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5 Download: 0

지체장애 청소년들의 진로성숙도(Career maturity)에 관한 연구

Title
지체장애 청소년들의 진로성숙도(Career maturity)에 관한 연구
Authors
이소영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지체장애청소년진로성숙도career maturity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인간 개개인이 자신의 적성과 능력에 적합한 진로(career)를 추구해 나가는 것은 자아를 실현할 수 있는 길이며, 나아가 지체장애 학생들이 자신의 능력에 적합한 일을 찾아서 진로를 계획하고 이루어 나가는 것은 그들이 경제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독립할 수 있는 능력을 육성하고, 그들에 대한 사회적 부담도 줄일 수 있는 것이므로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93학년부터 지체장애 학생들에게 진로교육이 실시될 예정이나, 아직까지 이들을 대상으로 하여 진로성숙 정도도 파악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체장애 학생들의 진로성숙도가 일반 학생들의 규준에서 어느정도에 위치하는지 살펴보고, 규준설정을 위해 표집된 일반학교 학생들의 평균과 비교해보며, 지체장애 학생들의 학년, 장애정도, 직업교육 유무에 따라서 진로에 대한 태도와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검토해 봄으로서, 앞으로 다가올 지체장애학교의 진로교육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체장애 학교의 정상지능(M=96.2)의 고등학생 총 139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에게 진로성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진로성숙도 검사는 진로에 대한 태도(계획성, 독립성, 결정성)와 진로에 대한 능력(직업세계 이해, 직업선택, 의사결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분석은 SAS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지체장애 학생의 진로성숙도를 일반학생 규준과 비교하기 위하여 평균, 백분위 점수, T-검증을 사용하였으며, 학년, 장애정도, 직업교육 유무에 따른 진로성숙도 (태도, 능력)의 차의 검증은 MANOVA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체장애 학생들의 진로성숙도가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한 규준상에서, '중' (25퍼센타일-75퍼센타일)으로 나타났으나, 진로성숙도 검사 규준설정을 위해 표집된 일반학교 학생들(이하, 일반학교 규준집단이라 함)의 평균과의 차를 검증한 결과 차이가 있었다. 즉, 진로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지체장애 학생들이 일반학교 규준집단보다 독립성이 낮고 결정성은 높으며, 진로에 대한 능력에 있어서는 지체장애 학생들이 일반학교 규준집단보다 직업선택 능력과 의사결정 능력이 낮았다. 2. 지체장애 학생들의 학년, 장애정도, 직업교육 유무에 따라 진로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없었다. 3. 지체장애 학생들의 장애정도에 따라 진로에 대한 능력에 차이가 없었으나, 학년과 직업 교육 유무에 따라 진로에 대한 능력에 차이가 있었다. 즉, 3학년이 1학년보다 직업세계 이해, 직업선택, 의사결정 능력이 높았고, 직업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받지않은 학생들보다 직업세계 이해 능력과 직업선택 능력이 높았다. 따라서, 지체장애 학생들이 좀더 독립적으로 자신의 진로를 계획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진로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독립성을 길러주어야 하겠다. 또한, 자신에게 적합한 직업을 선택하고 그에 따른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진로에 대한 능력에 있어서는 직업선택, 의사결정 능력을 길러 주어야 하겠다. 학년에 따라 지체장애 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능력에 차이가 나타나므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학년의 차가 고려되어질 필요가 있다고 여겨지며, 직업교육을 받은 학생들과 받지 않은 학생들간에 진로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직업교육이 진로교육과 연계되어 실시됨으로서 직업교육을 통해 직업기술뿐 아니라 진로에 대한 태도도 기를 수 있도록 되어야 하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areer maturity of physically handicapped adolescents comparing the norm of normal students, and to examine differences in career attitude and competence according to the grade, the degree of handicapped condition and whether they received vocational education or not.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vide schools for physically handicapped with basic data for career education programs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139 students of average intelligence (M=96.2) were selected from 5 high schools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and were given a test in career maturity. The instrument employed was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CMI) containing an attitude scale (planning, independence, decisiveness) and a competence scale (understanding of work wourd, choosing a job, decision making). The data were analyzed by SAS computer program. Average, percentilerank, T-test were used to compare career maturity of physically handicapped students with the norm of normal students. MANOVA were used to examine differences of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grade, the degree of handicapped condition, whether they received vocational education or not.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s : 1. career maturity of physically handicapped students is between 25 percentile and 75 percentile in the norm of normal students. But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dependence, decisiveness, choosing a job, decision making, when compared with the average of normal students. 2. In attitude areas of career maturit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grade, the degree of handicapped condition and whether they received vocational education or not. 3. In competence areas of career maturit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grade and whether they received vocational education or not.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ccording to the degree of handicapped condition. In conclusion the following results can be drawn. 1. physically handicapped sy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have jobs of their own choosing. for this, they should be educated to improve their indepence, and ability for decision making, choosing a job, 2. In contents of career educational programs, the difference of the grade should be considered. 3. By connecting vocational education with career education, appropriate career attitude should be developed together with job skil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