 중재 적용을 위한 교육이 끝난 후 모든 학생들은 각자 소지한 ‘일반교육과정 접근을 위한 교수적 루브릭 양식’ 세트(일반 학생용 교수적 루브릭, 장애 학생용 교수적 루브릭, 루브릭 일일 적용표)를 이용하여 담임교사의 지도 아래 실제 국어과 수업에서 자신의 수행 상황을 점검ㆍ평가하였으며, 구체적으로 교수적 루브릭 하단의 기록 칸에 매 수업에서의 수행에 대한 평가와 함께 다음 수업에서 개선해야 할 점을 기재하도록 하였다. 장애 학생에게는 매일의 수행 목표를 토대로 적절히 수정된 과제 및 자료가 제공되었으며, ‘교수적 루브릭 일일 적용표’를 이용하여 수업 시간 동안 달성해야할 수행 목표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수업 참여 행동을 점검하게 하였다. 실험은 초등학교 5~6학년에 재학 중인 세 명의 정신지체 학생들과 이 학생들이 소속된 세 개 학급의 일반 학생들 전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연구 참여자 간 중다 간헐 기초선설계(multiple probe across participants design)를 적용하여 국어과 수업 진행 내용에 따라 각기 다른 교수적 루브릭을 세 학급에 순차적으로 적용하였다. 먼저 중재가 실시되기 이전의 일상적 환경에서 기초선 관찰이 실시된 후 주 4~5회 국어과 수업 시간에 중재를 실시하였고, 수업 중반의 25분간 장애 학생의 수업 참여 행동을 관찰하였다. 수업 참여 행동의 발생률이 중재 종료 기준(연속 3회 80% 이상 발생)에 이를 때까지 장애 학생을 포함한 통합학급 학생들 전원은 교수적 루브릭을 적용하여 매 수업에서의 수행을 자기 점검ㆍ평가하였으며, 각 루브릭에 기재된 평가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학습목표 수행 수준을 산출하였다. 중재가 종료된 직후 사회과 수업에서 장애 학생의 수업 참여 행동에 대한 일반화 관찰을 3회 실시하였으며, 중재가 종료된 지 4주 후 기초선 조건과 동일한 상황에서 국어과 수업에서의 유지 관찰을 연속적으로 3회 실시하였다. 장애 학생이 포함된 통합학급 학생들 전원의 학습목표 수행 수준의 중재 전후 변화는 SPSS for Window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한 대응표본 t검증(paired-samples t-test) 분석을 통해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교육과정 접근을 위한 교수적 루브릭의 적용은 초등학교 장애 학생의 수업 참여 행동을 증가시켰으며 증가된 수업 참여 행동은 일반화ㆍ유지되었다. 둘째, 일반교육과정 접근을 위한 교수적 루브릭의 적용은 초등학교 장애 학생을 포함한 통합학급 학생들의 중재 전-후 국어과 학습목표 수행 수준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장애 학생을 포함한 통합학급 전체 학생들에게 학습을 위한 보편적 설계 차원에 교수적 루브릭을 계획, 적용함으로써 장애 학생이 일반교육과정 중심의 통합적 진단ㆍ평가에 참여하며 동시에 교수적 지원 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일반교육과정 접근의 개념을 ‘수업 참여’와 ‘학습목표 성취’로 세분화하여 장애 학생의 수업 참여 행동 및 전체 통합학급 학생들의 학습목표 수행 수준 변화 각각에 미친 효과를 입증함으로써 ‘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 모두를 위한 혜택’이라는 양질의 통합교육프로그램이 갖추어야 할 중요한 질적 구성요소를 구체화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