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2 Download: 0

음성출력 의사소통 도구(VOCA)를 이용한 이야기책 읽기 중재가 중복장애 아동의 초기 문해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음성출력 의사소통 도구(VOCA)를 이용한 이야기책 읽기 중재가 중복장애 아동의 초기 문해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torybook Reading using the Voice Output Communication Aid(VOCA) on Emergent Literacy of Children with Multiple Disabilities
Authors
임미화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문해란 읽기와 쓰기를 포함하는 포괄적 용어로 관습적 문해라고도 한다. 초기 문해란 관습적 문해에 선행되고 관습적 문해를 향해 발달하는 유아의 읽기, 쓰기 행동이며 학령기 이전에 익히는 개념이다. 문해는 구어 말고도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는 도구로의 힘을 가지기 때문에 개인의 삶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고 있다. 중복장애 아동은 그들이 가진 신체적, 언어적, 인지적 특성상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초기 문해력을 습득하기 어려운데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보완․대체 의사소통(AAC) 체계의 사용이 제안되고 있다. 그리고 중복장애 아동의 상호작용이나 의사소통이 주를 이루었던 AAC 연구분야에서도 문해 습득을 위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문해 습득을 위한 연구가 거의 학습장애 아동이나 경도의 정신지체아동을 위해 이루어져 왔으며, 중복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의사소통이나 상호작용을 위한 중재가 아닌 문해력을 위한 연구는 아직 소수에 불과한 실정이다. 또한 문해 습득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에 관한 연구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중복장애 아동이 가장 자연스럽고 효과적으로 초기 문해력을 습득할 수 있는 이야기책 읽기 활동을 구성하여 중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야기책 읽기 활동에 중복장애 아동이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음성출력 의사소통 도구(VOCA)를 이용하고 글자 인식을 위한 단서주기 전략을 사용하여 중복장애 아동의 문해력 습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일반 학교나 유치원에 통합되어 있는 만 5세~8세의 중복장애 아동 3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설계는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기초선 기간동안 이야기책 읽기 상황에서의 읽기 행동과 평가 상황에서 글자 인식을 관찰하였으며, 중재 기간동안에는 글자 인식 전략을 사용한 이야기책 읽기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중재 유지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중재가 끝난 3주 후 각 아동마다 4회기씩 기초선과 똑같은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VOCA를 이용한 이야기책 읽기를 실시한 결과 3명의 대상아동의 읽기 행동 발생율이 증가하였다. 둘째, VOCA를 이용한 이야기책 읽기를 실시한 결과 3명의 대상아동의 글자 인식능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VOCA를 이용한 이야기책 읽기를 실시한 결과 3명의 대상아동의 초기 문해력(읽기 행동과 글자 인식 능력)이 중재가 끝난 3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초기 문해력을 습득하기 어려운 중복장애 아동들이 VOCA를 이용한 이야기책 읽기를 통하여 초기 문해력을 습득, 유지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중복장애 아동에게 자신의 신체적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VOCA를 이용하여 직접 읽기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읽기를 경험하도록 했다는데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orybook reading using Voice Output Communication Aid(VOCA) on emergent literacy including reading behavior and word awareness of children with multiple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ree children with speech and physical impairment were selected. The children was taught to read behavior using the VOCA and recognize the word while reading a book. Multiple-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has been used. Emergent literacy measured through two ways. One way was checking the reading behavior in storybook reading and the other was the test of word awareness. The treatment was composed of 10-17 sessions and the 4 generalization session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torybook reading using the VOCA increased the frequency of children's reading behavior. 2. the storybook reading using the VOCA enhanced children's word awareness. 3. enhanced reading behavior and word awareness were maintained after stoping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s that the storybook reading using the VOCA has a positive effect on reading behavior and word awareness of children with multiple disabil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